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   유튜브  |   facebook  |   newsstand  |   지면보기   |  
2023년 12월 08일 (금)
전체메뉴

‘전설의 1000년 온돌’ 하동 칠불사 아자방, 국가지정문화재 된다

문화재청 분과위서 조건부 가결
“지정 예고·의견수렴 거쳐 결정”

  • 기사입력 : 2023-09-19 09:44:22
  •   
  • 민족 고유의 난방시설인 온돌을 활용해 1000년 넘게 따뜻함을 이어온 ‘전설의 구들’인 하동 칠불사 아자방이 지정 예고와 의견 수렴 등을 거쳐 국가지정문화재로 지정될 전망이다.

    문화재청은 최근 문화재위원회 민속문화재 분과 회의를 열어 하동 칠불사 아자방지(亞字房址)를 국가민속문화재로 올리는 안건을 조건부 가결했다고 19일 밝혔다.

    하동 칠불사 아자방 내부./문화재청/
    하동 칠불사 아자방 내부./문화재청/
    하동 칠불사 아자방지./문화재청/
    하동 칠불사 아자방지./문화재청/

    아자방지는 한자 ‘아(亞)’자 형태의 방이 있었던 터를 뜻한다. 칠불사 아자방은 신라 효공왕(재위 897~912) 때 담공선사가 처음 만들었다고 한다. 방 길이는 약 8m로, 방안 귀퉁이 4곳에는 높이가 70㎝인 좌선대가 있어 승려들이 벽을 향해 앉아 참선할 수 있다. 중앙의 낮은 곳은 불경을 읽는 공간이자 통로로 쓰였다. 높이가 다른 방 구조가 ‘亞’ 자를 닮았다고 해서 아자방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아자방은 고유 온돌 문화를 볼 수 있는 대표적 공간으로 주목받았다.

    문화재청에 따르면 아자방의 온돌은 처음 만든 이래 1000년이 넘는 동안 한 번도 고친 일이 없이 그 모습을 유지해왔다고 전한다. 특히 불을 넣으면 위아래 온돌과 벽면까지 한참 동안 따뜻한 것으로 잘 알려져 있다.

    경남도 유형문화재 정보에는 ‘한 번 불을 때면 한 달 동안 따뜻하다고 하나, 축조 당시에는 석 달 열흘, 즉 100일간 온기가 고루 유지됐다는 이야기도 내려온다’고 소개하고 있다.

    아자방이 있던 건물은 1951년 불에 탄 뒤 초가로 복원했다가 1980년대에 지금의 모습으로 새로 지었다.

    문화재위원 다수는 현재 경남도 유형문화재인 아자방지를 국가지정문화재로 승격하는 방안에는 동의했으나, 지정 명칭과 범위는 추가 논의를 할 예정이다. 일각에서 명칭은 온돌의 의미를 살려 ‘하동 칠불사 아자방 온돌’로 하는 방안이 검토되고 있는 것으로 전한다.

    또 아자방이 있는 건물이 과거 불에 탔던 만큼 온돌이 깔린 바닥 윗부분의 구조와 아궁이 형태 등에 대해서도 추후 고증 및 연구가 필요하다는 의견도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병문 기자·일부 연합뉴스

  • < 경남신문의 콘텐츠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전재·크롤링·복사·재배포를 금합니다. >
  • 이병문 기자의 다른기사 검색
  • 페이스북 트위터 구글플러스 카카오스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