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의회에 ‘청년 대학생 인턴십’ 도입해야”
청년정책연구회 기자회견서 제안“시·군의회 정책지원관 인력난에 맞춤형 인재 양성 확보 여건 기여”
- 기사입력 : 2023-09-18 21:02:11
- Tweet
지난해 지방의회 전문성 강화를 위해 정책지원관제가 도입됐지만 시·군의회에서는 마땅한 인재를 찾지 못해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런 가운데 경남도의회가 ‘청년 대학생 인턴십’을 도입해 지방의회의 맞춤형 인재 육성에 도움을 줘야 한다는 제안이 나와 주목된다.
경남도의회 청년정책연구회(회장 정재욱)는 18일 도의회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경남은 2017년부터 더 좋은 일자리와 교육기회 등을 찾아 타 지역으로의 청년층 순유출이 전국에서 가장 많다. 한편으로 지난해부턴 지방자치법에 따라 지방의회 전문성 강화를 위한 정책지원관제도가 도입됐지만 시·군에선 정책지원관을 구하지도 못하고 있다”면서 이 같이 제안했다.
도의회 청년정책연구회가 18일 도의회에 청년 대학생 인턴십 제도 도입을 촉구하는 기자회견을 열고 있다./도의회/연구회에 따르면 전국 시·도의회 중 서울을 비롯해 인천·경기·강원·전남·제주 등 6개 의회에서 대학생 청년 관련 인턴십을 시행하고 있다. 서울·인천시의회는 대학과 의회 간 협약으로 학점까지 부여하는 대학생 인턴십으로 각각 40명·20명 인원을 운영하며, 강원도의회는 양 기관 협약으로 4명에 행정체험연수를 제공한다. 전남도의회와 제주도의회는 대학 측의 추천으로 각 5명, 8명 인원을 운영하고, 경기도의회는 청년행정인턴으로 46명을 운영 중이다.
연구회는 “청년대학생으로부터 아이디어를 얻고자 하는 의원들의 연구과제 수요, 미래진로를 생각하며 지방의회를 체험하고픈 대학생, 시·군의 정책지원관 인력난 등 모든 것을 대학생 인턴십으로 보듬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정 의원은 “지난해 경남도의회도 겨우 정원을 채울 수 있은 반면 시·군의회는 인적자원이 없어서 뽑지 못한다. 도의회가 인턴십으로 정책지원관 인력을 양성하는 데 기여하는 건 광역의회의 책무”라고 강조했다.
도내 지방의회 정책지원관 정원은 도의회 32명, 기초의회 130명이나 현재 119명만이 채용됐고, 43명(26.5%)이 미채용된 상황이다. 경남에서는 김해·진주·사천·합천을 제외한 전 시·군의회 정책지원관이 미달이다. 특히 의령군의회는 5명 정원에 4명이 공석이고, 양산시의회도 9명 정원에 6명을 뽑지 못했다. 거창·고성·남해·함양·산청은 5명 정원에 3명 미채용 상태다.
정 의원은 “최근 대학이 살리는 지역, 지역이 키우는 대학이 화두다. 지방의회와 지역대학은 지역발전을 위한 운명공동체로서 작지만 제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김현미 기자 hmm@knnews.co.kr
< 경남신문의 콘텐츠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전재·크롤링·복사·재배포를 금합니다. > - 김현미 기자의 다른기사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