- [인간과 환경] (26) 음식물쓰레기도 자원비료·사료로 거듭나 환경 지키고 경제 살린다창원시 생활폐기물 재활용처리 종합단지에 반입된 음식물쓰레기가 처리 과정을 거쳐 사료로 재탄생했다./김승권 기자/ 수거도내 자원화 시설 창원·진주·남해 등 10곳하루 발생 음식쓰레기 822t 중 772t 재활용 가공탈취·파쇄 과정 비닐 등 이물질 제거100℃ 고온건조·선별·분쇄 거쳐 제품 완성 판매창원 3곳서 연간 사...차상호 기자 2014-03-05 11:00:00
- [인간과 환경] (25) 생활폐기물 재활용재활용품 40% 소각·매립… ‘착한 분리배출’로 100% 자원화해야기자가 재활용 쓰레기를 선별하고 있다. 창원시 마산합포구 진동면 마산자원회수시설 재활용 선별장에서 직원들이 재활용 쓰레기를 선별하고 있다./김승권 기자/ 우리는 매일 끊임없이 소비하며, 그 과정에서 쓰레기를 만들어낸다.산업이 고도화되고 물질이 넘쳐나면서 우리는 모든 것을 쉽게 버린다. 옷도 낡아서 입지 ...김승권 기자 2014-02-26 11:00:00
[인간과 환경] (24) 건설폐기물 재활용자연 파괴 줄여 환경보호, 자원 순환으로 예산절감창원시 성산구 적현동 건설폐기물 중간처리업체에서 폐콘크리트로 순환골재를 생산하고 있다./전강용 기자/ 재건축 현장에는 많은 건설폐기물이 나온다. 사진은 창원시 성산구 가음정지구 철거 장면./경남신문 DB/ 곳곳에서 오래된 건물이 헐리고 새 건물이 높은 줄...이학수 기자 2014-02-19 11:00:00- [인간과 환경] (23) 경남야생동물센터야생동물 치료·보호·복원 ‘인간과 공존 환경’ 만든다?경남야생동물센터 석성훈 진료팀장이 인대가 손상된 매를 치료하고 있다. 급속한 환경 악화와 서식지 파괴로 야생동물이 사라지고 있다. 나라들마다 고유 생물자원에 대한 주권 확보경쟁에 나설 정도다. 야생동물의 서식여건 악화는 궁극적으로 인류의 생존기반을 위협할 것이다. 인간과 야생동물이 효율적으로 공존할...이학수 기자 2014-02-12 11:00:00
- [인간과 환경] (22) 제비를 찾아라그 많던 제비, 다시 만날 수 있을까지난해 창원 우산초등학교에서 열린 한일 어린이 제비 캠프에 참석한 초등학생들이 과제를 발표하고 있다./환경과 생명을 지키는 경남 교사모임 제공/ 처마 밑에 자리 잡은 제비집. 창원 우산초 학생들이 제비 실태를 조사하고 있다. 강남 갔던 제비는 삼짇날(음력 3월 3일)에 날아와서 중양절(음력 9월 9일)에 다시 강...차상호 기자 2014-02-05 11:00:00
- [인간과 환경] (21) 멸종위기종우리도 지구에서 영원히 살고 싶어요반달곰수달붉은박쥐(황금박쥐)삵노랑부리저어새재두루미독수리제12차 생물다양성협약 당사국총회(CBD COP-12)가 오는 9~10월께 강원도 평창에서 개최된다. 193개 회원국·국제기구 등 약 2만 명이 참석하는 환경분야 최대 규모의 국제회의로 슬로건은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생물다양성’이다. 일반인에게 다소 낯선 ‘...정치섭 기자 2014-01-29 11:00:00
[인간과 환경] (20) 창원시 환경지도바람길·하천·온도·소음·대기 모두 담은 ‘창원의 환경’한때 자동차 회사들은 신차 구매 고객에게 책자형 지도를 제공했다. 내비게이션이 상용화되기 전의 이야기다. ‘지도’는 방향과 거리, 도착시간과 지름길을 알려주는 긴요한 도구였고 축적과 방위, 각종 기호로 그려진 ‘읽는’ 그림이었다. 이것이 흔히 우리가 아는 지...2014-01-22 11:00:00
[인간과 환경] (19) 우포늪 뉴트리아 포획 동행취재[동행취재] 트랩에 '놈'은 없고 사냥한 흔적 뿐 창녕 우포늪 환경감시원인 주영학(왼쪽) 씨와 기자가 우포늪 목포 인근 수초섬에서 뉴트리아 포획을 위해 설치한 덫을 살펴보고 있다. 뉴트리아가 판 굴 옆에 설치돼 있는 발목 트랩. 뉴트리아 생포 트랩. 트랩 주위에 뉴트리아의 배설물이 흩어져 있다. 창녕군 유어...원태호 기자 2014-01-15 11:00:00
[인간과 환경] (18) 철새의 보고, 주남저수지우리가 지켜야 할 자연과 인간 공존지대재두루미(천연기념물 제203호), 큰고니(천연기념물 제201-2호)등이 지난 6일 해가 진 후 창원시 의창구 동읍 주남저수지에서 먹이 활동을 하고 있다./김승권 기자/ 주남 겨울철새 탐조교실에 참가한 시민들이 철새 모이를 주고 있다. 주남 겨울철새 탐조교실에 참가...이슬기 기자 2014-01-08 11:00:00- [인간과 환경] (17) 경남 햇빛발전 현주소시민이 생산하는 햇빛 전력 ‘청정 경남’ 불 밝힌다지난 10일 창원YMCA에서 열린 태양광 보급 활성화를 위한 정책토론회에서 참석자들이 토론을 하고 있다./성승건 기자/ 지난 1월 9일 창원YMCA에서 열린 경남햇빛발전협동조합 창립총회에서 전점석 이사장이 참석자를 소개하고 있다./경남신문DB/ 건립 의미공공기관·학교·아파트 지붕 등햇빛발전소 건립해 기후변화 대응...이학수 기자 2013-12-18 11:00:00
[인간과 환경] (16) 녹색아파트(창원시 진해구 경화대동다숲아파트) “어른은 실천하고 아이는 배우며 온실가스 함께 줄였어요”아파트 마을도서관 아나바다 장터에서 어린이들이 물물교환을 하고 있다. 사생대회에서 어린이들이 그림을 그리고 있다. ?입주민들이 에너지체험기구를 살펴보고 있다. 어린이들이 강낭콩을 관찰하고 있다. 탄소포인트제 입주민 97% 동참6개월에 전기료 5000원~2만...이학수 기자 2013-12-11 11:00:00
[인간과 환경] (15) 생태하천 복원 (하) 모범사례와 경남의 복원 방향주민, 계획부터 참여… 정부·지자체, 복원·사후 통합관리 필요복원 전 일본 시베츠강 복원 후 일본 시베츠강 복원 전 스위스 투어강 복원 후 스위스 투어강 환경부가 생태하천 복원사업의 기준으로 발간한 ‘생태하천 복원 기술지침서’를 보면 생태하천 복원의 기본 방향을 하천 중심의 종·횡적 생태 네트워크 구축 등으로 규정...차상호 기자 2013-12-04 11:00:00
[인간과 환경] (14) 생태하천 복원 (상) 경남 실태콘크리트·인공시설 걷어내니 수달·도롱뇽 돌아왔다생태계 복원 전 창원 남천변에 차량들이 주차돼 있다. 생태계 복원 후 낙차보와 주차장이 사라진 창원 남천 ./창원시 제공/ 복원 전 창원 남천 청우교 하류. 복원 후 창원 남천 청우교 하류. 복원 전 창원 토월천 합류부. 복원 후 창원 토월천 합류부. 복원 전 창원...차상호 기자 2013-11-27 11:00:00
[인간과 환경] (13) 학교숲자연과의 교감으로 학생들 정서안정 돕고 학교폭력 예방거제 동부초등학교 창녕 대지초등학교 함안 가야초등학교 창원 남산중학교 /경남도교육청 제공/ ?창원시가 웅남중학교에 조성한 학교숲. 먼나무 등 수목 8종 1480여 그루를 심고, 금목서 등 12종 400여 그루를 옮겨 심었다./김승권 기자/ 학교가 달라지고 있다. 콘...이학수 기자 2013-11-20 11:00:00
[인간과 환경] (12) 숲가꾸기잘 가꾼 숲은 환경 寶庫(보고)… 기후변화 대응책 효과 기대1960년대에 조림한 편백과 삼나무 등 평균수령 50년 이상의 인공림이 절반을 차지하고 있는 남해편백자연휴양림. 가족단위 산림욕장으로 인기를 끌고 있다./경남신문DB/ ◇?나무?한?그루?당?연간?CO2?흡수량??수종수령(년)304050강원지방?소나무4.66.87.2중부지방?소...이학수 기자 2013-11-13 11: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