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   유튜브  |   facebook  |   newsstand  |   지면보기   |  
2024년 04월 27일 (토)
전체메뉴

[세상을 보며] 생뚱맞은 ‘김해·양산 부산 편입론’- 이종구(김해본부장)

  • 기사입력 : 2023-11-07 19:33:37
  •   

  • “생뚱맞다.” “말이 안 된다.” 국민의힘 소속 부산지역 국회의원발 ‘김해·양산 부산 편입론’에 대한 경남도민들의 대체적인 반응이다.

    국민의힘 박수영(부산남구갑) 의원은 지난 3일 페이스북을 통해 “부산도 메가시티가 되고 싶다”며 김해·양산의 부산 편입을 주장했다. 그는 “부산에 연접한 김해와 양산은 부산으로 또는 부산에서 출퇴근하는 주민들이 많기 때문에…김해와 양산 시민들에게 부산과의 통합의사를 물어보지 않을 이유가 없다”며 “만일 3개 도시가 통합되면 메가 부산은 인구 418만명, 면적 1720.4㎢에 달하는 자족도시가 된다”고 했다. 국민의힘에서 경기 김포시의 서울 편입 이슈를 다룰 특위 위원장을 맡은 조경태 의원(부산사하을)도 이날 부산시·국민의힘 부산시당 예산정책협의회에서 “국가균형발전 측면에서 ‘메가시티 부산’을 재점화시킬 필요가 있다고 본다”고 밝혔다.

    박 의원과 조 의원의 주장은 국민의힘에서 추진하고 있는 ‘경기 김포의 서울 편입’ 움직임과 마찬가지로 부산도 경남의 연접한 지자체인 김해와 양산을 편입해 ‘메가시티 부산’을 만들자는 이야기다. 이 주장은 한마디로 표를 먹고사는 국회의원으로서 부산시민의 입맛에 맞춘 정치적 발언 그 이상도 그 이하도 아니다. ‘메가시티 서울’에 대응해 ‘메가시티 부산’을 만들자는 것으로 일견 말이 되는 듯이 보이지만, 동남권만 봤을 때는 부산을 키우기 위해 경남은 희생시켜도 상관없다는 논리다.

    국민의힘에서 추진하는 ‘메가시티 서울’은 기존 서울이 면적 605㎢에 950만명이 다닥다닥 붙어 살다보니 대한민국 대표도시로서 성장 측면에서 한계에 봉착했기 때문에 전문가들도 일정 부분 공감하고 있다. 그러나 부산은 서울 인구의 3분의 1 수준인 330만명이 서울보다 큰 면적인 771㎢에 살고 있기 때문에 굳이 연접한 지자체를 편입해 인구와 면적을 늘릴 하등의 이유가 없다. 따라서 두 의원의 주장은 총선을 앞두고 부산시민들의 환심을 사기 위한 정치쇼로밖에 읽히지 않는다.

    또 ‘김포의 서울 편입’은 서울보다는 김포의 필요에 의해 시작된 점이 ‘김해·양산의 부산 편입’ 주장과는 큰 차이가 있다. 김병수 김포시장은 6일 언론 인터뷰에서 “김포는 서울과 교류가 많고 생활권도 연계돼 있어 행정이나 생활 편의 면에서 서울로 가는 게 합리적”이라고 했다.

    반면 김해와 양산은 부산 편입 의사를 내비친 적이 없을 뿐만 아니라 그런 생각을 갖고 있는 주민들도 별로 없는 것으로 보인다. 홍태용 김해시장은 6일 기자간담회에서 “김해는 시민정서와 생활여건을 놓고 봤을 때 동김해는 부산과 가깝지만 서김해는 창원과 가깝다”면서 “부산정치권발 김해의 부산권 편입 주장은 지역실정을 모르는 정치적 발언”이라고 했다.

    특히 김해와 양산은 민주당이 추진했던 ‘부울경 메가시티’나 국민의힘에서 추진하다 보류한 ‘부울경 행정통합’이 성사됐을 때 모두 행정중심도시를 꿈꾸던 곳이다. 그런 지역의 주민들이 부산시의 일개 구로 전락하는 것을 원하겠는가. 부산은 1963년 경남에서 분리된 이후 1995년까지 3차례에 걸쳐 김해와 양산, 진해 일원을 편입한 바 있고 이후에도 수차례 편입야욕을 드러내 양 지역 간 불필요한 갈등만 초래한 바 있다. 김해·양산의 부산 편입 발언 당사자들은 발언을 철회하고 양 지역 주민들에게 사과하는 것이 도리다.

    이종구(김해본부장)

  • < 경남신문의 콘텐츠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전재·크롤링·복사·재배포를 금합니다. >
  • 이종구 기자의 다른기사 검색
  • 페이스북 트위터 구글플러스 카카오스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