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   유튜브  |   facebook  |   newsstand  |   지면보기   |  
2024년 04월 24일 (수)
전체메뉴

[사설] 여성 경력단절 예방은 진정한 성평등의 첩경

  • 기사입력 : 2021-09-06 20:38:11
  •   
  • 우리나라에서 여권을 세상에 천명한 혁명적 사건은 1898년 9월 1일 서울 북촌 양반 여성들이 기혼여성이라는 뜻을 가진 ‘소사’의 명의로 ‘여학교 설시 통문(女學校設始通文)’, 이른바 ‘여권통문(女權通文)’을 발표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여권통문이 주목받는 것은 당시로서는 파격적이라고 할 수 있는 여성 참정권과 직업권, 교육권을 주창했기 때문이다. 이는 남성 중심의 봉건사회 체계에 큰 파랑을일으키고 남녀평등 체계의 싹을 틔우는 밑거름이 됐다. 이후 여성단체를 중심으로 이날의 의미를 되새기고 남녀가 평등한 사회를 만들기 위해 국가기념일 제정을 요구하고 지난해 정부가 이에 공감해 9월 1일을 법정기념일로, 첫 주인 1~7일을 양성평등 주간으로 지정했다. 그 마지막 날인 7일은 ‘경력단절 예방의 날’이다.

    양성평등주간 마지막 날을 경력단절 예방의 날로 정한 것은 여성들이 이로 인해 많은 피해를 보고 있음을 강조하는 것이다. 불평등 고용과 상대적 임금 격차 등의 불이익을 겪는 비율이 높다는 뜻이다. 15~54세 여성들 중 경력단절 비율이 10명 중 2명에 육박한다는 통계는 사회가 왜 이에 대해 지속적 관심을 보여야 하는지를 보여준다. 자치단체를 중심으로 이들의 복귀를 지원하기 위한 여러 프로그램을 가동함으로써 많은 수가 복직 기회를 잡고 있다고는 하지만 만족할 수준은 아니다. 이는 개인은 물론 사회적으로도 손실이다.

    경력단절 원인 중 대표적인 것은 결혼과 임신, 육아 문제다. 특히 육아는 50~54세를 제외한 전 연령대에서 첫 순위다. ‘남성 육아’가 이를 보완하고, 사회적 보육체계도 확충되고는 있지만 그래도 육아 문제로 인한 경력단절 고리는 끊어지지 않고 있는 게 현실이다. 비단 이런 문제 만은 아니다. 일부에서 나타나는 것이지만 여성에 대한 사회적 편견도 한몫을 한다고 본다. 앞서 언급한 것이지만 경력단절은 결국 사회적 손실로 이어진다. 여성 경력단절을 예방할 수 있는 구조적 시스템을 마련하는 데 더 많은 관심을 쏟는 것은 사회적 손실을 줄이는 길이다. 진정한 성 평등을 실현하기 위한 일이기도 하다.

  • < 경남신문의 콘텐츠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전재·크롤링·복사·재배포를 금합니다. >
  • 페이스북 트위터 구글플러스 카카오스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