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   유튜브  |   facebook  |   newsstand  |   지면보기   |  
2024년 04월 28일 (일)
전체메뉴

[한국지방신문협회 공동기획 팔도핫플레이스] 강원도 오대산 전나무숲길·선재길

어느 계절에도 설레林 !

  • 기사입력 : 2024-01-19 08:00:36
  •   
  • 선재길 코스 초입 천년고찰 월정사
    예쁜 풍경에 ‘3대 전나무숲’ 꼽혀
    탐방로 걸으며 계곡 물소리 힐링
    나무 사이로 싱그러운 피톤치드도

    일제강점기 벌목 현장·화전민 터
    물길 터트려 목재 나른 보메기까지
    오대산의 슬픈 역사 현장도 조우

    사람들이 즐겨 찾는 길들은 계절을 타는 경우가 많다. 그래서 보통 트레킹 가이드북에서는 계절별로 걷기 좋은 길을 소개하곤 한다. 하지만 이 계절에 이쁘고 저 계절에 미운 길이 어디 있으랴. 길이 있으니 걷고, 또 걸어서 행복할 뿐이니 그것으로 족할 따름이다. ‘오대산 선재길’이 바로 그렇다. 특히 코스의 초입에 천년고찰 월정사가 자리하고 있고, 코스의 마지막도 절(상원사)이니 다른 길보다 쉼과 볼거리를 풍성하게 즐길 수 있다. 무엇보다 뜻하지 않게 우리 역사의 이야기도 함께 할 수 있다.

    눈 내리는 겨울 월정사./국립공원관리공단/
    눈 내리는 겨울 월정사./국립공원관리공단/
    눈 내리는 겨울 월정사./국립공원관리공단/
    눈 내리는 겨울 월정사./국립공원관리공단/

    ◇일주문에서 천년의 숲으로 ‘풍덩’= 월정사 일주문 앞에서 섰다. ‘월정대가람(月精大伽藍)’이라고 쓰여진 탄허스님 친필 현판이 우리 일행을 맞이한다. 현판을 머리에 이고 일주문 안쪽으로 한 발 들여놓아 본다. 그대로 ‘천년의 숲’이라고 불리는 월정사 전나무 숲, 그 바다로 입수다. 널찍하고 폭신한 황톳길이 다리미로 다려 놓은 듯 평평하게 이어진다. 황토의 시원하고 부드러운 기운은 발바닥에 ‘착’ 감기며 사이다 같은 청량함이 온 몸에 전달된다.

    오대산 전나무 숲길.
    오대산 전나무 숲길.
    오대산 전나무 숲길.
    오대산 전나무 숲길.

    오대산 전나무 숲길의 시작, 오대산 선재길의 시작이다. 9㎞에 달하는 선재길 코스가 조금 부담스럽다면 2㎞ 남짓한 전나무 숲 탐방로를 한바퀴 돌아보는 것도 나쁘지 않다. 길을 걷다 보면 아름다움, 놀라움의 순간이 한번에 그치지 않고 이어지고 또 이어지기를 반복한다. 월정사 전나무 숲이 광릉 국립수목원과 변산반도 국립공원 내소사의 전나무 숲과 더불어 우리나라 3대 전나무 숲으로 꼽히는 이유를 알 수 있다.

    눈 덮인 오대천./국립공원관리공단/
    눈 덮인 오대천./국립공원관리공단/
    눈 덮인 오대천./국립공원관리공단/
    눈 덮인 오대천./국립공원관리공단/

    부지런히 발걸음을 재촉해 월정사에 가까워질수록 오대천 물소리는 더 거세게 귓전을 때린다. 이제 월정사 도착이다. 그 초입에 선재길 이정표가 보이는데 상원사까지 9.2㎞ 남았음을 알린다. 표지판이 가리키는 대로 걸으면 월정사 담벼락을 오른편에 끼고 걷는 숲길이 쭉 이어진다. 월정사 경내를 둘러보고 가도 선재길 코스에 다시 올라탈 수 있으니 일단 천년고찰 월정사에 들어가 보기로 한다. 마당 한가운데 국보인 월정사 팔각구층석탑이 보이는데 고려 전기 석탑을 대표하는 작품이라는 평가대로 그 모양이 독특하고 아름답다. 고즈넉한 산사에서 잠시 쉼을 청해 본다. 탑 앞에서 서서 소망 한자락 마음 속에 품어보고는 다시 구도의 길, 치유의 길, 선재길 위에 오른다.

    선재길 입구.
    선재길 입구.
    선재길 탐방로.
    선재길 탐방로.

    ◇선재길 본진에 들다= 팔각구층석탑을 오른쪽에 끼고 앞으로 전진. 대강당과 범종루 사이를 통과해 월정사 품에서 벗어난다. 횡단보도를 건너고 아치형 문, 아치형 나무다리를 건너 다시 숲의 품에 안긴다. ‘깨달음, 치유의 천년 옛길!’이라는 설명이 붙은 오대산 선재길 본진으로 침투한다.

    길을 따라 완만한 경사를 타고 오르다 보면 상원사에 닿을 수 있다. 이곳은 1960년대 상원사까지 연결된 찻길이 나기 전까지 스님과 불자들이 월정사와 상원사를 오가던 유일한 길이었다. 코스의 초입은 평평한 나무 데크길이 이어진다. 그리고 이내 지장암과 상원사로 향하는 갈림길에 도착. 왼쪽 아스팔트 길을 따라 오르면 지장암, 우측 방향으로 폭신한 흙길을 따라가면 상원사다. 얼마를 걸었을까. 금방 너른 공터 ‘회사거리’에 도착. 일제강점기 일본인들이 오대산에서 베어낸 나무를 가공하던 조선총독부의 목재회사가 있어 ‘회사거리’라고 불렀다고 한다. 이 회사거리에는 약 360여 가구의 화전민이 살았는데 1960년대 말 화전정리 사업으로 이주하고 지금은 그 흔적만 간직하고 있다.

    선재길 탐방로.
    선재길 탐방로.

    이후 사찰 불사에 쓸 재목을 제작 보관하는 용도로 사용됐지만 선재길을 정비하면서 현재는 공터로 남아 있다. 오대산사고(五臺山史庫)에서 보관하던 조선왕조 실록, 의궤도 모자라 이곳의 나무까지 모조리 베어 가려고 회사까지 세운 일제의 뻔뻔한 행태에 씁쓸함을 금할 길 없다. 반야교를 오른쪽에 두고 다시 한번 차도를 건너 숲 안으로 들어선다. 또다시 나무 데크길이 이어지는데 순간 시원한 바람 한자락이 스친다. 숲속에 스며든 바람은 녹색의 싱그러운 기운들을 실어 나르고 불쑥불쑥 튀어오른 바위를 타고 넘어 넘실대는 오대천의 물길과 조우한다. 이처럼 선재길은 숲길 특유의 고요함과 계곡의 물소리가 전해주는 분주함이 이러구러 교차하며 우리의 걷기에 동행한다.

    하늘에서 본 월정사.
    하늘에서 본 월정사.
    오대산 월정사 전경.
    오대산 월정사 전경.

    ◇오대산 슬픈 역사의 현장과 만나다= 화전민 터가 있었음을 알리는 안내판이 바로 눈에 들어온다. 일제강점기 월정사 소유 산림에 대한 채벌권(採伐權)을 얻게 된 일제가 나무를 베어내기 위해 인력을 모집했고 오대산에는 자연스럽게 노동자 마을이 형성된다. 노동자들은 주로 겨울에 동원됐고 일이 없는 봄부터는 산에 불을 놓아 화전을 일구며 살았다고 한다. 이 때문에 오대산에는 ‘산판(山坂)’과 ‘화전(火田)’이 혼재한 화전민 마을이 만들어졌다. 벌목노동의 대가는 적은 양의 쌀이 고작이었고 살기 위해 숯을 구워 팔기도 했다.

    이번에는 눈길이 물길 쪽으로 향한다. 요란한 물소리가 숨을 죽이고 머물렀던 곳, ‘오대산 보메기’다. 보메기의 사전적 의미는 농사철이나 홍수로 터진 보를 보수하거나 새로 만드는 작업을 의미하지만 이곳 오대산 보메기는 보를 막아 오대천의 물을 모으고 목재를 쌓아 놓은 뒤 많은 비가 내릴 때 보를 터트려 목재를 이동시키는 용도로 활용했다고 한다. 일제가 나무를 쉽게 옮기기 위해 오대천 물길까지 막고 터트리기를 반복한 것이다. 또한 이곳에는 아직도 목재운반용 철도 레일이 남아있다. 동력이 있는 기차를 운행한 것이 아니라 오로지 사람이 힘으로 밀고 끌고 무거운 나무를 옮겼다고 하니 그 고초가 오죽했으랴.

    나뭇가지 사이로 부서지는 햇살은 바람을 만나 이리저리 흔들리고 일렁이더니 땅바닥에 곤두박질치기를 반복한다. 빽빽한 나무 사이로 피톤치드가 유영한다. 그 사이 조릿대의 바다를 건너고 다리를 건너 오대산장에 도착이다.

    여기부터 상원사까지는 4㎞ 남짓한 거리다. 만화경처럼 아름다운 풍경은 그 이후에도 반복된다. 닮은 듯 다르고 다른 듯 닮은 풍경이 숲길의 매력이다. 역사 이야기에서 다시 자연으로 돌아와 한껏 즐기다 보니 상원탐방지원센터다. 여기서 버스를 타고 월정사 방향으로 내려가면 되지만 넉넉한 시간. 우리는 상원사로 발걸음을 옮긴다. 숲길이 뿜어낸 싱그러운 녹색의 기운은 옛 이야기를 품은 채 그대로 내 뒤를 따른다.

    강원일보= 오석기·조상원 기자

  • < 경남신문의 콘텐츠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전재·크롤링·복사·재배포를 금합니다. >
  • 페이스북 트위터 구글플러스 카카오스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