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   유튜브  |   facebook  |   newsstand  |   지면보기   |  
2024년 03월 29일 (금)
전체메뉴

[세상을 보며] 녹조 재앙, 근본 해결책은 없나- 김병희(지방자치여론부장)

  • 기사입력 : 2022-08-09 20:59:30
  •   

  • 낙동강의 대규모 녹조 발생에 환경단체를 비롯 지방자치단체에서도 촉각을 곤두세우는 등 비상이 걸렸다. 환경부 장관이 지난 7일 낙동강의 녹조 현장을 점검하기 위해 경남을 찾았다가 일부 일정을 취소하고 돌아가면서 환경단체의 반발을 사기도 했다.

    이처럼 촉각을 곤두세우는 것은 낙동강은 경남과 부산의 식수원이기도 하기 때문이다. 이를 식수원으로 사용하는 시민들의 건강에 위해가 될 것이라는 우려가 높아지고 있다. 하천 유량이 감소한 가운데 수질 오염사고나 대규모 조류 발생 시 원수 취수 중단 사태도 발생하지 않는다는 보장도 없다. 경남도가 녹조가 발생한 15개 시군과 공동 대응책을 마련한다며 상황 점검과 대책 회의를 열었지만 그게 근본적인 대책이 될 수는 없는 일이다.

    이번 녹조는 지난해에 비해 경보 발령이 1~3주가량 빨라 지난 6월부터 나타나고 있다. 최근 발생했다 소멸한 태풍이 녹조현상을 완화하는 데 다소나마 도움을 줬다고 하지만 맹렬한 녹조의 기세를 꺾지는 못하면서 낙동강이 녹조로 덮여 있다.

    현재 경남의 식수원인 칠서와 물금·매리 지점에는 조류경보 ‘경계’ 단계, 남강댐에는 ‘관심’ 단계가 발령 중이다. 향후 낙동강 수계인 경상남·북도에 많은 비가 내리지 않을 경우 이 같은 녹조 발생 현상은 지속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여기서 심각한 사실은 이런 낙동강 녹조 문제를 해결할 뭔가 ‘시원한 대책’이 없다는 점이다.

    환경단체가 낙동강 전구간 녹조 현황 조사를 했다. 대한하천학회·환경운동연합·낙동강네트워크 등은 지난 4일부터 6일까지 사흘간 낙동강 하굿둑부터 영주댐까지 낙동강 전 구간의 녹조 현황을 조사했다. 환경단체는 조사에서 낙동강 물, 퇴적토를 수거해 녹조 독소 농도를 분석하고 붉은깔따구 유충, 실지렁이 등 저서생물 현황을 밝힐 예정이다.

    조사에 앞서 임희자 낙동강네트워크 공동집행위원장은 “녹조는 질소·인 등 영양물질 과다 유입, 고수온, 높은 일사량, 물순환 정체 때 주로 발생한다”며 “보, 하굿둑 때문에 물이 흐르지 못하는 상황에서 올해는 비까지 많이 내리지 않아 낙동강 녹조가 더 심해졌다”고 설명했다.

    또 지난 3일 열린 ‘2022년 제2차 녹조시민포럼’에서 이승준 국립부경대 식품영양학과 교수가 ‘미국 녹조 대응 정책과 시사점’을 주제로 발표한 자료에서 이 교수는 “미국은 녹조 피해 데이터를 주기적으로 수집하고 관련 가이드라인을 마련해 피해 최소화와 대책을 도모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매년 녹조 현상을 접하는 우리도 발생 원인에 대한 보다 현실적인 접근법을 견지하고, 분야 별 가이드라인도 마련해 녹조 발생 시 체계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

    매년 반복되는 녹조는 정확한 원인을 찾는 게 무엇보다 시급하다. 정확한 원인을 밝혀내야 그에 맞는 처방, 해결책도 마련할 수 있기 때문이다. 녹조현상이 나타나면 수돗물에서 악취가 발생할 수 있고, 시아노박테리아 종류에 따라서는 독소가 만들어지기도 한다. 폭염 때마다 낙동강 녹조현상의 재앙에 근본 해결책이 절실하다. 환경단체는 “낙동강 수문을 열어 강을 흐르게 하는 것이 환경 재난을 해결하는 가장 확실한 방법”이라고 주장한다. 과연 녹조 재앙, 근본 해결책은 없는가? 낙동강 녹조 문제를 해결할 뭔가 ‘시원한 대책’이 나왔으면 하는 바람이다.

    김병희(지방자치여론부장)

  • < 경남신문의 콘텐츠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전재·크롤링·복사·재배포를 금합니다. >
  • 김병희 기자의 다른기사 검색
  • 페이스북 트위터 구글플러스 카카오스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