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   유튜브  |   facebook  |   newsstand  |   지면보기   |  
2024년 03월 29일 (금)
전체메뉴

[경남국가산단 생태계 혁신 전략은?] (1) 젊은 산단 변신해야

“청년 성장 교육시스템·신산업 유치 필요”
도내 청년 종사자 비중‘전국 최하위’
창원, 8만명 중 8700여명 10.4% 그쳐

  • 기사입력 : 2023-02-05 21:12:59
  •   
  • 4차 산업 혁명 가속화, 탄소중립, 세계 공급망 구조 재편 등이 맞물려 최근 대내외 경제·산업 환경은 여느 때보다 급속도로 바뀌고 있다. 경남은 대한민국 제조업 중심지의 역할을 충실히 해 왔지만 이 같은 변화에 대응하기는 쉽지 않은 상황이다. 중국의 추격에 따른 제조업 침체, 인프라 부족·노후화, 청년인력 근무 기피 등으로 경남의 산업단지는 위기를 겪고 있다. 실제로 경남 산업단지는 1980~1990년대까지만 해도 국가 경제를 견인하며 중심적 역할을 했으나 2000년대 이후 생산이 둔화되기 시작했다.

    최근 방산, 항공, 조선, 원전 산업의 성과는 경남 산단의 재도약의 발판을 마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지만 이런 성과가 미래 경남 산단 전반의 성장으로 이어질 수 있으려면 산업단지 철저한 대비가 있어야 한다. 이에 경남 산단 생태계 변혁은 어떤 방향으로 진행돼야 할지 세 편에 걸쳐 한국산업단지공단(이하 산단공) 경남본부와 함께 살펴본다.

    창원국가산업단지 전경. /경남신문DB/
    창원국가산업단지 전경. /경남신문DB/

    ◇낮은 청년 종사자 비중= 경남 산단은 제조업 중심으로 구성돼 있어 청년 인력의 취업기피 현상이 두드러 지고 있다. 지난 2020년 한국산업단지공단의 ‘국가산업단지 청년층 인력구조 현황과 일자리 사업 활성화 방안’ 연구 자료를 보면 2018년 말 기준 경남의 국가산단 청년 종사자 비중은 전국 최하위 수준이다. 전국 국가산단 종사자는 90만1454명으로 이 중 청년은 13만5345명으로 15.0%를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경남은 전체 종사자 8만6122명 중 청년이 9071명으로 10.5%에 그쳤다. 특히 창원국가산단의 경우엔 청년 종사자 비중이 10.4%(8만 3802명 중 8735명)로 전국 주요 국가산단 26곳 중 세 번째로 낮았다. 창원산단 보다 청년 종사자 비중이 낮은 곳은 경북 포항(6.9%), 충남 석문(9.5%)이었다. 청년 기준은 고용부 일자리 지원정책 기준인 만 15~34세이다.

    이에 더해 최근 통계청 발표에 따르면 지난해 경남 20대 순유출은 1만6000여명으로 전국에서 가장 많아 앞으로 경남 산단 청년 비중 전망 역시 좋지 않은 상황이다.


    ◇창원산단, 배후 좋으나 내부는 글쎄= 2021년 산단공의 연구 자료 ‘산업단지별 청년유인력 특성분석’을 보면 국가산단의 경우 청년을 유인하는 요소는 근무환경이 양호한 산업단지이거나 첨단산업을 중심으로 업종이 구성돼 있으면 높은 것으로 분석됐다. 창원산단은 배후지역의 환경이 양호한 편이지만 산단 내부적 환경은 상대적으로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 조사대상 국가산단은 총 32곳으로 창원산단 종합지수 순위는 9위로 나타났다. 하위권은 아니었지만 세부적으로 보면 산업단지 내부 요소 순위가 18위로 배후지역 환경 요소(7위)와 큰 차이를 보였다. 산단 내부 요소 중 근무환경과 혁신환경 부문에서 낮은 점수를 받았다. 낮은 점수를 받은 원인으로는 기반시설 노후, 낮은 연구개발조직 비중, 낮은 교육·문화 쾌적성(어매너티) 등으로 분석됐다.

    이에 창원산단의 경우 산단 내부환경을 향상시키기 위해 1순위 정책 우선과제로 근무환경(기반시설, 지식산업센터 등) 개선이, 2순위로 혁신환경(연구개발 조직, 기술창업기업) 확충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시스템 확보·산업 확장 시급= 산단공 경남본부는 이런 문제를 인지하고 경남만의 구체적인 문제를 분석하고 경남 산단 혁신생태계 조성을 위한 추진전략을 수립하기 위해 지난해 연구 용역을 진행했다. 이 연구 용역 결과 중 청년 유입 대책 부문 내용만 보면 △일자리의 담보와 청년의 성장을 이끌어낼 수 있는 교육 시스템의 확보 △기존 산업의 확장 △기업 내 핵심 인력 양성 등을 가장 시급한 과제로 꼽았다.

    구체적인 방안들을 살펴보면 우선 청년친화적 기업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다양한 인센티브 지원이 필요한 것으로 조사됐다. 고급인력을 유치한 기업사례를 발굴해 우수기업으로 지정하는 등 기업에 필요한 당근책이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다음으로는 경남창원산학융합원, 도내 대학과의 협력을 통해 학습 프로그램의 활성화도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취업희망 청년, 재직자, 퇴직인력과 산단 기업을 연계하는 ‘경남 이노베이션 스쿨’을 바탕으로 AI·디지털·에너지 분야 핵심인재를 양성할 비학위 교육프로그램을 확대하는 것이 주요 전략으로 제시됐다. 또 △전환교육 전문강사 양성(TTT: Training The Trainer) 시스템 도입 △지역 내 앵커기업, 혁신 연구기관, 대학이 공동 참여하는 오픈 캠퍼스 조성 △산학 연계 교육과정을 활성화 △근로환경 개선을 위한 어메너티 확충 등도 필요한 것으로 조사됐다.

    조규홍 기자 hong@knnews.co.kr

  • < 경남신문의 콘텐츠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전재·크롤링·복사·재배포를 금합니다. >
  • ※ 관련기사
  • 조규홍 기자의 다른기사 검색
  • 페이스북 트위터 구글플러스 카카오스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