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   유튜브  |   facebook  |   newsstand  |   지면보기   |  
2024년 03월 29일 (금)
전체메뉴

[2025년 고교학점제 전면시행] 경남교육청 어떻게 준비하고 있나

학생선택과목 46 → 69개 확대… 거점교육청 6곳 운영

  • 기사입력 : 2021-04-06 08:09:58
  •   
  • 교육부는 현 초등학교 6학년이 고등학교 1학년이 되는 오는 2025년부터 대학처럼 스스로 과목을 선택해 학점을 취득해야 졸업을 할 수 있는 고교학점제를 전면 시행한다.

    고교학점제는 고교생들이 1학년 때 공통과목을 중심으로 이수하고 뒤에 자신의 진로와 적성에 따라 원하는 과목을 선택해 이수하고, 192학점을 수강하면 졸업할 수 있는 제도다. 학생 주도적인 맞춤형 교육이어서 학습동기와 흥미를 유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와 관련해 경남교육청은 고교학점제의 성공적인 정착을 위해 어떤 준비를 하고 있는지 알아봤다.

    경남교육청이 고교학점제 기반 조성을 위한 공동교육과정 온라인 수업교실을 구축하고 있다./경남교육청
    경남교육청이 고교학점제 기반 조성을 위한 공동교육과정 온라인 수업교실을 구축하고 있다./경남교육청

    ◇고교학점제 도입 기반 조성= 도내 일반 고등학교 중 연구학교 7개교, 선도학교 45개교(2021학년도 69개교)를 지정해 운영하고 있다. 이를 통해 기존 46개 교과목이었던 학생선택과목을 69개로 확대했고, 도내 18개 교육지원청을 6개의 권역으로 나눠 해당 거점교육지원청(창원·김해·사천·통영·의령·합천)에 인력을 배치해 단위학교 밀착형 고교학점제 지원을 강화하고 있다. 도내 전 읍·면지역을 교육소외지역으로 지정해 온라인 공동교육과정 기반 조성, 예술실기 강사 지원 및 지역특화프로그램은 운영해 학생들이 지역적 제약으로 인해 차별받지 않도록 지원하고 있다.

    경남교육청이 고교학점제를 대비해 ‘선택이와 함께하는 나의 교과 선택’ 라는 동영상을 제작해 유튜브 탑재해 놓고 있다./경남교육청
    경남교육청이 고교학점제를 대비해 ‘선택이와 함께하는 나의 교과 선택’ 라는 동영상을 제작해 유튜브 탑재해 놓고 있다./경남교육청

    ◇학생 과목선택권 확대 지원 기반 조성= 경남교육청은 단위학교의 교원 수급 상황에 따라 개설하기 힘든 교과목을 지역 내 인근 학교와 협업해 운영하는 학교간공동교육과정 및 농어촌지역 학생의 과목선택권을 지원하기 위한 온라인 공동교육과정을 운영하고 있다. 2020학년도에 운영한 학교 간 공동교육과정을 통해 295개 강좌에서 연인원 3366명의 학생, 온라인 공동교육과정에서도 114개 강좌에 연인원 1200명의 학생이 참가했다. 2021학년도에는 개설과목을 더욱 다양화해 교육학·심리학·보건·철학 외에 환경·국제정치·과학과제연구·공학일반·프로그래밍 등의 과목으로 확대할 예정이다. 또 지역별 거점학교가 중점 교과목을 선정해 관련한 다양한 과목별 공동교육과정의 운영을 원할 경우, 교과특성화학교 운영도 확대 지원할 예정이다.

    온라인 공동교육과정 등 기반 조성

    읍·면 지역 소외 없도록 밀착 지원

    2023년까지 학교공간 혁신 추진도

    교원 수급·교육격차 심화 등 우려

    ◇고교학점제 대비 학교공간혁신 지원 = 고교학점제를 대비한 다양한 수업공간, 학생의 학습·생활공간, 원격수업교실 및 홈베이스·학습카페 등 기존 학교공간과 차별화된 다양한 학교공간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 2019년부터 올해까지 도내 일반고등학교 중 공모를 통해 고교학점제 대비 학교환경 재구조화 사업을 시행해 24개교에 148억원, 경남도와의 협업 사업으로 홈베이스 및 학습카페 구축 지원사업을 추진해 2020년부터 올해까지 43교에 73억원을 지원한다. 또 교육부에서 공모사업으로 추진하는 교과교실제 고교학점제 학교환경 조성사업과 연계해 2023년까지 도내 전 일반고등학교를 지원할 계획이다.

    ◇우려= 교육부는 대입입시 위주의 고등학교 교육 패러다임을 전환할 계기라고 밝히고 있다. 하지만 고등학교 수업 시스템은 물론 대입제도까지 바뀌는 것이기 때문에 도입을 앞두고 우려가 높다. 일각에서는 고교학점제의 경우 진로와 적성에 따라 과목을 선택할 수 있다고 하지만 고등학교 때 진로를 미리 결정하라는 것이어서 섣부르고, 더구나 도시와 지방, 사립과 공립 등에 따라 원하는 선택과목 개설과 수업의 질 차이가 날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기준 학점을 이수해야 졸업할 수 있어 다양한 고교생활을 위축시킨다는 지적도 있다.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는 “교원 수급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공동교육과정, 온라인 과정, 순회교사제, 외부 강사제를 대안으로 제시하고 있지만 학생 안전·생활지도 문제, 온라인 강의의 효과, 교육의 질 담보 문제 등이 우려된다”며 “특히 교원 수급이 어려운 농어촌 학교 학생들이 소외되고 교육 격차가 심화하지 않도록 세심한 지원대책이 필요하다”라고 전면 재검토를 촉구했다.

    이현근 기자 san@knnews.co.kr

  • < 경남신문의 콘텐츠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전재·크롤링·복사·재배포를 금합니다. >
  • 이현근 기자의 다른기사 검색
  • 페이스북 트위터 구글플러스 카카오스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