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   유튜브  |   facebook  |   newsstand  |   지면보기   |  
2024년 04월 25일 (목)
전체메뉴

[성산칼럼] 통합창원시 출범 11주년 - 장동화 (플라즈마홀딩스 부사장)

  • 기사입력 : 2021-06-23 21:14:49
  •   

  • 오는 7월 1일이면 통합창원시 출범 11주년을 맞는다. 11년 전 마산·창원·진해통합준비위원회 위원장을 맡아 역사적인 과업을 수행했던 본인으로서는 그 감회가 남다르다. 마·창·진 통합은 이명박 전 정부가 8·15 광복절 축사에서 행정구역 개편을 하겠다고 천명한 것에서부터 촉발되었다. 그 큰 정책 방향에 따라 대통령 직속 행정구역개편위원회가 설치되었고, 창원·마산·진해도 3개 시 국회의원과 시장이 동의하고 이에 따라 3개 시 의회의 통합 승인 절차를 거쳐 공식적인 통합준비위원회가 발족하였다. 통합준비위원회는 3개 시의 시의원 각 3명, 행정국장 각 1명 등 12명과 경남 도의원 1명, 경남도행정국장, 행정안전부에서 차관 1명 등 모두 15명으로 구성되었다. 다만 15명 중 3개시 시의원 9명과 도의원 1명 등 10명만이 심의·의결권을 가지도록 하였다.

    전국의 수많은 자치단체에서도 창원처럼 통합의 논의가 있었지만, 통합시 명칭과 청사소재지 결정에서 겪게 되는 갈등을 이겨내지 못한 채 모두 중도 포기하였고 유일하게 창원, 마산, 진해만 통합을 하게 되었다. 당시 창원도 통합준비위원회에서 많은 어려운 과정을 거친 끝에 겨우 명칭은 결정하였지만, 마지막까지 청사 소재지 결정을 내리지 못해 난항을 겪었다. 명칭은 법률 결정 사항이라 통합준비위원회에서 공청회와 여론조사를 거쳐, 큰 무리 없이 시민의 여론에 따라 창원시로 결정을 하여 국회로 이송을 하였지만, 청사 소재지는 통합시 창원시의회에서 조례로 결정해야 하는 사항이라 복잡하고 어려운 논의 과정을 거쳐야 했다. 그리된 데에는 통합준비위원회에서 청사 소재지를 결정하더라도 통합시의회에서 재논의가 돼야 할 사안이었기 때문이다. 그래서 통합준비위원회에서 결론을 내지 않고 통합시의회로 공을 넘겼다.

    그래서 당시 통합준비위원회에서는 현 창원시 청사를 통합시 임시 청사로 사용하기로 하고, 1순위 마산공설운동장과 진해 육대 부지, 2순위는 현 창원시청사로 후보지를 결정하여 용역을 거친 후에 통합 창원시의회에서 시청사 위치를 결정하기로 결론을 내렸다. 10년도 더 지난 그때 극심하게 겪었던 갈등의 원인은 통합 논의가 처음 시작할 때 목표가 3개 시가 통합하여 동북아 중심도시로 나아가자는 것이었는데, 본격적으로 통합이 시작하면서 지역 이기주의가 발생한 때문이었다.

    우여곡절 끝에 전국에서 유일하게 3개 시 통합 창원시라는 대역사를 이루어냈지만, 그런데도 지금 한발 물러서서 돌이켜보면 당시 통합준비위원회 위원장으로서 아쉬웠던 부분도 많다. 그중에서 가장 크게 아쉬움으로 남아있는 것이 3개 시의 통합 결정 과정에서 충분히 시민들의 공감대를 형성하여 시민들의 동의하에 주민투표로 결정해야 했는데도 불구하고, 일방적으로 시의회에서 결정했다는 것이다. 그리고 부적인 사안으로는 중앙정부의 형태이다. 통합 당시만 하더라도 중앙정부 각 부처에서는 많은 통합 인센티브를 약속하였다. 그러나 그 약속을 어기고 이에 대해 중앙정부는 책임을 지지도 않고 결론적으로 통합창원시는 정부에 구조조정을 당하는 모양이 되었다. 이 외에도 아쉬운 부분이 한두 가지일까마는 그 모든 것보다 자랑스러움이 앞선다. 온갖 고초와 근거 없는 협박으로 어려움을 겪었지만 결국 통합을 이루어내고 경쟁력 있는 ‘특례시’로 발전해 가는데 일조한 보람과 긍지 때문이다.

    그동안의 통합 10년은 갈등의 조정 시기였다면, 향후 새로운 10년은 국제화 시대에 걸맞게 시민들이 화합하고 단결하여 창원시의 도시 경쟁력을 높여 가는 데 집중했으면 좋겠다. 창원시 통합 당시만 하더라도 인구가 109만이었는데, 현재는 104만으로 줄고, 도시 경쟁력도 점점 잃어가고 있어 안타깝다. 그간 일방적으로 약속을 저버린 중앙정부도 통합 관련 재정 인센티브를 전폭적으로 되살려야 하며, 내년부터 시행되는 창원특례시가 무늬만 특례시가 아닌 실제로 재정과 행정 권한이 광역시에 따르도록 대폭 확대되어 시민들의 바람에 부응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장동화 (플라즈마홀딩스 부사장)

  • < 경남신문의 콘텐츠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전재·크롤링·복사·재배포를 금합니다. >
  • 페이스북 트위터 구글플러스 카카오스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