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   유튜브  |   facebook  |   newsstand  |   지면보기   |  
2024년 06월 26일 (수)
전체메뉴

[세상을 보며] 진정 어린 반성이 필요한 친박계- 이종구(정치부 서울본부장·국장)

  • 기사입력 : 2016-05-04 07:00:00
  •   
  • 메인이미지

    지난 2012년 19대 총선 공천과정에서부터 새누리당의 주류로 올라섰던 친박(친박근혜)계가 4·13 총선 참패에 따라 해체 직전의 위기에 처했다.

    친박계는 지난 2007년 한나라당(새누리당의 전신) 대선후보 경선 당시 ‘박근혜 캠프’에 참여했던 인사들을 주축으로 탄생해 2012년 박 대통령 당선으로 전성기를 맞았으나, 20대 총선에서 참패하면서 위기에 몰렸다. 총선 패배의 책임이 공천을 주도했던 친박계로 집중되는 데다 박 대통령의 국정수행 지지율이 취임 후 최저 수준으로 떨어지면서 최악의 상황을 맞고 있다.

    이에 따라 친박계가 뿔뿔이 흩어져 각자도생(各自圖生)할 것이라는 전망이 제기되면서 옛 친이(친이명박)계와 마찬가지로 해체 수순을 밟을 것이라는 전망까지 나오고 있다.

    당장 현 정부에서 해양수산부 장관까지 지낸 친박계 중진 유기준 의원이 친박계 신좌장으로 불리는 최경환 의원의 만류를 뿌리치고 원내대표 경선에 출마한 게 이를 상징적으로 드러낸 장면이다. 비록 유 의원은 원내대표 출마 기자회견에서 밝힌 ‘탈(脫)계파 선언’이 ‘탈박 선언’이냐는 질문에 “그렇지는 않다”고 뒤늦게 해명했지만, 해체 직전의 위기에 처한 친박계의 상황을 대변하고 있다.

    친박계의 탈계파 움직임은 친박계 맏형 격인 서청원 의원과 최경환 의원, 이정현 의원, 원유철 전 원내대표의 발언에서도 읽을 수 있다. 서청원 의원은 지난달 26일 새누리당 당선인 워크숍에서 “모든 걸 훌훌 털겠다”며 “일부 언론에서 국회의장 얘기가 나오지만 야당이 주지 않아 다 접어야 한다”고 말했다. 총선 당내 경선 당시 ‘진박 감별사’ 역할을 자처했던 최경환 의원도 최근 주변에 “전당대회에 출마하는 문제는 마음을 비운 지 오래”라면서 “등을 떠밀어도 안 나가고 싶은 심정”이라는 복잡한 심경을 토로한 것으로 알려졌다.

    일찌감치 당권 도전을 선언한 친박계 핵심 이정현 의원은 “진박이네 친박이네 하는 계파를 완전히 초월하겠다는 의지를 보여야 한다”면서 “그러지 않으면 도로 새누리당으로 돌아가게 된다”고 주장했다. 유승민 전 원내대표 경질 이후 비박에서 친박으로 갈아타 신박(새로운 친박계)으로 불리던 원유철 전 원내대표도 “국민의 머릿속에서 ‘친박’이라는 글자를 어떻게 지울지 방법을 좀 찾아보려고 한다”며 계파 구도에 대한 거부감을 드러내기도 했다.

    하지만 친박계의 이러한 움직임이 국민들에게는 아직 진정 어린 반성으로 와닿지는 않고 있다. 지난달 26일 당선인 워크숍 당시 공개회의에서는 국민 앞에 반성한다고 고개를 숙이는 이벤트를 연출한 뒤, 비공개회의에서는 ‘남탓’을 한 것이 친박계의 모습이다. 그래서 일각에서 다음 전당대회에서 친박 측 당권 장악을 위한 ‘2보 전진을 위한 1보 후퇴’라는 분석도 나오고 있는 것도 이 때문이다.

    친박계의 위세는 4·13 총선 공천까지만 해도 정말 대단했다. 지난 2007년 한나라당 대선후보 경선 당시 이명박 캠프에서 활동하고 이명박 정부 고위직까지 지냈던 한 인사가 공천을 앞두고 계파 성향에 대한 질문에 “당연히 친박으로 분류해 달라”고 했다는 것만 봐도 짐작할 수 있다.

    4·13 총선은 이렇게 위세등등하고 안하무인이었던 새누리당 친박계에 대해 국민들이 철퇴를 내린 사건이다. ‘모든 친박계 인사의 당권 도전 포기’ 등 진정 어린 반성이 절실하다.

    이 종 구

    정치부 서울본부장·국장

  • < 경남신문의 콘텐츠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전재·크롤링·복사·재배포를 금합니다. >
  • 이종구 기자의 다른기사 검색
  • 페이스북 트위터 구글플러스 카카오스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