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과 환경 시즌2] (26) 미니멀리즘과 제로웨이스트비우며 산다… 쓰레기 줄이는 착한 습관미니멀리즘(Minimalism)이 대세다. 미니멀리즘은 우리가 소유한 잡다한 물건을 정리하고 줄이며, 물건을 구입하고 소유하는데 쓰던 에너지와 시간, 돈을 보다 의미있는 것에 집중하도록 도와주는 개념이다. 쓰지도 않으면서 수납장에 쟁여둔 물건들을 비우면서 새로...김유경 기자 2019-06-20 20:59:14
[인간과 환경 시즌2] (25) 환경영향평가 변천사‘보전과 개발의 조화’ 아직도 갈 길 멀다지속가능한 발전은 우리 사회의 여전한 화두다. ‘환경에 영향을 미치는 계획 또는 사업을 수립·시행할 때 해당 계획과 사업이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미리 조사, 예측, 평가’하는 환경영향평가는 시대적 흐름에 발맞춰 친환경적이고 지속가능한 발전과 건강하고 쾌적...안대훈 기자 2019-04-18 22:00:00
[인간과 환경 시즌2] (24) 석면 공포는 현재진행형하늘로 간 9명… 이들은 석면공장 노동자였습니다
1976년 5월 23일, 아시아 최대 규모 석면방직공장인 부산 제일화학 노동자들이 야유회를 갔다가 단체사진을 찍었다. 40여 년이 지난 2019년 현재, 당시 행복한 모습으로 찍었던 단체사진 속의 17명 중 석면폐증과 폐암으로 9명이 사망하고 5명이 투병 중이다. 이...이민영 기자 2019-03-14 22:00:00
[인간과 환경 시즌2] (23)환경 교육도 환경보호다보고 또 보며 ‘환경 감수성’ 깨우세요
지난 2015년 8월 유튜브 채널에 코피를 흘리는 바다거북(사진)이 등장하는 동영상 하나가 공개됐다. 영상 속 거북이는 괴로움에 몸부림 치고 있는데 바로 코에 박힌 플라스틱 빨대 때문이었다. 사람들이 펜치로 빨대를 뽑아내려고 애쓰지만 깊이 박힌 빨대는 좀처...김희진 기자 2019-02-15 07:00:00
[인간과 환경 시즌2] (22) 연근해 유해해양생물바다 골칫덩이 해파리·갯끈풀, 어민 삶 위협한다배스나 황소개구리, 청거북, 뉴트리아. 이 동물들은 대표적인 생태계 교란종으로 꼽힌다. 사람 외는 천적이 없어 생태계에 엄청난 피해를 입힌다. 생태계 교란종으로 지정된 생물은 포유류(1종), 양서류·파충류(2종), 어류(2종), 곤충류(2종), 식물류(14종) 등 총 21...김유경 기자 2019-01-17 22:00:00
[인간과 환경 시즌2] (21) 멧돼지 도심 출몰인간세상에 뛰어든 멧돼지들 어찌해야 하나?
지난달 17일 오전 김해시 한림면에서는 밭일을 하러 가던 A(69)씨가 멧돼지에 양쪽 허벅지를 물리는 사고가 발생했다. 이 사고로 A씨는 출동한 구급대에 의해 인근 병원으로 옮겨져 치료를 받았고, 100㎏ 무게의 멧돼지는 사살됐다.
또 도로에서 멧돼지를 피하려...조규홍 기자 2018-12-20 22:00:00
[인간과 환경 시즌2] (20)토양오염 정화의 모범꼼꼼한 오염조사→ 확실한 작업·검증→ 완벽한 정화
“환경문제는 끝이 없다.”
도내의 한 시민운동가가 기자와 대화를 나누다 한 말이다. 국가적 재난으로 불리는 미세먼지, 매년 반복되는 낙동강 녹조, 공사현장의 소음과 분진 피해 등 시작은 있지만 끝이 보이질 않는 환경 현안들을 떠올리면 쉽게 수긍이 가는 ...안대훈 기자 2018-11-16 07:00:00
[인간과 환경 시즌2] (19) 수소에너지원료 고갈·공해 걱정 없는 청정에너지
수십년간 석유·석탄 에너지를 무분별하게 사용하면서 인류는 심각한 대기오염과 기후변화 위험에 직면했다. 화석에너지를 연소하는 과정에서 나오는 이산화탄소 등 온실가스에서 비롯된 미세먼지의 습격은 사람들의 숨통을 조이고 기후변화로 인한 자연재해는 막...김희진 기자 2018-10-18 22:00:00
[인간과 환경 시즌2] (18) 옥상녹화도심열섬 줄이고 녹지 늘리기 ‘으뜸 정책’
우리 모두는 역사적인 여름을 지냈다.
폭염 말이다. 7월과 8월 겪은 폭염은 역사에 남을 기록이다. 기상청에 따르면 경남을 비롯해 공식 기상관측소가 있는 전국 95곳 중 60%인 57곳의 역대 최고기온 기록이 올해 바뀌었다. 이전까지는 1994년이 가장 더웠던 해...차상호 기자 2018-09-20 22:00:00
[인간과 환경 시즌2] (17) 바다생물 위협하는 해양 쓰레기바다에 버려진 ‘비양심 조각’ … 바닷속 생명이 병든다지난 4일 태국 동부 짠타부리 주(州) 해변에 녹색 거북이 한 마리가 떠밀려 왔다. 태국 해양해변자원조사개발센터는 거북이의 뱃속에 플라스틱과 고무밴드, 풍선 조각 등 각종 쓰레기가 가득 차 있었다고 밝혔다. 태국 해양해변자원조사개발센터 측은 지난해까지만 ...김유경 기자 2018-06-21 22:00:00
[인간과 환경 시즌2] (16) 플라스틱의 역습 ‘미세 플라스틱’소금·물·공기 중에도… 몸속 파고드는 ‘보이지 않는 위협’저렴한 가격에 유리, 나무, 철, 종이, 섬유 등을 대체하는 무궁무진한 활용성, 플라스틱이 없는 생활을 상상이나 할 수 있을까. 1930년대에 최초로 등장한 이래로 100년이 되지 않은 기간 동안 플라스틱은 인류의 생활과 떼려야 뗄 수 없는 관계가 됐다. 그 편리성...김용훈 기자 2018-05-31 22:00:00
[인간과 환경 시즌2] (15) 야생동물 로드킬전국 고속도로서만 한 해 2500여 마리 ‘희생’지난 5일 통영대전고속도로 함양분기점에서 생초나들목 방향으로 시속 100㎞의 속도로 달리던 고속버스에 반달가슴곰 한 마리(KM-53)가 치였다. 버스의 앞 범퍼가 찌그러질 정도로 큰 충격이었지만, 다행히 왼쪽 앞다리 복합골절 이외에 다른 부상은 없었다. 기적이...안대훈 기자 2018-05-17 22:00:00
[인간과 환경 시즌2] (14) 폐기물 분리수거분리배출 제대로 안하면 ‘쓰레기 대란’ 또 온다환경부가 지난 3월 말 발표한 ‘제5차 전국폐기물 통계조사’에 따르면 우리나라 국민 1인당 하루에 배출하는 생활폐기물은 929.9g이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치인 1425g보다 적지만 매일 1㎏씩 쓰레기를 배출한다고 생각하면 엄청난 양이다.◆재활용 쓰레기 대...김희진 기자 2018-05-03 22:00:00
[인간과 환경 시즌2] (13) 따오기 복원 10년따오기 예전처럼 자연에서 살아갈 수 있을까경남에서 람사르총회가 개최된 지 꼭 10년이 됐다. 우리나라에 앞서 지난 2006년 람사르총회를 개최했던 일본 홋카이도의 소도시 쿠시로에 취재를 갔다. 총회 개최 전후 무엇이 어떻게 달라졌는지, 어떻게 준비했는지 등을 보고 싶어서였다.어마어마한 규모의 쿠시로...차상호 기자 2018-04-19 22:00:00
[인간과 환경 시즌2] (12) 람사르총회 개최 10주년2008년 ‘습지보전축제’ 후 도내 환경정책·인식 달라졌다올해는 제10차 람사르협약당사국총회를 개최한 지 10년째 되는 해다. 우포늪 따오기 복원사업 10주년, 창녕 우포늪이 람사르습지로 등록된 지 20주년이어서 환경분야에 있어 2018년은 여러모로 뜻깊다. 또한 오는 5월에는 북한이 170번째 람사르협약 가입국이 돼 문...이슬기 기자 2018-04-05 22: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