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   유튜브  |   facebook  |   newsstand  |   지면보기   |  
2024년 04월 26일 (금)
전체메뉴

원자재 가격·생산비 상승… 창원 제조업 채산성 ‘악화’

창원상의, 제조업체 145개사 조사
반도체 수급·해상물류비 영향도
“악화 요인 동시 발생…대책 필요”

  • 기사입력 : 2021-06-03 20:55:49
  •   
  • 주요국들의 산업 활동 재개로 창원의 산업생산도 회복 추세지만 수주와 생산량에 비해 채산성(경영상 이익)은 이에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국제 원자재 가격 상승을 비롯해 임금상승 등 생산비용 증가, 해상 물류비 상승, 반도체 수급 애로, 금융비용 증가 등 기업 채산성 악화 요인이 동시에 발생한 데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채산성 악화= 창원상공회의소(회장 구자천)는 최근 창원 제조업체 145개사를 대상으로 ‘창원지역 기업 경영환경 조사’를 한 결과, 이 같이 나타났다고 3일 밝혔다.

    코로나19로 산업 활동 위축이 본격화됐던 지난해와 비교한 현재 체감여건 질문에 수주량(5.46)과 생산량(5.34)은 호전됐으나 채산성(4.43)은 악화됐다고 대답했다. 수치 5.0을 기준으로 그 이상이면 호전을, 그 이하이면 악화를 의미한다.

    업종별로 수주량과 생산량 호전을 가장 크게 체감하는 업종은 전기전자업종(수주량 6.16, 생산량 5.89)이었으며, 채산성 악화는 기계업종(4.05)에서 가장 크게 느끼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국제 원자재 가격 부담= 채산성 악화 이유에 대한 질문에는 국제 원자재 가격 상승(38.1%)이 가장 많았고, 임금상승 등 생산자물가 상승(25.6%), 국내외 물류비 상승(13.1%), 원청업체의 납품단가 인하 요구(10.2%)가 뒤를 이었다.

    이에 대한 대책으로 40% 이상이 ‘생산비 절감을 통한 자체 부담’과 ‘생산 지연 및 축소’라고 대답해 업체 스스로 감내하거나 생산량을 축소해 부담을 줄여나는 것 외에 방법을 찾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국제 원자재 가격 상승에 대한 영향으로, 응답 업체의 절반 이상(53.7%)이 ‘수급에는 어려움이 없지만 조달비용 상승’을 꼽았으며, ‘원자재 수급 자체가 원활하지 않아 생산에 차질이 발생하고 있다’는 대답도 27.5%를 차지했다. 이에 정부에 바라는 추진 과제로 원자재 구매자금 지원(40.7%)과 정부 비축 물량 공급 확대(17.7%), 공급업체에 대한 불공정 거래 단속(16.9%) 등을 꼽았다.

    ◇반도체 수급·해상물류비 영향= 반도체 수급 관련 업체 대상으로 현 상황을 묻는 질문에 46.2%가 ‘현재까지 별다른 영향은 없으나, 장기화한다면 영향이 불가피하다’고 했으며, 40.4%는 ‘현재 생산 또는 납품에 영향을 받고 있다’고 대답했다. 업종별로 운송장비업종의 경우 90% 이상이 ‘생산 또는 납품에 영향을 받고 있고, 장기화된다면 영향이 불가피하다’고 응답해 타 업종에 비해 상대적으로 영향을 크게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해상물류를 직접 활용하는 업체들의 경우, 애로사항으로 전체 77.2%가 ‘수급에는 어려움이 없으나, 물류비용이 크게 상승했다’고 대답했다. 특히 해당 업체의 86.4%는 ‘대행사(포워더)를 통해 수행’하고 있다고 답해 해상운임 상승에 대한 개별 업체 차원에서 대응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는 게 창원상의 측의 분석이다.

    ◇유동성 확보에 따른 영향= 지난해와 비교한 올해 신용평가 등급 변화에 대해 21.6%가 하락했다고 대답했다. 신용등급 하락 업종은 철강·금속(33.3%), 기계(31.4%), 운송장비(20.5%) 순으로 조사됐다.

    신용등급은 중소기업의 유동성 확보에 중요한 요소로, 지난해 창원 중소제조업체의 신용평가등급 분포를 보면, 투자적격 등급 중 가장 낮은 등급인 B등급이 38.7%로 가장 많았고, 그 이하의 등급(신용위험)인 ‘CCC~C’등급에 해당하는 기업들도 14.3%로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올해 자금유동성 확보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신규 대출 수요 증가와 기존 대출의 누적’에 대한 응답이 44.2%로 가장 많았다.

    창원상의 관계자는 “수주량, 생산량 증가 시기에는 원자재 구입과 설비 투자 등 자금수요가 더욱 높아지는데, 기존 대출 누적과 지난해 매출감소로 금융 여건이 악화된 상황에서 국제 원자재 가격과 해상물류비 상승, 주52시간제 대상 확대 등 채산성 악화요인이 동시다발적으로 발생했다”며 “회복세를 보이고 있는 수주를 지역산업 재도약의 기회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유동성 지원 등 빠르고 선제적인 정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김정민 기자 jmkim@knnews.co.kr

  • < 경남신문의 콘텐츠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전재·크롤링·복사·재배포를 금합니다. >
  • 김정민 기자의 다른기사 검색
  • 페이스북 트위터 구글플러스 카카오스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