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   유튜브  |   facebook  |   newsstand  |   지면보기   |  
2024년 05월 26일 (일)
전체메뉴

'소나무 에이즈' 재선충을 막아라 방제 최적기는 "바로 지금"

  • 기사입력 : 2005-07-27 00:00:00
  •   
  • 사천 진주 김해 등 도 전연 확산일로

    전염 매개체 솔수염하늘소 성충시기

    5월 하순~7월 하순에 꼭 방제해야


      ‘소나무 에이즈’ 재선충이 해마다 급속 확산되면서 금수강산이 병들고 있다.

      소나무는 우리나라 대표 수종으로 1960년대 전국 산림의 50% 이상을 차지했으나 최근 급격한 생태계의 변화와 1988년 이후 재선충 확산으로 30% 이내로 감소했다..<사진>매개곤충 솔수염하늘소와 재선충

      현재와 같은 추세라면 일본이나 대만처럼 오는 2112년께 우리나라에 소나무가 멸종할지도 모른다는 전망이 나오고 있어 방제대책 마련이 시급하다.
      특히 재선충 전염 매개체인 솔수염하늘소 우화(羽化. 유충→성충) 시기가 5월 중순~7월 하순으로 지금이 방제의 최적기다.

    ▲재선충이란= 감염될 경우 1년 안에 소나무를 99.9% 말라 죽게하는 무서운 수목 전염병이다.

      나무에만 사는 재선충은 1mm도 채 안되지만. 한 쌍이 20일만에 20만마리로 늘어날 정도로 번식력이 놀랍다. 소나무 조직내에 곰팡이 등을 먹으며 줄기. 가지. 뿌리속 수관을 점령해나간다. 물과 영양분이 공급되는 수관이 막힌 소나무는 결국 누렇게 말라 1년 안에 말라 죽는다.

      세계적으로 최초 발병은 1905년 일본과 1934년 미국 루이지애나다. 국제무역이 활발해지면서 1980년 이후 대만과 중국. 한국에 이어 1999년 유럽 포르투갈까지 번졌다.


    ▲우리나라 감염 통로는= 일본에서 들여온 목재 원숭이 우리(소나무 재질)가 재선충에 감염된 것이 시발이었다. 문제는 재선충 스스로는 나무와 나무 사이로 이동이 불가능한데도 어떻게 전국의 소나무에 전염됐을까 하는 것이다. 재선충 전염 매개체는 솔수염하늘소로 주로 병들고 무른 나무를 선택해 알을 낳는데. 재선충에 감염된 소나무 속에 있던 재선충은 유충에서 번데기를 거쳐 솔수염하늘소의 몸 속으로 옮아가 무섭게 확산되는 것이다. 솔수염하늘소가 날아갈 때 몸에 지닌 재선충은 평균 1만5천마리에 달할 정도로 엄청나다.


    ▲도내 피해실태는= 1988년 부산 금정산에서 처음 발생. 당시 피해면적은 100ha였으나 1999년도는 365ha로 피해 면적이 증가하여 현재는 도내 전 지역에 확산됐다. 7월 현재 도내 피해 현황은 14만7천그루에서 발생. 피해 우려목 1만3천그루를 포함하여 15만1천그루를 제거했다. 도내에서 가장 피해가 큰 지역은 사천. 진주. 김해. 양산. 하동 등이다.
      지난해 전국적인 재선충 신규 피해면적은 4천961ha로 2003년에 비해 47.3%나 급증했다. 이같은 피해면적은 여의도(약 30ha) 면적의 16.5배에 달하는 것이다. 지금까지 누적 피해면적은 1만7천900ha에 달하고. 이 피해로 57만3천여그루가 고사했다.<사진>진주시 도로변의 한 야산에 널려있는 '소나무 무덤들'. 산등성이 아래쪽이 재선충 공격으로 소나무 공동묘지로 변했다.

    ▲방제는 어떻게= 재선충 방역에 가장 많이 이용되는 방법은 훈증이다. 재선충에 감염된 나무를 모두 잘라 약품을 투입한 후. 비닐로 밀봉해 목재 내부에 있는 솔수염 하늘소의 유충을 죽이는 방법이다. 그러나 감염 속도가 방제 속도보다 빨라 이대로 가다간 모든 소나무를 잘라내야 할 지경이다. 심각한 것은 아직까지 재선충을 100% 방제·예방할 수 있는 대책이 없다는 것이다.


    ▲중국의 방제 교훈= 중국은 9만7천㏊에 이르는 엄청난 피해 속에서도 세계자연유산 황산만은 지켜냈다. 소나무로 유명한 황산 풍경지구 인근 70㎞ 지점에 재선충이 발발하자. 황산 풍경구 주변을 돌아가며 폭 4km. 길이 100km내 소나무를 모두 베어내는 극약처방을 내린 것이다. 일명 무송(無松)벨트. 솔수염하늘소는 최대 4km까지 이동이 가능하기에 이를 감안한 대처였다.

    구일회 산림조합 경남도지회 관리과장은 “재선충에 감염된 소나무는 벌채해 소각. 파쇄하거나 화학약품으로 훈증하는 것이 유일한 방법”이라며 “피해를 줄이기 위해서는 피해 발생지역에서의 사람과 차량의 이동에 따른 조치도 뒤따라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상목기자 smlee@knnews.co.kr

  • < 경남신문의 콘텐츠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전재·크롤링·복사·재배포를 금합니다. >
  • 페이스북 트위터 구글플러스 카카오스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