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   유튜브  |   facebook  |   newsstand  |   지면보기   |  
2024년 06월 17일 (월)
전체메뉴

[사설] 중기 인력난 심화… 가능한 대책 총동원해야

  • 기사입력 : 2024-05-21 19:57:37
  •   
  • 창원지역 중소기업의 인력난이 심각한 상황에 이르고 있다. 창원상공회의소가 최근 중소제조업체 245곳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응답업체의 49.8%가 기술기능직 부족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매출규모가 연 200억원 미만의 기업에서는 기술기능직 53.8%, 단순생산직 40%가 부족했다고 응답할 정도로 매출이 적은 회사일수록 인력난이 심화되고 있다. 문제는 중소제조업체 80%가 채용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것이다. 이번 조사 결과는 중소기업 현장에서 인력난이 극심하다는 것을 단적으로 보여준다. 청년실업률이 여전히 높은데도 중소기업에서 인력난을 겪는 것은 고용시장의 미스매치가 주요 원인이 되고 있다는 방증이다.

    중소기업의 평균 연봉이 단순노무 3876만원, CATIA·CAM업종 4465만원으로 적지 않은데도 미스매치가 발생하는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겠으나 중소기업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이 가장 큰 걸림돌이고, 구직자가 정작 몰라서 못 가는 경우도 있다. 이런 측면에서 중소기업 인력난 해결의 출발점은 미스매치 해소가 돼야 한다. 창원상의가 기업·구직자의 일자리 불균형 해소 방안으로 정보공유채널 구축을 우선 과제로 꼽은 이유도 여기에 있다. 도내 대학과 기업, 지방자치단체가 참여해 중기중앙회가 운영하는 ‘참 괜찮은 중소기업’과 같은 형태의 정보 플랫폼을 구축, 직무·자격·보상체계 등을 제공하면 인력난 해소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청년층이 기피하는 단순 생산직에 대한 인력난 해소 방안도 필요하다. 창원상의가 제안한 외국인 유학생 고용특례제도, 특정활동비자(E-7)의 제조업 생산직 허용 등이 대안이 될 수 있다. 이것은 중소벤처기업부가 지난달 외국인 유학생 비자를 E-7로 전환할 수 있도록 검토하겠다고 한 것과 같은 맥락이지만, 현재 국내 대학에 온 외국인 학생 가운데 E-7 비자를 받아 취업에 성공한 비율이 8%에 불과하다는 점에서 유학생에 대한 취업규제를 대폭 완화해야 한다. 앞으로 일자리 미스매치와 함께 저출생으로 인한 중소기업의 인력난이 심화될 수밖에 없다. 인력난 해소를 위해 선제적으로 가능한 대책을 총동원할 필요가 있다.

  • < 경남신문의 콘텐츠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전재·크롤링·복사·재배포를 금합니다. >
  • 페이스북 트위터 구글플러스 카카오스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