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   유튜브  |   facebook  |   newsstand  |   지면보기   |  
2024년 05월 06일 (월)
전체메뉴

[경제인칼럼] 지역 창업지원의 문제와 개선방안(1)- 여석호(영산대학교 초기창업패키지사업단 교수)

  • 기사입력 : 2023-07-23 19:22:49
  •   

  • 지난 3월 정부는 지자체 주도로 대학을 지원해 지역과 대학의 동반 성장을 추진하는 RISE(Regional Innovation System & Education) 사업 추진 계획을 수립했다. 여기에는 지역산업 발전을 위해 대학의 미래 첨단산업 연구 역량 강화를 통한 창업기업 육성까지도 포함돼 있다고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최근 경남도의 창업지원 정책 추진이 매우 활발해졌다. 서부권의 그린 스타트업 타운 유치와 경남창조경제혁신센터와 영산대학교 초기창업패키지사업을 중심으로 진행 중인 동부권(양산)의 청년 창업아카데미, 중부권의 캠퍼스 혁신파크 사업과 2023년 5월 기준 6조원의 투자자금을 유치하는 등 괄목할 발전이 있는 점은 매우 고무적이다.

    영산대 초기창업패키지 사업단은 지난 6년간 경남에서 유일하게 초기창업패키지사업을 운영하며 지역의 127개 창업기업을 육성, 매출 647억원, 고용 376명, 투자유치 81억원 등의 성과를 올렸다. 특히 졸업기업의 5년간 평균 생존율은 91.7%(중기부 참여기업 평균은 75%)를 기록했다.

    이 경험을 바탕으로 지역의 창업지원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두 편의 글로 정리한다. 지역의 창업 지원 정책은 지역경제 발전과 일자리 창출을 촉진하기 위해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관점에서 한계점과 문제점을 몇 가지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지역 창업기업의 지원을 위해 경남도 등 지자체, 경남창조경제혁신센터, 경남테크노파크, 중소기업진흥공단, 액셀러레이터 등 투자기관, 각 대학의 BI, 경상국립대학교의 창업 중심대학, 영산대학교의 초기창업패키지사업단 등 지역 창업지원 유관기관이 분야별로 창업기업의 육성을 위하여 노력하고 있다. 하지만 경남에는 이런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의 협력을 유도하는 헤드쿼터(Headquarter) 역할이 없는 실정이다.

    다음으로 지자체 창업 정책 대부분이 창업지원 시설과 스타트업 유치, 자금 지원에만 방향이 맞춰져 있다. 창업생태계를 지역 현실과 환경에 맞게 어떤 방향으로 구축할 것인가에 대한 고민이 부족하다. 그 결과 스타트업이 최적화된 환경과 생태계 안에서 존재한다고 볼 수 없다.

    세 번째는 지역 투자기관과 대형 투자기관 간 역량 차이가 더욱 벌어지는 악순환이 일어나고 있다는 점이다. 지역 기반의 투자 전문기관은 투자 규모와 투자역량이 수도권에 비해 부족하다는 이유로 지자체에서 마련하는 투자자금을 수도권의 대형 투자기관이 운영권을 가져가고 있다. 이에 지역의 투자기관은 발전할 기회를 놓치게 된다.

    또 스타트업에 대한 지자체의 보증과 세제 혜택, 저리 대출 규모가 충분하지 않거나 지원 절차가 복잡해 창업자들이 자금을 확보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 밖에도 지역 스타트업들은 우수 인재 확보에 어려움이 있으나 지역에는 기술개발과 전문성 향상을 위한 교육과 지원이 충분하지 않아 스타트업 혁신에 장애물이 되고 있는 것도 문제이다. 또 창업지원 정책 초기에는 적극적인 지원이 이뤄지지만 지역적인 한계로 창업자들이 지속적인 성장을 위해 필요한 지원을 연속으로 제공받지 못하는 경우도 발생한다. 창업자들은 초기 지원만으로는 성장에 제한이 크고, 지속적인 지원이 없으면 경쟁력을 유지하고 성장할 수 있는 기회를 잃게 될 수 있다.

    여석호(영산대학교 초기창업패키지사업단 교수)

  • < 경남신문의 콘텐츠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전재·크롤링·복사·재배포를 금합니다. >
  • 페이스북 트위터 구글플러스 카카오스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