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   유튜브  |   facebook  |   newsstand  |   지면보기   |  
2024년 05월 17일 (금)
전체메뉴

[창간 76주년 특집 창원형 디지털 밸리] 미래형 첨단 자유무역지역, 청년이 찾는 기회의 땅으로

마산해양신도시 내 공공부지 6만6000㎡에
디지털 혁신타운, 연구·교육거점시설 추진
기존 자유무역지역 가동률 97.8% 포화

  • 기사입력 : 2022-03-02 08:02:21
  •   
  • 창원시는 마산해양신도시에 ‘창원형 디지털 밸리’ 조성 계획을 발표했다. 지식생산 거점인 ‘디지털 혁신타운’과 연구거점인 ‘글로벌 ICT 연구 협력공간’ 그리고 교육거점인 ‘글로벌 PBL’ 등이다.

    마산해양신도시는 전체 면적이 64만2167㎡(19만4000평)에 달하는 인공섬이다. 민간복합개발사업자 선정을 위한 협상은 잠정보류됐지만, 마산해양신도시에서 민간개발은 32%인 20만3119㎡(6만1000평)에 불과하다.

    두 배가 넘는 68% 면적인 43만9048㎡(13만3000평)는 공공부문으로 추진한다. 공공부분의 핵심 시설, 이른바 ‘빅2’가 바로 ‘창원형 디지털 밸리’와 ‘지역 특화형 문화시설(이건희 네트워크 뮤지엄)’이다.

    당초 창원시는 해양신도시 내 3만3058㎡ 부지에 디지털 혁신타운을 조성해 마산자유무역지역 확대 지정을 추진했지만, 이번 디지털 밸리 계획을 통해 연구거점 시설과 교육거점 시설까지 포함시켜서 그 규모를 2배로 키웠다.


    마산해양신도시

    ◇추진 경과= 판교 IT밸리는 부지면적은 창원국가산업단지의 70분의 1에 불과하지만, 매출액은 창원의 2배 이상이다. 첨단 고부가가치 산업이 입주해있기 때문이다.

    청년층 인구 유출이 지속되고 있지만, 이들이 일하고 싶은 기업이나 ICT(정보통신기술) 직종은 사실상 수도권에 밀집돼 있어 미래 혁신산업 유치는 지역 경제 활성화는 물론이고 인구 유입을 위한 정책적 효과도 거둘 수 있다.

    시는 창원형 디지털 밸리 조성을 위해 2020년 8월 마산자유무역지역 발전 포럼을 통해 부지 확대를 제안한 것을 시작으로 지난해 4월 산자부와 정책협의회에서 부지 확대를 공식 요청했다. 이어 12월부터 디지털 혁신타운 기본계획 및 타당성 용역이 진행 중이다.

    ◇자유무역지역 확대 필요성= 창원시가 산업자원부와 협의과정에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마산자유무역지역은 분양률이 100%, 공장 가동률은 97.8%로 포화상태다. 전국의 다른 자유무역지역과 비교(2019년 4분기 기준 한국산업단지공단 및 통계청 자료)하면 차이가 확연하다.

    마산자유무역지역 지정면적은 957㎡로 군산(1256㎡), 김제(991㎡), 대불(1838㎡) 등 타 자유무역지역에 비해 면적이 좁다. 그러나 입주업체는 179곳으로 군산(66개소), 김제(29개소), 대불(34개소)에 비해 많게는 6배 가까이 많아 밀집도가 높은 데다 더 이상 공간적 확대가 불가능한 상황이다.

    이는 신산업 유치와 기존 혁신기업의 확대를 통한 성장 동력 확보를 어렵게 하고 있다.

    디지털 혁신타운은 창원권에 비해 상대적으로 산업시설이 부족한 마산에 신산업을 유치하는 한편 기존 자유무역지역을 확대하는 미래 먹거리를 확보하는 전략의 일환인 것이다.

    ◇디지털 혁신타운= 디지털 혁신타운은 창원형 디지털 밸리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핵심 시설이다.

    창원시는 이미 수차례 산자부와 디지털 혁신타운 조성과 자유무역지역 확대 방안을 논의해왔고, 현재 디지털 혁신타운과 관련한 연구용역을 진행 중이다.

    시는 정주 여건 공간을 중심으로 5개 세부 건물을 구축할 계획이다. 디지털 혁신센터 1동(지하 1층~지상 8층, 9917㎡)과 혁신연구동 4개동(9층, 각 2314㎡) 등이다. 여기에 힐링 스페이스로 지상 1층에 1만6529㎡ 규모를 구상하고 있다.

    디지털 혁신센터는 △공유형 연구공간 △생산공간 △시험인증공간 등으로 활용되며, 총 685개 시설을 입주시킬 계획이다.

    혁신연구동에는 첨단산업인 데이터, 네트워크, AI(인공지능) 등 이른바 D.N.A 기업 720개 기업 입주를 목표로 한다. DNA 기업은 정부의 한국판 뉴딜의 핵심 기업군이기도 하다.

    힐링 스페이스는 공동 정주 공간으로 도서관, 공연장, 푸드코트 등에 85개 소상공업체를 입주시킨다는 구상이다.

    총사업비는 3200억원으로 추정하고 있고, 지방비 2600억원(토지현물 400억원 포함)을 투입하며, 국비 2400억원을 확보할 계획이다.


    ◇연구·교육 거점= 창원형 디지털 밸리의 나머지 공간(3만3000㎡)은 글로벌 ICT 연구협력공간(총사업비 1200억원)과 글로벌 PBL 교육공간(총사업비 600억원)으로 추진한다.

    글로벌 ICT 연구협력공간에는 정보통신기술 및 응용기술 연구, 제조 AI 및 소재 등 연구시설, 미래 모빌리티, 전자부품, 첨단물류 등 연구센터 입주를 추진한다.

    글로벌 PBL(Project Based Learning) 교육공간은 창원시 자매도시 대학인 드레스덴과 존스홉킨스 등을 활용하고, 시와 네트워크가 연결돼 있는 독일 프라운호프, 캐나다 워털루 대학 등 강사진을 활용해 수준 높은 교육을 제공해 인재를 양성한다는 구상이다.

    ◇전망= 창원형 디지털 밸리 조성사업은 자유무역지역 지정 요청 시점인 2023년부터 2027년까지 5개년에 걸쳐 총사업비 5000억원이 투입되는 대형 사업이다.

    시는 사업이 완료되면 생산유발 효과 1조310억원, 부가가치 유발효과 3917억원, 취업자 유발효과 4618명으로 예상하고 있다.

    시는 관련 용역이 완료되는 오는 6월 용역 결과를 바탕으로 ‘도시첨단혁신단지’ 지정과 관련한 행정절차를 본격화한 후 내년 상반기에 산자부에 자유무역지역 지정을 요청할 계획이다.

    차상호 기자 cha83@knnews.co.kr

  • < 경남신문의 콘텐츠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전재·크롤링·복사·재배포를 금합니다. >
  • 차상호 기자의 다른기사 검색
  • 페이스북 트위터 구글플러스 카카오스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