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   유튜브  |   facebook  |   newsstand  |   지면보기   |  
2024년 06월 26일 (수)
전체메뉴

진주 치매노인 배회감지기 보급률 고작 0.75%

대상자 4000여명 중 30대 보급
사업주체인 건보공단 홍보 부족
분실 땐 13만원 물어야 해 부담

  • 기사입력 : 2015-04-22 07:00:00
  •   
  • 메인이미지
    실시간 위치추적이 가능한 배회감지기


    최근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치매노인 실종의 대안으로 정부가 배회감지기를 보급하고 있지만 보급 실적은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진주경찰서에 따르면 국민건강보험공단과 경찰청은 지난해 7월부터 실시간으로 치매노인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는 배회감지기를 보급하기 시작했다.

    하지만 최근까지 진주지역에 보급된 것은 0.75%에 불과한 고작 30건으로 현재 진주지역에서 치매와 관련해 병원에서 약을 처방받고 있는 노인은 4000여명으로 추정하고 있다. 이마저도 사업 주체인 국민건강보험공단을 대신해 지난해부터 진주경찰서가 보급 대행에 나서면서 늘어난 수치다.

    이처럼 보급 실적이 저조한 것은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 적극적인 홍보를 하지 않고 있고 경찰과 지자체는 예산 부족 등으로 한계를 드러내고 있기 때문이다.

    또 배회감지기 이용료가 매월 2970원(장기요양수급자의 경우)에 불과하지만 본인부담금(15%)이 있는 데다 기계 분실 시 13만원가량의 기계값을 물어내야 하는 점도 확산을 막는 요인 중 하나다.

    진주지역 치매 및 가출인 실종신고는 2013년 504건(16건 미해제), 2014년 505건(미해제 54건), 2015년 4월 현재 160건(미해제 24건)이다.

    국민건강보험공단 관계자는 “배회감지기가 필요한 환자는 대부분 요양원 등의 시설에서 보호받고 있고 활용이 적은 것 같아 굳이 권장을 하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반면 경찰청은 지난해부터 전국의 일선 경찰서에 대행 보급을 지시하는 등 공단을 대신해 홍보에 나섰으나 자체 예산이 없어 사업 추진에 한계를 보이고 있다. 경찰 관계자는 “공단이 부담하는 85% 이외에 15%의 본인부담금과 분실 시 13만원가량의 기계값을 물어야 한다고 설명하면 이용을 꺼린다”고 하소연했다.

    진주시 관계자는 “치매노인들을 위한 배회감지기 지원과 관련해 별도의 예산을 편성해 두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정경규 기자

  • < 경남신문의 콘텐츠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전재·크롤링·복사·재배포를 금합니다. >
  • 정경규 기자의 다른기사 검색
  • 페이스북 트위터 구글플러스 카카오스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