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   유튜브  |   facebook  |   newsstand  |   지면보기   |  
2024년 04월 28일 (일)
전체메뉴

[기고] 물류(物流)는 창원특례시로 흐른다- 송효진(광주전남연구원 부연구위원)

  • 기사입력 : 2022-05-01 20:31:33
  •   

  • 세계가 멈췄다. 넘실거리던 인파는 거리에서 사라지고, 분주하던 가게와 공장에는 먼지가 쌓였다. 코로나19 팬데믹의 충격은 정치·사회·문화 일상의 모든 분야를 바꿔 놓았다.

    지난달, 12년간 전 세계 컨테이너 물동량에서 부동의 1위를 기록했던 상하이항이 코로나19로 인해 봉쇄됐고 우리의 삶도 멈췄다. 책상 위 볼펜, 키보드와 마우스, 컵 등 지금 사용하고 있는 대부분은 중국, 베트남 등 어딘지 모르는 곳에서 만들어져 여러 물류거점을 거친 뒤 눈앞에 놓여 있다. 그중 상하이항도 있다. 상하이항의 봉쇄는 물류대란을 일으켰고, 전 세계 공급망을 멈추게 했다. 항만 근로자, 트럭 운전사, 공장 근로자가 격리되면서 원자재, 생필품, 반도체 등 모든 생산과 수출입이 막힌 것이다. 고작 1억6000만명이 묶였을 뿐인데 80억 인구의 경제가 멈췄다고? 이번 사태는 글로벌 공급 사슬의 실재와 물류(物流)의 중요성을 확인시켜준 계기가 됐다.

    ‘물류’는 화물의 운송·보관뿐만 아니라 원자재에서 최종소비자에게 이르는 과정 전체를 연결하는 통합관리 서비스를 말한다. 현재 물류단지에서는 가공(조립·분류·포장), 정보활동(재고관리, 컨설팅) 등 다양한 부가가치가 창출되고 있다. 게다가 세계 경제의 상호의존성이 높아질수록 물류산업이 제조업 등 연관 산업에 미치는 영향력은 더욱 커지고 있다.

    이러한 가운데, 창원특례시가 새로운 물류 중심지로 떠오르고 있다. 지방분권법 개정안이 국회에 통과되면서 창원특례시는 항만·물류 분야에서 자주적인 권한을 갖게 됐다. 과거에는 창원시장이 지역산업 여건을 반영해 도시계획을 수립하더라도 물류단지 지정 권한이 없어 고유의 물류산업 육성이 어려웠다. 그러나 이제는 시·도지사와 함께 특례시장도 물류단지의 지정 및 개발사업에 대한 결정권을 가지게 됐고, 진해항 관리권도 확보했다. 그뿐만 아니라 △마산항-진해항-진해신항을 통해 해양과 내륙을 연결하는 관문으로의 입지적 특성 △인구 104만의 대도시답게 잘 발달한 도로·교통 인프라 △지난 40여 년간 국가 경제를 견인해온 창원국가산단 중심의 탄탄한 제조업 생태계 등은 창원특례시를 ‘첨단제조국제물류도시’로 거듭나게 할 최적의 조건을 제공한다.

    창원 경제가 살아나기 위해서는 창원 제조업이 살아나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미래지향적인 물류 정책이 발굴·이행돼야 한다. 그러므로 창원특례시는 독자적이면서 지역적 고유성을 살린 물류 정책을 개발·수립하고, 성공적 이행을 위해 노력해야 한다. 당장은 스마트물류체계 구축을 위한 물류 전문가 양성, 전자상거래 및 물류산업 클러스터 조성 등 사람과 물자가 창원에 모여들 수 있는 기반 확보에 주력해야 할 것이다. 물류가 창원특례시로 흐를 때, 동북아뿐만 아니라 세계시장에서 경쟁력 있는 물류플랫폼의 중심도시로 성장할 수 있을 것이다.

    송효진(광주전남연구원 부연구위원)

    ※소통마당에 실린 외부 필진의 글은 본지의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 < 경남신문의 콘텐츠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전재·크롤링·복사·재배포를 금합니다. >
  • 페이스북 트위터 구글플러스 카카오스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