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   유튜브  |   facebook  |   newsstand  |   지면보기   |  
2024년 04월 27일 (토)
전체메뉴

[경제인칼럼] 전기차로 창원을 누비자- 김호용(한국전기연구원장)

  • 기사입력 : 2012-10-15 01:00:00
  •   



  • 환경 보전과 시민 복지를 위한 창원시의 누비자 자전거 정책이 성공적으로 정착되고 세계 선진국에도 수출할 수 있는 모델로 자리매김해 감에 자부심 또한 느낀다.

    2010년 7월, 3개 시(창원, 마산, 진해)가 통합된 창원시는 통합 당시 인구 108만, 면적 744㎢를 가진 도시이지만 통합 이전의 창원시는 인구밀도(51만/293㎢)가 높고 분지 지형을 이루고 있어 대기환경에 많은 관심을 가질 수밖에 없었고, 그로 인해 누비자와 같은 친환경정책이 뿌리를 내리고 정착될 수 있는 여건이 마련된 것으로 보인다.

    창원시는 3개 시의 통합으로 동남권 산업거점 도시로서뿐만 아니라 남해안 시대의 중심축으로 지역발전과 아울러 국가 산업발전의 큰 역할을 담당해야 하는 주요 자족 도시 기능을 갖추게 되었다.

    창원시 주요지표를 살펴보면, 2010년 말 기준 총 등록차량은 53만3858대, 그중에서 관용은 1300여 대, 화물차는 6만6000대, 영업용은 4만여 대에 이른다. ‘환경수도’답게 환경부로부터 ‘전기자동차 선도도시’로 선정된 바 있으며 친환경 자동차인 전기자동차가 50여 대 운행되고 있다. 이는 서울시를 제외하고는 전국에서 최고의 보급률이다.

    전기자동차 보급과 운행에 필수요소인 전기충전소 인프라도 잘 갖춰져 있다. 현재 충전시간이 5~6시간 정도 걸리는 완속충전기는 80대, 충전시간이 20분 정도 소요되는 급속충전기는 10여 대가 설치되어 전기자동차 운행에 자칫 걸림돌이 될 수 있는 부실한 충전 인프라를 전국에서 가장 잘 갖추어 놓고 있다. 이러한 충전 인프라는 2012년까지 보급을 목표로 하는 공공기관의 전기자동차 운행에는 큰 문제가 없는 상황이다.

    전기자동차의 보급은 환경과 에너지 안보 측면에서는 이점이 있지만 전기차 대중화를 위해선 갈 길이 멀다. 창원시의 주택 보급률은 101%이며 37만2000가구이다. 주택 형태별로는 단독 16만, 다가구 10만8000, 아파트 약 20만 가구와 그 외 연립주택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개인의 전기자동차 구매가 가능한 내년부터는 차량소유자 및 운전자의 편의성 측면에서 차량소유자의 각 가정에 1대의 충전기를 설치할 필요가 있다.

    단독 및 연립주택의 경우 충전기 설치가 비교적 용이하지만 기존의 아파트 거주자의 경우 본격적으로 전기자동차가 보급될 때까지는 일부 주차지면에서 충전 가능하도록 개별 충전기 또는 아파트단지별 급속충전기 설치가 필요하다.

    전기자동차 충전 비용을 소유자에게 부과할 수 있는 방법도 고려되어야 한다. 아울러 창원시의 환경 대기오염 개선을 위해서는 하루 운행거리가 상대적으로 긴 1300여 대의 관용 차량, 각 기업에서 업무용으로 운행되고 있는 차량을 비롯해 6만 대가 넘는 영업용 및 우체국과 쇼핑센터의 택배차량과 화물차를 친환경 차량으로 대체할 필요가 있다.

    그 밖에 본격적인 보급 촉진을 위해서는 아직 비싼 전기차 가격문제도 정부와 자동차 제작사에서 풀어야 할 숙제로 남아있다.

    하지만 가정에서 충전이 가능하고 1회 충전으로 100km 이상을 운행할 수 있으며, 값이 싼 심야전력으로 충전하면 1회 충전요금은 800원이라는 경제적 특장점은 전 세계적으로 전기자동차의 대중화라는 거스를 수 없는 흐름을 만들고 있다. 그런 의미에서 전기자동차는 누비자 자전거 이후 환경수도 창원시의 환경을 지키는 선진교통도시의 새로운 아이콘으로서 가장 적합한 교통수단이 될 것이다.

    또한 새로운 개념의 친환경 교통체계 구축과 전기차를 새로운 산업 수종으로 육성하고자 하는 창원시의 입장에서 전기자동차와 주요 부품 육성은 가치가 높은 기회 산업이 될 것임에 틀림없다.

    김호용(한국전기연구원장)
  • < 경남신문의 콘텐츠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전재·크롤링·복사·재배포를 금합니다. >
  • 페이스북 트위터 구글플러스 카카오스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