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   유튜브  |   facebook  |   newsstand  |   지면보기   |  
2024년 03월 29일 (금)
전체메뉴

[동서남북] 테스형, 삼류 도시로 전락한 부산 왜 이래- 김한근(부산본부장·부국장대우)

  • 기사입력 : 2020-11-19 20:31:57
  •   

  • “정말 뭉쳐야 하나”

    전국 광역 시·도 이웃이 ‘행정구역 합치자’며 행정통합을 외치고 있다.

    블랙홀로 빠져버린 수도권에 맞서 지역이 살아남기 위한 전략으로 인접 시·도끼리 통합해 인구와 경제규모를 불려 경쟁력을 키워야 한다는 것이다.

    대구시·경북도, 광주시·전남도 등이 행정통합 논의를 본격 진행하고 있는데 최근 김경수 경남도지사가 부산시에 행정통합을 공식 제안하자 부산시 변성완 권한대행도 시의회 시정연설서 경남도의 제안에 적극적으로 검토해 보겠다며 “두 시·도 행정통합 추진을 위한 실무접촉이 필요하다. 지역사회 공론화와 공감대가 반드시 필요하다”고 화답했다.

    부산은 매년 3만명씩 부산을 떠난다. 인근 김해와 양산, 수도권 등으로 부산시민이 주거와 일자리 등을 찾아 떠남에 따라 심각한 인구 감소를 경험하고 있는 부산은 인천에 밀려 삼류 도시로 전락한 지 오래된다.

    학생 신분일 때는 수도권에 비해 정주 가성비가 좋은 부산을 찾지만 직장을 가져야 할 나이가 되면 결국 다시 부산을 떠나는 악순환이 개선되지 않은 것이다.

    근본적인 대책은 바로 일자리다. 부산은 근본 설계부터 잘못됐다. 서비스업이 50%가 넘고 고만고만한 제조업들로 구성된 노후되고 소비하는 도시로 전락됐다. 이렇다 할 기업은 르노삼성과 한진중공업뿐인데 그나마 한진중공업은 현재 매각이 진행 중이다.

    일자리는 청년 유출 문제 하나만 해결하는 데 그치지 않는다. 부산은 저출산과 고령화 두 마리 토끼를 모두 잡아야 한다. 발버둥만으로는 한계가 있다. 공공기관, 대기업, 중견기업의 이전 및 분사 등이 뒷받침되어야 한다. 돈과 사람이 수도권이 아닌 지역에서 선순환이 이뤄질 수 있게 국가 차원의 큰 그림이 필요하다. 그것이 국가의 균형발전에 부합한다. 청년이 없는 도시는 미래가 없다. 이전 공공기관에 지방대 50% 채용에 관한 적극적인 논의가 필요하다. 수도권 집중 완화와 지역균형 발전을 동시에 이룰 수 있다. 그간 국가적 난제이자 모순으로 꼽혀온 수도권 집중·지방 소멸 현상의 주된 이유는 지방의 좋은 일자리 부족 때문임은 불문가지다. 지역 인재들이 너도나도 수도권으로 떠났다. 지방 도시는 미래세대 부족과 고령화를 걱정하며 위축됐다.

    취업 문제로 부산을 떠나는 사람은 갈수록 늘어나고 인구 대량 유출에 따른 공동화 현상은 더욱 심화할 것이다. 제조업을 대신할 신성장 사업이 전혀 보이지 않는다. 청년 실업과 인구 유출 문제를 동시에 해결하기 위해서는 하루빨리 ‘미래 선도형’으로 체질을 바꿔야 한다. 테스형, 정부와 부산시가 부산을 삼류 도시로 만들었다. 부산이 왜 이래.

    김한근(부산본부장·부국장대우)

  • < 경남신문의 콘텐츠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전재·크롤링·복사·재배포를 금합니다. >
  • 김한근 기자의 다른기사 검색
  • 페이스북 트위터 구글플러스 카카오스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