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시론] 탈·친원전 논쟁? 신재생·에너지믹스 논쟁- 정성기(경남대 경제금융학과 교수)
급진적 탈원전정책에 올인한 문재인 대통령은 2020년 9월, 화력, 창원의 두산중공업(현 두산에...2022-07-05 20:26:57
[경남시론] ‘친일인명사전’과 ‘정의란 무엇인가’- 이상준(한울회계법인 대표 공인회계사)
새 정부의 국무총리와 몇몇 장관에 대한 인사청문회에서도 우리의 기대는 처참하게 무너져버렸...2022-07-03 20:13:52
[경남시론] 사과의 정석- 허성원(신원국제특허법률사무소 대표변리사)
얼마 전 음악인 유희열이 표절 논란에 대해 공개 사과했다. 다른 지적들이 있긴 했지만, 사과문...2022-06-28 20:32:32
[경남시론] 위기의 지방대학 - 지방대학이 지역경제다- 송신근(창원대 회계학과 교수)
한때 지방에 있는 두 대학의 통합이 아주 깊이 있는 수준까지 논의되었던 적이 있다. 하지만 대...2022-06-26 20:23:40
[경남시론]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책임분담- 진병진(창원대 국제무역학과 교수)
인류의 생존에 위험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기후위기에 대한 우려가 높아지고 있다. 이와 관련...2022-06-21 20:32:30
[경남시론] 우크라전, 협상에 주목할 때- 이진로(영산대 자유전공학부 교수)
러시아의 우크라이나의 침공이 지난 2월 24일 발발 이후 4개월 가까이 계속되고 있다. 전쟁의 ...2022-06-19 20:25:29
[경남시론] 경남을 항공우주 글로벌 메카로- 노충식(경남테크노파크 원장)
다가오는 7월, 민선 8기가 출범한다. 경상남도에서는 박완수 후보가 경남도지사로 당선된 가운...2022-06-14 20:11:05
[경남시론] 안 되면 되는 거 하자- 최국진(한국폴리텍Ⅶ대학 창원캠퍼스 교수)
어찌 보면 당연한 말인데, 필자를 포함한 기성세대에게는 살짝 낯설다. 돌이켜 보니 몇십 년을 ...2022-06-12 20:50:11
[경남시론] 대학 구성원이 바라본 사회 변화 일면- 정필승(인제대 미래에너지공학과 교수)
사회에 대학이란 어떤 기관인가? 전 세계 공통으로 대학은 고등교육기관으로서 전문분야를 탐색...2022-06-07 20:49:10
[경남시론] 분노의 올바른 사용법- 김대군(경상국립대 윤리교육과 교수)
오늘은 지방선거 및 국회의원 보궐선거일이다. 민주주의에서 선거일은 모든 권력은 국민에게서 ...2022-06-01 00:17:27
[경남시론] 생일케이크에 몇 개의 초를 꽂으시나요?- 정성헌 (경남대 법학과 교수)
최근 우리나라에서의 모든 나이를 만으로 계산하겠다는 정책이 발표되면서 나이에 대한 관심...2022-05-30 08:08:02
[경남시론] 정치인과 염치- 전수식(창원시정연구원장)
대선과 지선, 그리고 국회의원 보궐선거까지 겹쳐진 선거의 계절도 끝물에 접어들었다. 선거 때...2022-05-24 20:26:36
[경남시론] 잃어버린 금도의 미학- 김종원(경남도립미술관장)
이른바 선거의 시절이다. 각 지방자치단체의 장과 의회 의원을 선출하는 거국적으로 행하여지는...2022-05-22 20:25:48
[경남시론] 경남의 스마트팜- 안소영(창신대 글로벌관광경영학부 교수)
농업은 참 매력적이다. 흙을 만지며 몸을 움직이고, 동식물과 교감을 나누며 키우고, 수확하면서 결실...2022-05-17 20:14:45
[경남시론] 민주주의 위기와 反지성주의 극복, 그리고 지방선거- 강기노(마산대 입학처장·간호학과 교수)
윤석열 정부가 출범했다. 윤 대통령은 취임식 연설에서 ‘반지성주의 극복’이라는 다소 낯선 단...2022-05-15 20:28: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