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   유튜브  |   facebook  |   newsstand  |   지면보기   |  
2024년 04월 29일 (월)
전체메뉴

[기고] 마산의 쇠퇴가 시민의 책임인가- 윤봉현(전 마산시의회의장)

  • 기사입력 : 2022-08-24 20:58:32
  •   

  • 마산 출신의 정치인이나 공무원, 지방의회 의원, 마산의 쇠락을 안타까워하는 출향인들과 시민들이 자주 쓰는 말은 ‘1980년대 한때 마산은 전국의 7대 도시였다’는 회한에 찬 넋두리다. 가고파의 앞바다와 함께 아름다운 예향이자 자유와 민주 정의의 도시라던 마산이 시의 명칭도 없어졌고 도시의 정체성마저 잃어버린 오늘의 모습을 보면서 어찌 안타까운 마음이 들지 않겠는가.

    지난 2003년 김두관 행정안전부 장관의 3개 도시통합 광역시 발언 이후 2009년 이명박 대통령의 광복절 경축사에서 지방행정체제 개편안이 언급되고 당시 이달곤 행정안전부 장관의 통합 시군에는 사회간접자본 우선순위와 국고 보조율 10% 향상과 통합 전 시군별로 특별교부세와 지방교육재정교부금 추가 지원 약속 등도 있었다.

    시민들은 마산 창원 진해 3개 시가 통합되면 불필요한 중복 투자를 막게 되고 광역시로 승격될 거라는 기대를 했었다. 그러나 10년이 더 지난 지금의 시점에서 보니 광역시의 꿈도 경남도의 입장이 있어서 될 수가 없었고 기대됐던 통합의 시너지 효과도 나타내지 못했으며 결국 통합 창원시의 중심부에서 밀려난 마산은 중심부 없이 주변부만 있는 지역으로 변했다.

    역사와 전통의 도시 마산이 쪼그라들기 시작한 것은 정부의 정책 때문이었다. 부산에 있었던 경남도청을 창원으로 옮기면서 시작된 마산의 쇠락은 마산법원과 마산검찰청, 마산KBS, 마산대학(지금의 창원대학교) 등 마산에 있던 공공기관과 도 단위 기관들이 속속 창원으로 이전해 감으로써 마산의 공동화를 재촉했고 결국 경남의 수부 도시였던 마산은 그 영광과 명성도 모두 잃고 시민들의 자긍심에도 씻을 수 없는 상흔만을 남긴 체 전국 최초의 도시통합이라는 허울 좋은 미명만 안고서 오늘을 맞고 있다.

    법률의 지방자치단체 종류에도 없는 특례시라는 명칭도 점점 줄어드는 인구로 인해 명맥을 걱정해야 하는 현실은 마산시민들이 무슨 잘못을 했기에 이런 아픔을 안고 살아야 하는지 알 수가 없다. 내 고향 남쪽 바다를 노래하던 노산의 가고파 앞바다에는 정부의 해양 준설토 집적지로 19만 평이 넘는 작은 섬이 만들어졌다. 역설적으로 이제 이곳을 어떻게 개발하느냐가 마산의 미래를 개척하는 새로운 기회로 생각된다.

    따라서 약 980억 남았다는 채무 때문에 이곳을 일부 매각해 아파트를 짓는 등의 난개발은 절대로 안된다. 이 땅은 특별법을 만들어서라도 국비 지원을 받아내고 상처를 입은 마산시민을 위한 공공개발이 되게 해야 한다. 뛰어난 입지환경을 갖춘 곳이 마산만이다. 국회의원과 시장, 지방의회 의원과 시민들이 힘을 합쳐 국내외 최고의 관광 명승지로 만들고 창원특례시가 아닌 창원특별자치시로 반드시 승격시켜서 도시명을 잃어버린 마산과 진해시민에게 도시 통합의 명분이 제자리를 잡을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윤봉현(전 마산시의회의장)

  • < 경남신문의 콘텐츠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전재·크롤링·복사·재배포를 금합니다. >
  • 페이스북 트위터 구글플러스 카카오스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