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시론] 2020년 겨울, 그리움의 시간에- 이동찬(한국산업단지공단 경남본부장)
겨울은 그리움의 계절이다. 지나 온 추억을 더욱 진하게 만드는 그리움이란 단어는 양파의 속...2020-12-27 19:54:10
[경남시론] 소맷자락이 길면 춤이 아름답다- 허성원(신원국제특허법률사무소 대표 변리사)
야린 물 미역이 아침 밥상에 올라왔다. 액젓장으로 쌈을 싸서 입에 우겨 넣는다. 입 안에 가득...2020-12-22 19:57:51
[경남시론] 원격교육에서의 학습격차- 김성열(경남대 교수 한국교육학회장)
코로나 상황으로 인한 원격 교육이 두 학기 계속되고 있다. 지난 1학기에는 등교 수업이 거의 ...2020-12-20 20:18:44
[경남시론] 변하지 않는 마음의 보석 ‘자아존중감’ - 정보현 (폴리텍Ⅶ대학 교양학과 인성전담교수)
2020년은 첨단 과학문명과 의학기술로 승승장구하던 인류가 코로나19로 충격과 상처를 받은 해이다. 연말이 되면 ‘다사다난’했던 해라고 표현하지만, 특히 올해는 건강, 경제, 사회 전반에서 너무도 다사다난했다....2020-12-15 21:19:33
[경남시론] 잠시 멈춤, 돌아보기, 그리고 새로운 도약 준비 - 강기노 (마산대 입학처장)
올 초 발생한 코로나19는 국내외를 불문하고 사람들의 생활 전반과 거의 모든 이슈에 직·간접...2020-12-13 20:58:43
[경남시론] 해상풍력이 답이다- 박민원(경남창원스마트산단사업단장)
영국은 1970년대 오일쇼크로 인해 국가 전체적으로 큰 장기불황에 빠진다. 이는 제조업의 불황...2020-12-08 21:05:00
[경남시론] 2020 원더키디- 한성태(한국전기연구원 전기물리연구센터장)
지난달 중순, 미국의 민간 우주기업 스페이스-엑스는 우주인 4명을 태운 유인 캡슐 ‘리질리언...2020-12-06 19:51:39
[경남시론] 고양이의 본능이 놀랍다- 이이화(연구공간 파랗게날 대표연구원)
백년한옥에 길고양이 가족이 산다. 아, 이제 가족이라고 하기가 모호하다.
지난가을 꼬리 짧...2020-12-01 20:22:31
[경남시론] 세계는 지금, 메가시티 경쟁시대- 김태영(경남연구원 연구기획조정실장)
최근 지방의 인구감소 및 경기침체가 지속되면서 지역쇠퇴에 대한 대안으로 메가시티 전략이 ...2020-11-29 19:57:38
[경남시론] 소멸되지 않으려면 두뇌조직을 두어야 한다- 김광기(인제대 보건대학원 원장)
지방이 소멸할 것이라는 경고등이 켜져 있다. 인구 고령화와 저출산의 흐름은 지방의 농어촌 ...2020-11-24 20:08:26
[경남시론] 증세, 사회연대, 설득의 정치 - 감정기 (경남대 명예교수)
복지재정에 관한 얘기를 하다 보면 가끔 등장하는 ‘눔프(NOOMP)’라는 용어가 있다. 영어 ‘Not ...2020-11-22 21:46:06
[경남시론] 오월동주 (吳越同舟)- 최준홍(경남벤처기업협회 사무처장)
묵은해를 보내고 새해 새 희망을 꿈꾸는 시점이다. 그러나 다가오는 새해에는 걱정이 더 많다....2020-11-17 20:32:39
[경남시론] 무죄추정의 원칙- 이수경(법무법인 더도움 변호사)
무죄추정의 원칙이 가장 논란이 된 사건들 중 하나로 미국의 오 제이(O.J.) 심슨사건이 있다.
...2020-11-15 20:17:02
[경남시론] 창동 허새비- 정기식(창원시정연구원 경영지원실장)
환경운동은 1987년 6월 항쟁 이후 시민들의 민주주의 의식이 크게 높아지면서 시민운동의 한 영...2020-11-10 20:11:06
[경남시론] 학교혁신과 학교장- 김성열(경남대 교수·한국교육학회장)
교육부와 시·도교육청들은 사회변화에 따라 초·중·고등학교를 혁신하기 위하여 끊임없이 노력하...2020-11-08 20:10: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