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   유튜브  |   facebook  |   newsstand  |   지면보기   |  
2024년 04월 24일 (수)
전체메뉴

[세상을 보며] 네이버에 지역언론은 없다- 이학수(뉴미디어부장)

  • 기사입력 : 2018-05-23 07:00:00
  •   
  • 메인이미지

    ‘6·13지방선거 핫 이슈’, ‘6·13지방선거 후보에게 듣는다’…. 본지가 준비한 지방선거 기획기사들이다. 이 기사들을 지면 출고와 함께 네이버에 전송해도 독자들이 일부러 검색하지 않는 한 볼 수가 없다. 경남신문이 경천동지할 특종을 하더라도, 모바일 네이버의 첫 화면에 노출되지 않는다. 경남신문뿐 아니라 전국 지역언론은 네이버에서 철저히 외면받고 있다.

    “밀양연극촌 사건을 네이버에서 검색했을 때 통신사 기사가 상위에 노출되고, 경남신문 기사는 노출이 안 된다.” 경남신문 독자위원장의 애정어린 질책이다. 지역민들은 지역에서 일어난 사건을 지역언론이 어떤 시각에서 보도하는지 보고 들을 권리가 있다. 하지만 현실은 어떤가. 포털의 푸대접에 지역민들은 정보접근권을 침해받고 있다.

    네이버의 뉴스 플랫폼 독과점 속에서 ‘지역언론 패싱’은 심각하다. 네이버는 PC버전과 모바일버전의 편집을 달리한다. 뉴스스탠드 방식의 PC는 지역신문을 비롯 중앙지와 방송, 전문지 등 263개가 제휴돼 있다. 그러나 뉴스 이용자의 70% 이상, 국민 3000만 명이 본다는 모바일에서는 자신들과 콘텐츠 제휴를 맺은 언론사 기사만 첫 화면 상단에 노출한다. 콘텐츠 제휴가 이뤄지지 않은 지역신문 기사는 여기에 아예 노출되지 않는다. 네이버는 모바일 첫 화면 하단에 ‘채널’ 설정으로 구독자가 언론사를 선택할 수 있도록 했지만, 서울에 소재한 신문, 통신, 방송매체 43개가 전부다. 인공지능 기반 추천시스템이라 자랑하는 뉴스피드판인 ‘에어스 (AiRS)’ 추천에도 지역언론은 없다. 경남신문보다 발행부수가 적은 서울 소재 신문은 서비스된다. ‘드루킹 사태’로 코너에 몰린 네이버가 개편안을 마련하면서 언론사 의견을 구했다. 그러나 콘텐츠 제휴 언론 70여 곳에만 설문을 돌렸다. 이 정도라면 네이버는 지역주민의 정보복지, 지역저널리즘에 대한 인식 자체가 없다고 봐야 한다.

    포털을 통한 뉴스 소비가 대세인 지금 지역언론이 포털에서 외면받으면 지역여론이 제대로 형성되기 어렵다. 지방과 수도권의 이해가 상충될 때 건강한 공론장이 마련되지 않는다. 균형발전은 고사하고 불균형만 심화될 게 뻔하다. 지역적, 계층적으로 평등한 나라일수록 더 빠르게 성장한다. 불평등이 너무 심하면 새로운 것을 창조하려는 의욕마저 잃는다. 이미 수도권 집중과 지방소멸을 경험하고 있다. 공정한 시장에서도 이기기가 힘든데, 시장 자체가 불공정한 ‘조작된 시장’에서 이기기란 불가능하다.

    포털의 뉴스 서비스 개편 여론이 높은 가운데 지난달 정동영 의원이 대표 발의한 ‘네이버-지역언론 상생법(안)’은 이런 불균형을 해소해보자는 작은 시도다. 법안은 지역언론의 기사를 일정 비율 이상 반영하도록 의무화하는 내용을 담았다. 정 의원은 “지방분권 시대 지역언론의 역할은 갈수록 중요해지지만, 우리나라 언론 환경이 포털을 중심으로 재편되면서 지역언론은 기사 노출 감소와 경영 악화 등의 이유로 제 기능을 못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한국신문협회도 국회와 정부에 포털 뉴스서비스의 아웃링크(기사를 클릭하면 해당 언론사 사이트로 이동해 보여주는 방식)를 법률로 정할 것을 촉구하고, 지역언론사의 뉴스가 지역주민에게 노출되도록 위치기반 뉴스 서비스 대책을 요구하고 있다. 지역언론에 대한 차별 시정 없이는 지방분권국가는 공염불에 불과하다.

    이학수 (뉴미디어부장)

  • < 경남신문의 콘텐츠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전재·크롤링·복사·재배포를 금합니다. >
  • 페이스북 트위터 구글플러스 카카오스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