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 | 경남신문
모바일  |   유튜브  |   facebook  |   newsstand  |   지면보기   |  
2023년 06월 03일 (토)
전체메뉴


  • - 독자기고문은 이메일(master@knnews.co.kr)을 통해서도 접수가 가능합니다.
    - 기고문은 자체 논의 후 경남신문 지면에 실릴 수도 있습니다.(문의: 창원자치부 055-210-6070)
    - 제언·고발·미담 등 독자가 투고한 내용은 매일 오후 확인 후 담당부서에 전달됩니다.

[기고] 지방차별 메커니즘(mechanism)
김휘태       조회 : 6052  2021.01.03 15:01:01
[기고] 지방차별 메커니즘(mechanism).hwp (29.0 KB), Down : 12, 2021-01-03 15:01:01

[기고] 지방차별 메커니즘(mechanism) 32년 만에 지방자치법이 전부개정 되었다고 대서특필이다. 지방의회의 자체인사나 자치경찰 등 가시적인 성과도 있지만 지방의회독립(법제정)과 재정분권 및 정당공천폐지 등 지방자치의 핵심은 없다. 지방의회 전문인력은 1/2수준이고 주민자치회도 빠졌다고 하니 속빈강정이다. 특히 지방의원 정치후원금도 후보등록 시에만 선거비용의 1/2을 허용하여 평년에도 1억5천만 원까지 모금할 수 있는 국회의원과 천지차이다. 국가를 균형 있게 효율적으로 운영하고, 국민을 골고루 잘살게 하기 위하여 지방을 나누어 자치행정을 펼치고 있는데, 아직까지 국가와 지방의 메커니즘(mechanism)이 다른 것은 무엇 때문인지 이해할 수 없다. 가장 대표적인 지방의회나 공무원제도부터 도로나 하천관리까지 모든 방면에서, 지방이라는 이유로 격이 낮은 차별을 받고 있다. 지방이 국가의 일부가 아니라 국가의 하급기관 취급을 받고 있는 것이다. 2020년 9월부터 수도권인구가 2600만 명으로 전 국민의 과반이 집중되고 있다. 수도권에서 어렵게 살더라도 지방에서 차별받는 것 보다 낫다는 것이다. 올해만 해도 각 시ㆍ도별로 청년들이 2~3만 명씩 수도권으로 빠져나갔다. 급기야 팔도에서 시ㆍ도 광역행정통합 메가시티로 수도권을 견제해야 된다고 난리다. 지방자치의 분권개념을 뒤엎고 지방수도라도 만들자고 나선 것이다. 수도권의 블랙홀에 대항한다는 자구책 논리이나, 시군구읍면동의 지역균형발전과는 괴리가 있는 것이다. 지방공무원 차별을 보면, 국가공무원과 신분이 다르고 직급이 현저히 낮으며 중앙부처와 인사교류도 없는 폐쇄조직이다. 중앙부처 과장은 3급이나 시도는 4급이고 시군구는 5급이다. 또한 같은 지방공무원도 시군구와 광역시도 간의 계층구조로 이원화 되어있다. 이렇게 지방공무원을 차별하면서 국가와 지역균형발전을 바라는 것은 어불성설이다. 2천 년 전에 진시황의 대륙통일도 개방형 단일공무원제도로 이루어졌다. 중앙과 지방 구분 없이 누구나 능력에 따라 고관대작이 될 수 있었다. 도로나 하천관리 분야도 지방차별은 기가 막힌다. 자동차가 달리고 물이 흐르는데 국도와 지방도, 국가하천과 지방하천의 규격이 다르고 관리도 제각각이다. 국도는 안전한 갓길이 있고, 지방도는 갓길이 없는 죽음의 길이다. 국가하천과 지방하천의 하상이 다르고 합류지점이 정체나 역류되기도 한다. 자동차가 달리는데 국도와 지방도에서 운전을 다르게 해야 된다는 것이고, 물이 흐르는데 국가하천과 지방하천에서 다르게 흐를 수 있는지 기가 막힐 노릇이다. 정치ㆍ행정 분야의 지방차별도 심각하다. 기초자치단체인 시군구의원의 정당공천제나 고작 20%의 재정자립도는, 말로만 지방자치이지 실질적인 지방자치가 될 수 없다. 지역주민들의 삶을 보살펴야하는 시군구의원이 중앙정치에 얽매이는 것이나, 국비 80%에 지방비 20%의 빈껍데기 지방자치는 빛 좋은 개살구이다. 결과적으로 수도권 집중이 될 수밖에 없는 지방차별 메커니즘을 이대로 두고, 지방소멸을 막자, 시ㆍ도 행정통합 메가시티를 만들자, 해봐야 근본적인 대책이 될 수 없다. 지방자치의 중심은 시군구읍면동이다. 지방자치의 근본은 분권이다. 지방소멸을 막기 위하여 수도권분산과 지방분권정책을 혁명적으로 수행해야 한다. 행정수도 이전과 같은 공공기관과 대기업, 대학교, 종합병원 등을 지방으로 이전하고 문화관광과 교통인프라를 구축해야 한다. 국가의무를 다하지 않고 지방에서 몸부림쳐야 하는 차별을 없애지 않는 한 사회양극화는 더욱 심화되어, 지방소멸이 아닌 국가소멸로 이어질 수도 있다.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천도를 단행하여 국가를 발전시키고 이민과 이주정책으로 지역을 발전시킨 역사의 교훈을 되새겨보고, 백년대계의 거시적인 안목으로 지방차별 메커니즘을 과감하게 혁파해나가야 한다. 우주나 사회의 블랙홀은 모든 것을 흡수하여 파멸시킨다. 아파트 한 칸에 수십억이나 거품이 들끓는 수도권 블랙홀은, 언젠가는 종말을 고할 수도 있다는 경각심을 가지고, 천도에 버금가는 수도권분산과 지방차별 철폐를 완수해야 한다. 김휘태(전 안동시 풍천면장)






 
번호 제            목 글쓴이 날짜 조회
635 프랜차이즈 음식점의 노동력 착취 및 임금체불 박현 2022.05.31 3171
634 [기고] 지방차별 메커니즘(mechanism) 김휘태 2021.01.03 6053
633 마산청소년방과후아카데미 ‘기댈나무’ (마산청소년문화의집… 김고우나 2020.12.30 5451
632 [기고] 멀어진 고향역 김휘태 2020.12.27 4524
631 세번째 외상값을 갚고 조영봉 2020.12.18 4480
630 운전자와 보행자를 배려하는 전동킥보드 안전운행 … 김철우 2020.12.14 4011
629 [기고] 빗물과 강물의 一生 김휘태 2020.12.13 4417
628 [기고] 낙동강방성대곡(洛東江放聲大哭) 김휘태 2020.11.30 4036
627 조용하고 은밀하게 퍼지는 마약사범 근절 김철우 2020.11.26 4000
626 진해청소년수련관 방과후아카데미 청공 2021 신입생 모집… 방수지 2020.11.24 4083
625 코로나19 재확산, 로컬푸드로 이겨내자 임관규 2020.11.18 4063
624 마산청소년방과후아카데미 ‘기댈나무', 마산청소년방과… 김고우나 2020.11.16 4227
623 [기고] 이노제노(以勞制勞)의 비극 김휘태 2020.11.14 4066
622 진해청소년수련관, 경상남도청소년자원봉사대회 ‘동아리 부문… 윤태진 2020.11.12 4136
621 [기고] 낙동강 물을 U턴 시켜라 김휘태 2020.11.11 4083
620 [기고] 낙동강 주인은 누구인가? 김휘태 2020.11.06 3998
619 [기고] 북부시군 낙동강 물 산업 기회다. 김휘태 2020.10.26 4090
618 여러분의 작은 관심이 아이들의 미래를 바꾼다 … 김철우 2020.10.25 4131
617 무선마이크 불법이용 방지 안내 김경준 2020.10.22 4102
616 [기고] 1300만의 분루(憤淚) 김휘태 2020.10.22 417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