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   유튜브  |   facebook  |   newsstand  |   지면보기   |  
2024년 04월 26일 (금)
전체메뉴

[사설] 인구 감소 인한 지방 소멸 위기, 발등의 불이다

  • 기사입력 : 2021-01-05 20:28:43
  •   
  • 지난해 경남 인구는 334만216명으로 전년보다 2만2337명 줄었다. 서울, 경북에 이어 전국 3번째 감소세다. 경남 인구는 지난 2018년부터 3년 내리 내리막길을 걷고 있다. 특례시 지정을 앞두고 있는 창원시는 무려 8000여명이 줄어 103만명대로 내려앉았다. 이 문제는 OECD 국가 중 최고 수준의 저출산율과 급속한 고령화 등에 주안점을 두고 있는 인구문제와 분명 구분돼야 할 내용이다. 수도권 인구 비중이 2019년 50%에서 지난해 50.2%로 상승한 것은 경남의 인구 감소가 사회적 이동에 따른 것이라는 점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전문가들은 사회적 인구 이동의 이유로 ‘질 좋은 일자리 부족’을 들고 있다. 젊은 층이 일자리를 찾아 도시로 떠나면서 지방 공동화가 가속되고 있다는 말이다. 정주여건과 경제기반이 취약한 지역에서는 소멸 위기가 현실화될 것이라는 우려가 고조되고 있다. 통합 당시 110만명을 넘어섰던 창원 인구가 103만명 대로 내려앉은 것은 주택가격 상승으로 정주여건이 악화된 것이 한 원인일 것으로 분석된다. 군 단위 지역은 젊은 이들은 일자리를 찾아 계속 도시로 떠나는데 귀촌 인구는 정체하거나 오히려 줄고 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일부에서는 이런 상황이 지속될 경우 지방이 소멸될 것이라고 경고하고 행정구역 통합을 주장한다. 김경수 도지사는 부산·울산·경남을 경제, 사회, 관광, 문화공동체로 묶는 ‘부울경 메가시티’를 해결방안으로 내놓고 있다. 김 지사의 구상이 지방 소멸의 불씨를 끄는 데 얼마나 유효할 것인지에 대해서는 좀 더 숙고할 필요성이 있는 것으로 본다.

    당장 필요한 것은 대도시 인구가 작은 지방으로 이동할 수 있는 사회적 여건을 조성하는 일이다. 지역별 경제상황에 맞는 대규모 일자리 창출은 그중 한 시책이 될 수 있다. 양질의 일자리와 교육·주택 인프라 등 정주 여건만 갖춰지면 인구는 일부 돌아오게 돼 있다. 지자체들의 출산 장려금 지급 정책들이나 소멸 위기 지역들을 통합해 행정구역을 재편하는 방안은 대증요법일 뿐이다. 지방소멸위기는 당장 발등에 떨어진 불이라는 인식을 갖고 사회적 이동을 유도할 수 있는 근원적 대책을 세워야 한다.

  • < 경남신문의 콘텐츠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전재·크롤링·복사·재배포를 금합니다. >
  • 페이스북 트위터 구글플러스 카카오스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