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   유튜브  |   facebook  |   newsstand  |   지면보기   |  
2024년 04월 20일 (토)
전체메뉴

[가고파] 남강댐과 사천- 김호철(사천남해하동본부장)

  • 기사입력 : 2021-11-30 20:24:03
  •   

  • 남강유역은 과거부터 홍수가 많은 지역이었다. 1796년 조선시대 정조실록을 보면 진주 주민인 장재곤은 “진주 쪽에 제방을 쌓고 방수로를 사천만으로 뚫으면 경상도 13개 읍이 홍수 위험을 벗어날 수 있다”고 제안했다는 기록이 나온다. 계유년 1933년 진주에 대홍수가 발생해 당시 중안동 도립병원과 평안동 법원, 진주교 등 주변이 침수됐다. 병자년 1936년 남강수위가 최고 9.5m까지 상승하며 진주성벽이 무너지고 진주읍 전 시가지가 침수돼 5500호의 가옥이 진흙탕물에 잠겼다. 이후에도 홍수와 피해는 반복됐다.

    ▼극심한 남강의 물난리를 겪으면서 일제의 낙동강 개수계획(1920~1930년)의 일환으로 남강개수계획 추진됐고 1939년 사천만방수로를 만드는 남강댐 건설 공사가 첫 시작됐다. 그러나 공사는 2차 세계대전으로 바로 중단됐고 광복 이후 1949년 재착공했지만 1950년 6·25전쟁으로 다시 중단됐고 1962년 다시 착공하는 등 우여곡절을 겪고 1969년 남강댐은 준공됐다.

    ▼남강댐은 진주에 큰 변화를 가져다주었다. 수돗물과 공업용수를 안정적으로 공급받게 되면서 평거, 신안, 장대 지역은 큰 도시로 발전했다. 반면 사천어민에게 남강댐은 악연이었다. 가화천으로 방류되는 남강물 때문에 사천만의 민물화로 많은 어업피해를 겪었다. 어민들은 7차례 어업피해 소송을 제기했지만 모두 패소했고 가슴에 상처만 남았다.

    ▼대한하천학회 박창근 회장은 “남강댐은 진주를 위한 사천의 일방적인 희생을 요구한 공정하지 못한 정책으로 평가한다. 충분한 보상을 받았는가 고민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환경부와 수자원공사는 사천의 피해를 인정하면서도 관련 규정이 없어 보상할 수 없다는 입장이다. 그래서 법을 만들어달라고만 하면서 관망하고 있다. 남강댐과 사천의 얽히고설킨 50년 악연의 매듭짓기 위해선 지금이라도 정확한 피해 조사가 시급하다.

    김호철(사천남해하동본부장)

  • < 경남신문의 콘텐츠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전재·크롤링·복사·재배포를 금합니다. >
  • 김호철 기자의 다른기사 검색
  • 페이스북 트위터 구글플러스 카카오스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