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   유튜브  |   facebook  |   newsstand  |   지면보기   |  
2024년 03월 29일 (금)
전체메뉴

[가고파] 이해찬 세대- 김유경(광역자치부 기자)

  • 기사입력 : 2021-07-14 20:20:45
  •   

  • ‘이해찬 세대’가 있었다. 학번으로 치면 02학번과 03학번, 이해찬 전 민주당 대표가 교육부 장관으로 재직한 1998~1999년에 고교 1학년이었던 1983, 1984년생들이다. 이들은 당시 교육부가 단행한 자율학습·모의고사 폐지 등을 경험했는데, 이들을 이 파격의 ‘수혜자’이자 ‘피해자’라 회고한다면 너무 가혹할까.

    ▼‘이해찬 세대’는 ‘특기 하나로 대학에 갈 수 있다’는 이 전 장관의 슬로건 아래 비교적 자유로운 분위기에서 학업을 했다. 물론 대가가 따라서, ‘단군 이래 최저학력’이라는 오명을 써야했다. 2001년 수능이 무수한 만점자를 배출한 ‘물수능’이었다는 점을 감안하더라도, 02학번의 수능점수는 전체 집단 기준 문과 98.2점, 이과 91.3점 폭락이라는 기록을 썼다. 당시 수능은 400점 만점이었고, 다양한 수시·특별전형이 고안되기 전이었다는 점에서 교육사에 남을 만한 기록이긴 했다.

    ▼경남도의회 교육위원회가 ‘경상남도교육청 학생자치 및 참여 활성화에 관한 조례안’을 수정가결했다. 학생들이 의회를 운영하며 교육정책에 개입할 수 있고, 이를 지원할 위원회를 둘 수 있도록 한 내용이 쟁점이 됐다. ‘교육현장이 정치의 장으로 변질될 수 있다’는 반대가 만만찮았다. 일부 학부모는 의원들에게 “당신들 자녀는 특목고, 자사고, 유학 보내면서 왜 학업에 매진해야할 우리 아이들 교육에 관여하느냐”고 따져물었다.

    ▼이 논쟁의 본질은 ‘학생을 어떤 존재로 규정하느냐’에 뜻을 달리하는 두 축의 ‘겨루기’다. 세 차례나 제정이 무산된 경남학생인권조례도 이와 궤를 같이한다. 특히 논쟁의 연원이 ‘이해찬’이라는 교육계의 평가는 흥미롭다. 그는 학생에 대한 새로운 시각에 숨을 불어넣은 선구자였으나, 사교육시장을 기형적으로 팽창시킨 원인제공자라는 비판을 받아왔다. 20여년이 흐른 지금, 이해찬 세대 상당수가 학부모가 됐다. 자신들에 이어, 자식대까지 이어지는 ‘힘겨루기’를 바라보는 이해찬 세대의 소회가 자못 궁금하다.

    김유경(광역자치부 기자)

  • < 경남신문의 콘텐츠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전재·크롤링·복사·재배포를 금합니다. >
  • 김유경 기자의 다른기사 검색
  • 페이스북 트위터 구글플러스 카카오스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