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   유튜브  |   facebook  |   newsstand  |   지면보기   |  
2024년 04월 25일 (목)
전체메뉴

[기고] 누가 3·15의거 역사를 두 동강 내는가?- 김정대(경남대 명예교수)

  • 기사입력 : 2021-07-22 20:24:00
  •   

  • 7월 말 마산 중앙부두에서 김주열 열사 동상 제막식이 있을 것이란다. 두 가지 생각이 동시에 머리를 스쳤다. 늦었지만 동상 건립은 참 잘되었다는 생각과, ‘3·15의거’와 함께 ‘4·11민주항쟁’이라는 말을 돌에다가 이렇게 새겨도 되는가 하는 당혹스러움이 그것이었다.

    중앙부두는 1960년 4월 11일 오전에 김주열 열사의 최루탄 시신이 인양된 곳이다. 그 사건이 있고 난 뒤 사흘에 걸쳐 마산 시민, 8개 고교 학생들, 해인대(경남대) 학생들에 의한 엄청난 시위가 마산을 강타했다. 그리고 그 바람은 북상하여 결국 이승만 독재 정권을 끝내게 했다. 이것이 ‘제2차 3·15의거’이다. 김주열의 사망일이 3월 15일이고 행방불명이던 그의 시신이 중앙부두에 떠오른 날이 4월 11일이니, 3월과 4월의 마산의거는 동전의 양면이다.

    마산(창원시)이 자랑하는 3·15의거를 3월 15일 하루의 사건으로 아는 사람들이 더러 있다. 그러나 국회와 정부의 3·15 국가기념일 제정 관련 문서부터 지난 6월 29일 국회를 통과한 ‘3·15 특별법’까지, 3·15의거는 “3월 15일부터 4월 13일까지 일어난 사건”으로 국가적 차원에서 명확하게 정의되어 있다. 이것은 제2차 의거를 제1차 의거와 분리해서 생각할 수 없는 것임을 국회와 정부가 인정한 결과가 아니겠는가.

    그럼에도 불구하고 3월 15일의 사건만을 두고 ‘3·15의거’라 하고, 4월 11~13일의 사건을 ‘4·11민주항쟁’이라 부르는 것은 3·15의거 역사를 반토막내는 중대한 사건이다. 유관 단체들이 강력 반발하는 것은 당연하다. ‘4·11 민주 항쟁’이라는 표현은 김주열열사기념사업회에 의해 십수 년 전부터 사용돼 왔다. 민간단체가 이런 용어를 만들어서 쓸 수는 있다. 그러나 이런 용어를 사회적으로 공유하려면 유관단체 등 사회적 동의가 필요하다. 문제는 그런 용어를 쓰는 기념물이 경남도나 창원시라는 공공기관의 공적 예산을 지원받아 건립되었다는 것이다. 이것은 공공기관이 사실상 이 용어를 공인하는 일이 되기 때문에 적지 않는 문제를 야기한다.

    ‘4·11민주항쟁’이라는 용어를 둘러싼 상당히 격렬한 논쟁이 우리 지역사회에서 펼쳐진 바 있다. 그런데 이번 김주열 동상 건립 과정에서 김주열열사기념사업회는 3·15의거기념사업회뿐만 아니라 3·15 부상자회, 유가족회, 학생동지회 등과 아무런 협의가 없었고, 경남도나 창원시 당국조차 논쟁적 사안을 유관 단체들과 아무런 소통도 없이 일방적으로 일을 진행했다고 한다. 김주열 열사의 동상을 세워 창원(마산) 시민들의 자긍심을 높이려는 것이 오히려 관련 단체들 사이, 시민들 사이의 갈등만 조장하는 일이 된다면 무엇을 위해 동상을 세우는가. 창원시는 지금이라도 공론화 과정을 거쳐서 그곳을 절대 다수의 시민들, 그리고 마산을 찾는 국민들이 환영하는 공간으로 만들어야 할 것이다. 창원시의 좋은 뜻이 부디 왜곡되지 않기를 바랄 뿐이다.

    김정대(경남대 명예교수)

    ※소통마당에 실린 외부 필진의 글은 본지의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 < 경남신문의 콘텐츠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전재·크롤링·복사·재배포를 금합니다. >
  • 페이스북 트위터 구글플러스 카카오스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