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길수 교수와 함께 만나는 경남독립운동가 (25·끝) 민족 지도자 백산 안희제 선생만주서 민족교육·독립사상 고취
안희제 선생
안희제(安熙濟, 1885~1943년) 선생의 호는 백산(白山)으로 의령 출신이다.일찍이 보성법률학교(고려대학교 전신)에 입학했다가, 이듬해 봄에 양정의숙(養正義塾) 경제과로 전학해 24세에 졸업했다. 1907년 동래군 구포면(현 부산시 북구 구포동)에 ...2017-07-27 07:00:00
김길수 교수와 함께 만나는 경남독립운동가 (24) 의열단 창립 주도한 황상규 의사무기 구입 등 일제 요인 암살 지원
황상규 의사
황상규(黃尙奎, 1890~1931년) 의사의 호는 백민(白民)으로 밀양 출신이다. 일찍이 교육 사업에 뜻을 두고 밀양 고명학원(高明學院) 교사로 재직하면서 이란 역사교재를 저술했다. 또한 밀양의 선각자 전홍표(全鴻杓)가 경영하던 동화학원(東化學院)...정오복 기자 2017-07-20 07:00:00
김길수 교수와 함께 만나는 경남독립운동가 (23) 국내 반일투쟁의 선봉 여병섭 선생신간회 마산지부 설립 주도
동아일보(1921.3.3.) 기사. 마산지국장 여병섭, 기자 이윤재 선생의 이름이 보인다.
여병섭(呂柄燮, 1890년 8월 21일~1934년 7월 27일) 선생은 고성 출신이다. 평양신학교 재학 중 1917년 평양에서 조직된 조선국민회(朝鮮國民會)에 참가해 경상도 구역장으로 ...2017-07-13 07:00:00
김길수 교수와 함께 만나는 경남독립운동가 (22) 한글 지키기 선봉 남저 이우식 선생‘시대일보’ 등 신문 창간 민족의식 고취
이우식 선생
이우식(李祐植, 1891년 7월 22일~1966년 7월 5일) 선생의 호는 남저(南樗)이고, 의령 출신이다. 선생은 1918년 일본으로 건너가 도쿄(東京) 세이소쿠영어학교(正則英語學校)를 거쳐 도요대학(東洋大學) 철학과에 입학했다.1919년 3·1혁명이 일어나자...정오복 기자 2017-07-06 07:00:00
김길수 교수와 함께 만나는 경남독립운동가 (21) 대한독립군 참모장 허승환 장군러시아서 혁명군 조직해 항일 투쟁
허승환 장군
허승환(許承煥, 1893~1938년) 장군은 통영 출신으로 본명은 허승완(許承完)이다.청소년기에 경술국치를 당한 청년 허승완은 조국 광복을 도모하고자 1918년 만주로 가서 신흥무관학교를 졸업했고, 1920년 12월 일본군의 간도 출병으로 독립군 부대들...2017-06-29 07:00:00
김길수 교수와 함께 만나는 경남독립운동가 (20) 부친 의진에 참여했다가 순국한 서두성일본군 양산수비대와 교전 중 숨져
서두성의 순국 내용이 기록된 ‘폭도에 관한 편책’.
서두성(徐斗成, 미상~1908년)은 의병장 서병희(徐炳熙)의 아들로 양산군(현 양산시) 중북면 좌삼리 출신이다.서병희 의병장은 1907년 겨울 임진·한탄강 유역에서 의병투쟁을 벌이던 허위(許蔿) 의병장으로부터 ...2017-06-22 07:00:00
김길수 교수와 함께 만나는 경남독립운동가 (19) 의병투쟁과 진주 3·1혁명 주도 박진환 선생진주서 만세시위 이끌어 3년 옥고
박진환 지사 등 16명의 판결문.
애국지사 박진환(朴進煥, 1888~1950년) 선생의 본적은 진주시 평안동 115이고, 주소는 평안동 432번지이다.1907년 의병장 유종환(兪宗煥)이 이끄는 의병진영에 참여해 거창·안의(현 함양군 속면), 전북 무주, 충북 영동·황간(현 ...2017-06-15 07:00:00
김길수 교수와 함께 만나는 경남독립운동가 (18) 허당 명도석 선생마산 3·1운동 주도…창씨개명 거부
창원시 마산회원구 봉암동에 있는 명도석 선생 기념비.
마산 3·1혁명 주도하다허당(虛堂) 명도석(明道奭, 1885~1954년) 선생은 창원시 마산합포구 중성동 출신의 애국지사이다.1919년 3월 10일, 함안군 칠원(漆原)의 기독교도와 구마산의 교도들이 비밀 연락을 ...정오복 기자 2017-06-08 07:00:00
김길수 교수와 함께 만나는 경남독립운동가 (17) 태항산전투 겨레의 별이 된 윤세주 장군중국서 의열단 조직 반일무장투쟁
중국 태항산에 있는 윤세주 장군 묘.
윤세주(尹世胄, 1901~1942) 장군은 김원봉(金元鳳)과 더불어 밀양이 낳은 반일무장투쟁의 상징이다.그의 본명은 소룡(小龍)이고, 호는 석정(石正)으로 1919년 3·1혁명이 일어나자 밀양에서 대규모 시위를 주동했으며, 대한...2017-06-01 07:00:00
김길수 교수와 함께 만나는 경남독립운동가 (16) 통의부·정의부에서 맹활약한 이종건 장군수십년간 만주지역 반일무장투쟁 이끌어
대한통의부 본부 유허지인 중국 요령성.
광복 직후이던 1946년 2월 1일, ‘대한민국 비상국민회의’에서 김산(金山)·김원봉(金元鳳)·김희남(金熙南)·유동열(柳東說)·이규채(李圭彩)·이종건(李鍾乾)·최윤동(崔允東) 등이 국방위원으로 선임되어 새로 수립될 정부와...2017-05-25 07:00:00
김길수 교수와 함께 만나는 경남독립운동가 (15) 2·8 독립선언 활동 김철수 지사도쿄 유학 중 체포 9개월간 옥고
2·8 독립선언서
‘전조선(全朝鮮) 청년독립단은 아 2천만 조선민족을 대표하여 정의와 자유의 승리를 득(得)한 세계만국의 전(前)에 독립을 기성(期成)하기를 선언하노라.’(중략)이에 우리 민족은 일본이나 혹은 세계 각국이 우리 민족에게 민족자결의 기회를 줄 ...2017-05-18 07:00:00
김길수 교수와 함께 만나는 경남독립운동가 (14) ‘노응규 황간의진’의 종사관 노공일 지사의병 규합해 무기 제조·운반 활약
노공일 지사가 종사관으로 있던 황간의진이 활약했던 충북 영동군 물한계곡.
을사늑약으로 국권이 상실될 위기에 처하자 거창·초계(현 합천군 초계면)·합천군 등지의 우국지사들이 의병을 일으켰는데, 그 장소는 충북 황간(현 충북 영동군 속면)이었다. 의병을 ...2017-05-11 07:00:00
김길수 교수와 함께 만나는 경남독립운동가 (13) 신사참배 거부로 옥사한 주기철 목사일본숭배 반대운동 펼치다 순국
주기철 목사.
1926년 3월, 평양신학교를 졸업한 나이 서른의 사내는 중얼거렸다.
“예수님이 가신 길을 뒤따라 갈 수가 있을까? 어머니를 모시고, 아내와 함께 세 아들을 이끌고 목회자의 길을 가야 한다.”
고뇌하며 150...2017-05-04 07:00:00
김길수 교수와 함께 만나는 경남독립운동가 (12) 3·1혁명 순국지사 안지호 선생3000명 참여한 3·19 함안장 만세시위 주도
안지호 선생 판결문.
3·1혁명 후 옥중에서 순국한 안지호(安知鎬, 1857~1921) 선생은 고성 출신으로 경남 출신 3·1혁명 공로자 중 가장 높은 등급의 서훈이 추서된 분이기도 하다.
안 선생은 1905년 을사늑약이 체결되자 통감...정오복 기자 2017-04-27 07:00:00
김길수 교수와 함께 만나는 경남독립운동가 (11) 한말 하동의병장 박홍지의 투혼군수품 모아 일본 군경과 사투
하동군 악양면에 있는 하동의병공원./하동군/
박홍지(朴弘之) 의병장은 하동군 화개하면(花開下面) 정서리(亭西里, 현 악양면 속리) 출신이다. 1908년 국가가 존망의 기로에 서자 당시 28세 나이에 분연히 궐기해 녹천(鹿川) 고광순(高光洵, 1848~1907년) 의병...2017-04-20 07: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