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   유튜브  |   facebook  |   newsstand  |   지면보기   |  
2024년 06월 02일 (일)
전체메뉴

[사설] 운행 재개했지만 합의 못한 창원 시내버스

  • 기사입력 : 2023-04-20 19:32:41
  •   
  • 노조의 파업으로 멈추었던 창원 시내버스가 파업 하루 만에 운행이 재개되어 시민들이 출퇴근하는 데 큰 불편을 덜었다. 하지만 시내버스 노사 간 교섭에서는 합의된 내용이 없어 협상은 계속 이어진다고 한다. 창원시와 버스노조에 따르면, 19일 파업에 들어간 창원 시내버스 9개 사 노조는 창원시 중재 하에 사측과 이날 오후 4시 30분부터 7시 30분까지 교섭을 거쳐 파업을 철회하기로 했다. 당시 교섭에서 합의사항이 결정되지는 않았지만, 시민 불편 사항이 커지고 있는 점에 관해 공감대를 형성했다고 한다. ‘선 정상 운행’→‘후 협상 계속’은 시와 시내버스 노사가 시민 불편을 최우선 고려해 결정한 임시방편이지만 일단 환영할 일이다.

    노조가 파업 하루 만에 철회한 배경에는 시의 개입이 결정적인 역할을 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 파업을 전후로 노사 간 갈등을 줄이고 조속히 합의를 이끌어 내기 위해선 행정의 적극적인 개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많았다. 이에 시가 중재자 역할을 맡아 곧바로 정상 운행 재개를 이끌어 낸 것은 늦은 감이 있지만 잘한 일이다. 하지만 이번 사태를 바라보는 시민들의 반응은 싸늘하다. 파업 사태가 예고됐음에도 시가 비상수송대책을 부실하게 수립한 데 대해서도 불만이 컸다. 특히 시민들은 지난 2021년 시내버스 준공영제가 시행됐는데도 불구하고 파업과 갈등이 계속되고 있는지에 대해 의문을 갖고 있다.

    시는 2021년 9월 준공영제 시행에 따른 재정지원금을 2021년 634억, 2022년 877억원 지원했다. 이는 준공영제 시행 전인 2018년 398억원, 2019년 432억원, 2020년 506억원과 비교하면 크게 늘어난 규모다. 이처럼 많은 예산을 투입하는 대신 노선운영 관리·조정과 요금 결정, 관리·감독 등 권한을 가진 시가 노사 갈등 중재에 주도권을 쥐지 못한다면 “이럴 거면 준공영제를 왜 했나”는 비판에 직면할 수 있다. 노사 양측도 서로 자신만의 주장을 고집해선 안 된다. 시 재정 지원금은 해마다 눈덩이처럼 불어나고 있는데 임단협 때마다 노사가 벼랑 끝 대결을 이어간다면 결국 시민들이 외면하게 될 것이다.

  • < 경남신문의 콘텐츠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전재·크롤링·복사·재배포를 금합니다. >
  • 페이스북 트위터 구글플러스 카카오스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