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   유튜브  |   facebook  |   newsstand  |   지면보기   |  
2024년 06월 16일 (일)
전체메뉴

[사설] 창원시 다회용기 공공세척장 가동 서둘러야

  • 기사입력 : 2024-05-19 19:20:44
  •   
  • 창원시는 무허가 건물로 드러나면서 1년째 가동을 못하고 있는 창원시 다회용기 공공세척장의 정상화를 서둘러야 한다. 지난해 5월 창원시 북면 현지에서 완공식을 가진 창원시 다회용기 공공세척장은 건축물과 세척 설비 등 구축에 모두 11억원이 들어갔다. 시간당 2만8000개의 다회용기를 세척할 수 있는 규모다. 가동 시점은 완공식 다음 달인 6월 중순쯤부터였다. 가동에 맞춰 창원시는 마산의료원, 창원한마음병원 등 대형 병원 20곳과 업무협약을 맺고 이들 병원의 장례식장에 일회용품 사용 대신 다회용기를 도입해 사용키로 했다. 하지만 뒤늦게 무허가 건물로 밝혀지면서 1년째 가동을 하지 못한 채 방치돼 있다. 가동 정상화가 늦어질 경우 올해도 넘길 공산이 크다.

    공공세척장의 정상 가동이 시급한 것은 일회용품이 무절제하게 사용되고 있다는 점이다. 전국적으로 탈플라스틱을 선언하고 일회용품 퇴출 움직임을 보이는 상황 속에 완공식을 갖고도 1년간 묶여 있다는 것은 말이 안 된다. 당장 정상가동을 위해 여러 가지 절차를 밟아야 하고, 용역비가 전무하다면 마련할 방법을 찾아야 한다. 창원시의 보조사업자인 창원자활센터는 건축허가를 받지 않고 건축물을 지은 만큼 직접 자구책을 마련해야 하는 것은 어찌 보면 당연하다. 또 시비를 투입할 수 있는 근거가 없어 정상화가 어렵다면 그 해결책을 찾아야 한다. 누구 하나 적극적으로 나서지 않고 그냥 내버려두듯이 방치하는 것은 옳지 않다.

    창원시는 인구 100만명이 넘는 큰 도시이다. 이 인구가 사용하는 일회용품은 엄청나다. 여기에 대형 장례식장에서 쏟아져 나오는 일회용품만 줄이더라도 환경에 미치는 영향은 적지 않다. 다회용기 공공세척장이 공공성을 띠고 있다면 서둘러 정상화의 길을 찾아야 한다. 창원시와 창원자활센터 간 누가 옳고 그르고가 가려진 상황이라면 합리적인 해결방안을 찾아 실행해야 한다. 창원시는 지난해 9월 다회용기 공공세척장 정상화 방안을 마련하겠다고 밝혔지만 현재까지 별다른 대책을 내놓지 못하고 있다면 해결 의지에 의문이 들 수밖에 없다. 하루속히 세척장 가동 정상화에 힘써 주기 바란다.

  • < 경남신문의 콘텐츠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전재·크롤링·복사·재배포를 금합니다. >
  • 페이스북 트위터 구글플러스 카카오스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