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   유튜브  |   facebook  |   newsstand  |   지면보기   |  
2024년 04월 20일 (토)
전체메뉴

[사설] 사라지는 농어업 유산 보존관리 시스템 구축을

  • 기사입력 : 2021-05-09 20:40:08
  •   
  • 도내서 가장 오랜 기간 영위한 산업은 역시 농·어업이다. 선조들이 농자천하지대본이라며 농사일을 강조한 것은 이들이 생명 보존의 원천이기 때문이다. 이런 농·어업이 노동력 감소와 고령화, 급격한 도시화에 밀려 점차 그 영역을 좁혀가고 있는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 그래도 전통산업의 근간이라고 할 수 있는 이들을 팽개칠 경우 국가의 식량안보가 무너질 수 있고 농·어촌 공동체의 삶도 붕괴될 수 있는 만큼 세월이 흘러도 그에 대한 관심과 지원을 느슨하게 운용할 수는 없는 일이다.

    최근 도의회에서 ‘경남의 농·어업 유산 지정 및 관리에 관한 조례’ 제정을 위한 토론회가 열린 것은 이런 점에서 주목할 만한 일이다. 농·어업 유산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제대로 된 기록도 없는 농·어업 유산을 복원해 이를 기반으로 수익구조를 창출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방안 마련이 핵심인 것으로 보인다. 이 자리서 오형은 ㈜지역활성화센터 대표가 남해 가천 ‘가다랭이 마을’을 사례로 들어 농업 인구 감소와 경쟁력 약화로 점차 사라지고 있는 전통적인 농·어업 유산을 복원하기 위한 유기적 협력 체계 구축을 역설한 데 대해 깊은 공감을 표한다.

    지금 추세라면 도내 산재한 상당수의 농·어업 유산이 조만간 사라지거나 당사자의 기억에서조차 지워질 분위기다. 해안 지역에서 농사용 빗물을 담아두던 고성의 ‘둠벙’이 세계관개시설물유산으로 등재되고, 지리산 산비탈에 조성된 차밭에서 전통적인 방식으로 차를 생산하는 하동의 전통차 농업시스템이 유엔식량농업기구(FAO)의 세계중요농업유산으로 평가·보호받게 된 것은 그나마 다행이라 할 수 있다. 하지만 지자체나 관계 당국의 관심 밖에 있는 많은 유산들은 서서히 자취를 감추고 그 기록마저 사라질 위기에 내몰리고 있는 게 현실이다. 농·어업은 단순 소득창출 수단이 아닌 농·어촌 공동체를 지탱하는 중추적 개념이다. 이미 국가 정책 방향도 그렇게 진행되고 있다. 그런 관점에서 도의회가 제정 추진하는 관련 조례는 전통 농·어업 유산을 후대까지 오롯이 물려줄 수 있는 보호육성관리시스템을 큰 틀로, 다양한 지원책을 작은 틀로 삼아 성안(成案)돼야 한다는 점을 강조한다.

  • < 경남신문의 콘텐츠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전재·크롤링·복사·재배포를 금합니다. >
  • 페이스북 트위터 구글플러스 카카오스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