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   유튜브  |   facebook  |   newsstand  |   지면보기   |  
2024년 03월 28일 (목)
전체메뉴

“양육·생계 이중고 한부모가정 지원 절실”

도내 한부모가정 중 저소득 14.6%
모자가구 75.9%·부자가구 22.4%
미혼모는 산후 스트레스 불안도

  • 기사입력 : 2023-03-19 20:09:55
  •   
  • 창원에서 20대 친모가 생후 76일 된 딸을 방치해 영양 결핍으로 숨지게 한 혐의로 구속된 가운데 친모가 아이를 혼자 길렀던 사실이 알려지자, 사각지대에 처한 한부모가정에 대한 교육과 지원 정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이어지고 있다.

    ◇한부모가정 ‘모자 가구’ 경제적 어려움 커= 경남여성가족재단의 ‘한부모 가족 실태조사’에 따르면, 2020년 경남 전체 137만6240가구 중 6.8%인 9만3370가구가 이혼, 미혼, 사별 등을 이유로 부모가 혼자 아이를 키우고 있는 ‘한부모가정’이다. 한부모가정은 엄마가 아이를 혼자 키우는 ‘모자 가구’가 73.2%, 아빠가 아이를 혼자 키우는 ‘부자 가구’가 26.8%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한부모가정 중 모자 가구가 주로 경제적인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경남 한부모가정 중 저소득 가구는 1만3651가구로 전체 14.6%를 차지하는데, 이 중 모자 가구가 1만365가구로 전체 75.9%이고, 부자 가구가 3052가구로 22.4%다. 전체 한부모가정 모자 가구 비율을 비교하면 저소득 모자 가구의 비중이 일반 모자 가구보다 높음을 알 수 있다. 실제로 한부모의 본인 소득은 월평균 약 189만원으로 나타나는데, 모자 가구는 161만원, 부자 가구는 약 242만원으로 차이가 크다. 특히 미혼모 가정의 경우 경제적 어려움을 크게 겪고 있는 것으로 알려진다. 조주회 경남한부모가족지원센터 복지사는 “미혼부는 아이를 가족에게 맡기고 바로 생계에 뛰어드는 경우가 많지만, 미혼모는 스스로 양육을 책임지면서 경제활동은 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며 “아직도 사회 통념상 미혼 여성에게 가해지는 편견이 있기 때문에 임신을 알린 초기부터 가족과의 불화가 생겨 미혼모는 가족에게 아이를 맡기지 못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미혼모 산후 스트레스 문제= 혼자서 아이를 키워야 한다는 경제적인 부담에 앞서 다가오는 것은 미혼모의 산후·보육 스트레스다. 미혼모는 보호시설을 통해 출산과 사후 조리 등 지원을 받을 수 있지만 부정적인 사회 시선과 공동생활의 부담으로 지원을 피하는 이들이 많다. 결국 자신의 주거공간에서 임신과 신생아 보육에 이르기까지 해결하게 되는데, 만약 가족과 단절된 상태에 처해 있다면 신생아 돌봄에 대한 지식 부족, 영양 부족 등으로 산후 우울증과 스트레스가 커질 우려가 있다. 경남여성가족재단은 실태조사를 통해 한부모 집단과 기관 종사자 등 18명을 통해 초점 집단 면접을 실시해 이 같은 내용을 도출했다. 재단은 보고서를 통해 미혼 한부모의 경우 산후 스트레스가 심각해 식습관 문제와 체중 관리가 안 돼 비만으로 인한 건강상의 문제가 생기는 경우가 많고 자녀 양육에 대한 지식과 인식이 부족해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밝혔다. 또한 홀로 자녀를 양육해야 하는 부담으로 자녀 양육에 대한 불안도가 높으며, 경험이 부족해 양육에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오영나 미혼모지원네트워크 대표는 “부모와의 불화로 혼자서 모든 것을 다 안고 가는 미혼모들의 경우 우울증 문제가 심각하다”며 “경제적인 문제도 크지만, 정신적으로 건강해야 아이를 제대로 양육할 수 있다”고 말했다.

    ◇지원 사각지대·고립 미혼모 문제 해결해야= 전문가들은 한부모가정의 사각지대를 해소하기 위해 정부·지자체 지원의 확대와 지원 대상의 발굴이 필요하며, 미혼모의 정신 건강을 담보하기 위한 교육이 필요하다고 말한다.

    현재 경남에서 정부·지자체 지원을 받는 한부모가정은 14%에 불과하며, 중위소득 60% 이상인 일반 한부모가정에 대한 지원은 거의 없는 상태다. 이인숙 경남여성가족재단 연구위원은 보고서를 통해 “정책은 대상과 복지급여가 법으로 정해져 있어, 근소한 차이로 지원 대상에서 배제되는 사각지대가 여전히 존재하므로, 장기적으로 대상의 범위를 확대하는 것이 가장 큰 과제”라며 “정보 접근성이 낮은 가정의 경우 지원 대상임에도 누락되는 경우가 많아 읍면동 주민센터 차원에서 사각지대 발굴과 지원 대상 기준을 완화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가족과 불화로 고립된 미혼모를 위해 출산 이전부터 지원할 방안도 필요하다. 오 대표는 “재정적 지원은 갈수록 발전하고 있지만 이들의 스트레스와 우울감을 해결할 정책은 많지 않다”며 “임신 때부터 심리 상담을 진행하고, 정부로부터 받을 수 있는 지원책을 전달해주고 보육에 관련된 교육을 진행하는 등 미혼모를 케어해 줄 방안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박미경 경남아동보호전문기관 관장은 “대다수 미혼모는 계획으로 인한 임신이 아니다 보니 본인이 감당할 수 없이 다가온 인생의 전환기에 많은 스트레스를 받는다”며 “특히 가족의 형태가 다양해짐을 인정하고, 중등교육 때부터 이 가족의 형태와 지원 방안 등을 미리 교육해줘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전했다.

    어태희 기자 ttotto@knnews.co.kr

  • < 경남신문의 콘텐츠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전재·크롤링·복사·재배포를 금합니다. >
  • 어태희 기자의 다른기사 검색
  • 페이스북 트위터 구글플러스 카카오스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