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   유튜브  |   facebook  |   newsstand  |   지면보기   |  
2024년 04월 29일 (월)
전체메뉴

/초점/ 창원시 자원재활용 정책 어떻게

시설 확충·분리배출 활성화로 재활용률 34% -> 40% 높인다
음식물류폐기물 처리용량 증설
재활용선별장 시설 개선 추진

  • 기사입력 : 2015-04-28 07:00:00
  •   
  • 메인이미지
    창원시 자원재활용센터 내 재활용 처리동에서 혼합쓰레기를 분류하는 작업을 하고 있다./전강용 기자/


    창원시가 올해 재활용률 목표를 40%로 설정하고 음식물류폐기물 시설과 재활용 선별장시설 등을 확충한다.

    재활용률이란 쓰레기 총발생량 대비 재활용품 반입량을 의미한다. 창원시는 지난 2011년 25%, 2012년 29%, 2013년 30%, 2014년 34%(쓰레기 발생량 33만6500t, 재활용품 반입량 11만7000t)로 해마다 재활용률을 높이고 있다.

    시는 올해 자원순환 집행 계획을 통해 재활용이 활성화되는 자원순환형 도시기반 조성을 목표로 △자원순환률 제고를 위한 시설 확충 △재활용품 분리배출 활성화 추진 △자원순환 체계 구축 및 활성화 △재활용 수요기반 조성 △1회용품 사용 규제 및 포장폐기물 감량 △음식물류폐기물의 감량화 △품목별 재활용 강화 등을 주요 내용으로 추진한다.

    먼저 120억원의 사업비를 들여 내년까지 음식물류폐기물처리장을 하루 235t에서 335t까지 처리할 수 있게 100t 증설하고, 또 마산음식물처리장 저장조 규모도 6월까지 현재 80t에서 180t으로 확대한다. 이 시설들이 완공되면 음식물폐기물의 재활용도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하반기까지 진해재활용선별장 선별시설을 개선해 재활용품 배출량 증가에 대비하고, 재활용품 분리배출 방법에 대해 주민 홍보 강화 및 주민들의 자율적 참여도 적극 유도할 계획이다. 재활용선별장은 창원시에 모두 3개 있으며 하루 271t을 처리할 수 있다.

    폐건전지·폐형광등 분리배출 및 재활용을 위해 분리수거함을 확대(816대→1016대) 보급하고 종이팩, 폐식용유의 분리를 위해 주민 홍보도 강화한다. 또 폐전자제품의 재활용을 위해 올해 3월부터 PC 세트, 오디오, 전자제품 등 중형폐가전제품으로 품목을 확대 시행, 가전제품의 자원재활용도 늘어나고 있다.

    이와 함께 폐자원 재사용을 촉진하고 효율적인 폐자원 거래를 홍보하기 위해 오는 9월까지 환경부에서 추진하는 ‘폐기물 거래 UP’ 캠페인에도 참여하고 있다.

    특히 지난해 4월부터 도입한 대형폐가전제품 무상방문 수거사업의 경우 주민대상 지속적인 홍보를 실시한 결과 창원시는 1만가구 기준 42.2대(도내 시 지역에서 가장 높은 실적)로 경남도 평균 39.9대에 비해 높은 실적을 보였으며 경남도가 전국 2위를 달성하는데 많은 기여를 했다.

    또 폐형광등 수거함 861개소 비치, 폐건전지·폐휴대폰 수거 캠페인, 종이팩 수거 활성화를 추진한 결과 2014년 정부합동평가에서 1인 재활용률 경남도내 1위를 차지하는 우수한 성적을 달성했다.

    지난해 1억7800만원을 들려 농어촌지역 폐비닐·농약빈병 집중수거 사업을 펼쳐 폐비닐 1817t, 농약빈병 24t을 수거했으며, 1회용품 사용규제를 강화하는 정책을 시행해 2만2283개업소 중 3005개소를 점검해 6개소의 위반업소를 적발, 140만원의 과태료를 부과했다.

    설·추석 및 각종 기념일을 중심으로 포장폐기물 1579건을 점검해 157건의 포장검사명령을 내렸으며 폐식용유 분리수거 및 재활용 시책으로 지역 208개소에 폐식용유 수거통을 비치해 지난해 17.54t을 수거해 비누제작, 산업용 연료 등으로 재활용했다.

    김태순 자원재활용 계장은 “자원재활용은 시민 삶의 질과 연관된 사업으로 특히 재활용시설 확충, 재활용 분리배출 활성화, 자원순환 체계 구축 등을 차질 없이 추진해 가정에서 버려지는 폐기물이 지속가능한 가치창출과 성장원천이 될 수 있도록 자원순환형 도시 구축에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종훈 기자 leejh@knnews.co.kr

  • < 경남신문의 콘텐츠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전재·크롤링·복사·재배포를 금합니다. >
  • 이종훈 기자의 다른기사 검색
  • 페이스북 트위터 구글플러스 카카오스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