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촉석루] ‘도시 브랜드’·‘도시공공디자인’ 이거 아나- 서정렬(영산대 부동산학과 교수)
‘도시슬로건’ 또는 ‘도시브랜드’는 지역 또는 도시의 경쟁력을 돋보이게 만드는 장치다. 아니 ...2023-09-26 19:33:14- 촉석루 10월 필진
10월 한 달간 촉석루 칼럼을 집필할 5명의 필진을 구성했습니다. 각 분야에서 활동을 하고 있는 필자들은 다양한 글감으로 독자 여러분을 찾아갈 것...2023-09-26 19:33:11
[촉석루] 맛도 좋고 빛깔도 좋으려면- 박진현(경남도의원)
얼마 전 지인으로부터 플럼코트라는 과일을 선물받았다. 자두의 상큼함과 살구의 달달함을 반반...2023-09-25 19:32:56
[촉석루] 살고 싶고, 오고 싶은 지역의 매력- 김주영(밀양소통협력센터 본부장)
매력적인 도시는 비슷한 공통점이 있고, 쇠락하는 도시는 나름의 문제가 있다. 낯선 밀양에 살...2023-09-24 19:32:21
[촉석루] 플라세보(placebo)- 임창연(시인)
플라세보란 말은 ‘기쁨을 주다.’ 혹은 ‘즐겁게 하다’라는 뜻으로 라틴어에서 유래되었다고 한...2023-09-21 19:21:24
[촉석루] humanitarianism(인도주의)- 하재성(대한적십자사 경남혈액원장)
humanitarianism, 다소 생소한 이 영어 단어는 스펠링의 수만큼이나 발음이 어렵다. 바로 인...2023-09-20 19:43:55
[촉석루] 경상남도 인구감소, ‘생활인구’로 엑시트(Exit)- 서정렬(영산대 부동산학과 교수)
거창·고성·남해·산청·의령·창녕·하동·함안·함양·합천군, 밀양시 등은 경남에 속한 지역들이다....2023-09-19 19:54:23
[촉석루] 신토불이- 박진현(경남도의원)
아침이 밝았다. 어둑한 방에 불을 켜고 블루투스 스피커에 신나는 노래를 주문한다. 새하얀 도...2023-09-18 20:01:59
[촉석루] 청년, 지역의 미래를 위한 가장 확실한 투자- 김주영(밀양소통협력센터 본부장)
서울에서 나고 자랐지만, 지금은 농촌에서 살고 있는 청년들을 인터뷰한 적이 있다. 농사를 짓...2023-09-17 19:34:31
[촉석루] 오펜하이머- 임창연(시인)
그는 2차 세계대전 동안 원자폭탄을 제조한 로스앨러모스 연구소의 소장을 지냈다. 로버트 오펜...2023-09-14 19:27:58
[촉석루] 헌혈자에게 존경과 찬사를- 하재성(대한적십자사 경남혈액원장)
우리나라의 헌혈 역사를 보면 6·25전쟁 이후 1954년 국립중앙혈액원의 주도로 매혈이 이루어...2023-09-13 19:33:43
[촉석루] 경남 ‘10대 히트상품’, 이거 들어봤나- 서정렬(영산대 부동산학과 교수)
지자체라면 자기 ‘도시’나 ‘지역’ 알리기를 마다하지 않는다. 도시나 지역브랜드가 국가브랜드...2023-09-12 19:26:38
[촉석루] 월남에서 돌아온 새까만 김상사- 박진현(경남도의원)
1969년 김추자의 데뷔곡 ‘월남에서 돌아온 김 상사’는 베트남 전쟁을 상징한 대표 노래다. 당시...2023-09-11 19:28:35
[촉석루] 인구의 새로운 패러다임, 관계인구- 김주영(밀양소통협력센터 본부장)
궁금증 하나. 주중에는 경남 밀양에서 일하고, 주말에는 전북 완주에 머무는 사람은 어느 지역...2023-09-10 19:25:27
[촉석루] 극단적인 선택- 임창연(시인)
‘공교육 멈춤의 날’이라는 슬로건을 걸고 20만 명이라는 교사들이 거리를 가득 메웠다. 이날 ...2023-09-07 19:41: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