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   유튜브  |   facebook  |   newsstand  |   지면보기   |  
2024년 03월 29일 (금)
전체메뉴

희귀성 난치질환 ‘강직성 척추염’

아침마다 ‘뻣뻣한 허리’ 3개월 이상 그냥 두면
척추, 대나무처럼 굳어요

  • 기사입력 : 2018-02-12 07:00:00
  •   

  • 일상적으로 허리통증은 흔한 증상 중에 하나다. 보통은 허리디스크(추간판탈출증) 혹은 근육통으로 생각하고 그냥 참고 넘어가거나 심할 경우 병원에 가서 물리치료를 받고 소염진통제를 처방받아서 복용한다. 이러한 치료로 증상이 완전히 호전되면 별문제가 없겠지만, 3개월 이상 증상이 지속되고, 아침에 허리가 뻣뻣한 증상이 동반되면 혹시 강직성 척추염이 아닐까 의심해 봐야 한다.

    강직성 척추염이란 천장관절을 비롯한 척추 및 골부착부의 염증을 특징으로 하는 만성 염증질환으로, 희귀성 난치질환이다. 보통 10~20대에 시작되고 남성이 여성에 비해 3~4배 정도 많이 발생하며 전 인구의 0.1~1.4% 정도의 유병률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척추관절염에서는 강력한 유전적 요인들이 관찰된다. 가장 중요한 위험인자는 HLA-B27이다. HLA-B27은 강직성 척추염 환자의 90% 이상에서 존재한다. 그러나 HLA-B27을 가지고 있다고 해서 모두 다 강직성 척추염 환자는 아니다. 일반인 HLA-B27 양성자의 5%에서만 강직성 척추염이 발생한다. 유전적 요소 외에 강직성 척추염 발생에 관련이 있다고 추정되는 것으로는 감염과 기계적 스트레스와 같은 환경적 요인이다. 강직성 척추염의 원인은 정확하게 알 수는 없지만 이러한 유전적 요소와 환경적 요소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해서 발병하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메인이미지

    임상증상으로는 크게 관절 증상과 관절 외 증상으로 나눌 수 있다. 관절 증상으로 대표적인 것이 척추 증상이다. 초기 증상은 보통 요추 아래쪽이나 둔부에서 점진적으로 발생하는 통증이다. 아침에 일어나면 허리가 뻣뻣한 느낌이 몇 시간 지속될 수 있고, 활동하면서 점차 좋아진다. 밤에 통증 악화가 흔하고, 잠을 깨서 움직이는 일이 흔해진다. 일부 환자는 힘줄이나 인대가 뼈에 붙는 자리에 염증이 생기는 부착부염이 발생한다. 늑골흉골 접합부, 궁둥뼈 결절, 정강뼈 결절 등에 염증이 흔하게 생긴다. 그리고 무릎, 발목, 어깨관절, 고관절 같은 큰관절에 염증이 발생한다. 이러한 말초 관절염은 보통 비대칭적이고, 강직성 척추염 환자의 25~35%에서 나타난다. 류마티스 관절염은 주로 손가락 관절 같은 작은 관절에서 나타나고, 주로 대칭적 형태로 관절염이 발생한다는 점은 강직성 척추염과는 차이라고 할 수 있다.

    질환이 오래 지속되면 척추의 강직이 발생한다. 이러한 환자들은 척추 운동성의 소실이 오고 척추의 전방과 측방 굽힘, 펴기의 제한이 오고, 흉곽 확장의 제한이 나타난다. 이러한 환자들의 척추 X-선 촬영을 하면 척추뼈끼리 연결되어 붙은 모양을 볼 수 있는데 이것을 대나무 척추라고 부른다. 심하게 진행된 환자는 특징적인 자세변화가 생기는 데 요추, 흉추, 경추 등 척추가 모두 앞으로 굽힌 자세로 굳어버려 서서 걸어 다닐 때 앞을 못보고 땅만 바라볼 수밖에 없어 불편해질 수 있다. 척추 질환의 가장 중대한 합병증은 척추 골절이며, 미세한 외상에도 발생할 수 있다. 경추 하부에서 가장 흔하고, 쉽게 이탈되어 척수 신경 손상을 일으킬 수 있다.

    강직성 척추염은 눈과 장, 피부, 심장 등을 침범하는 관절 외 증상이 나타날 수 있으며, 환자들의 40%에서 이러한 증상이 동반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눈 증상으로는 대표적으로 급성 전방 포도막염이다. 강직성 척추염 환자의 40%에서 발생하며, 척추염보다 먼저 발생할 수 있다. 안구 통증, 눈부심, 눈물 증가, 충혈, 시력 저하 등의 증상이 발생할 수 있고, 보통은 한쪽만 침범하는 경우가 많다. 이들은 재발하는 경향이 있고, 보통 반대쪽 눈에 재발한다. 후유증으로 백내장, 이차성 녹내장이 발생할 수도 있다.

    장 침범도 흔하게 있으며, 약 60%의 환자들에서 대장 혹은 회장에서 염증소견이 발견이 된다. 하지만, 보통은 증상이 없다. 그러나, 5~10% 환자에서는 크론병, 궤양성대장염 같은 염증성장질환이 발생한다. 그 밖에도 심장 침범이 있는 경우 대동맥판 폐쇄부전이 있을 수 있으며, 3도 방실차단과 같은 부정맥이 있을 수 있다. 드문 합병증으로는 방광기능부전, 서혜부, 항문, 엉덩이 감각소실, 좌골신경통, 하지근력약화 등이 발생하는 마미증후군(cauda quina syndrome)이 발생할 수 있고, 후복막섬휴증(retroperitoneal fibrosis), 상부 폐엽섬유화증도 드물게 동반된다. 강직성 척추염 환자는 전립선염의 유병률이 증가한다는 보고도 있다.

    강직성 척추염은 임상 병력과 진찰 소견 그리고 방사선 촬영을 통해서 진단하게 된다. 앞에서 설명한 특징적인 증상이 있게 되면 혈액검사로 적혈구 침강속도, C반응단백과 같은 염증 수치와 HLA-B27 검사를 시행하고 허리와 골반 부위에 X-선 촬영을 먼저 하게 된다. 아주 초기에는 이러한 검사에서 정확하게 감별이 되지 않을 수 있으므로 질환이 강하게 의심이 될 때는 천장관절염 확인을 위해 MRI 촬영이 필요할 수도 있다.

    치료의 목표는 통증과 강직감을 없애주고 척추가 굳지 않게 해서 움직임에 장애가 없도록 하는 것이다. 치료는 크게 약물치료, 운동요법, 수술치료로 나눌 수 있다.

    약물치료는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가 주로 사용된다. 이러한 약으로 조절이 되지 않을 경우에는 다른 종류의 소염 진통제를 사용해보기도 하고, 설파살라진, 메토트렉세이트와 같은 항류마티스 제제를 사용하기도 한다. 이러한 약제에도 효과가 없을 경우 병리기전에 따라 개발된 생물학적 제제들을 사용한다. 이러한 약제들로 종양괴사인자-알파(TNF-α)억제제가 사용된다. 대표적으로 인플립시맵(레미케이드), 에타너셉트(엔브렐), 아달리무맵(휴미라)를 들 수 있으며 인플립시맵은 보통 2개월에 한번씩 혈관으로 주사제를 투여하게 되고, 에타너셉트 일주일에 한번 피하주사, 아달리무맵 2주에 한번 피하 주사로 투여하게 된다. 이러한 치료에도 효과가 없을 시 인터루킨-17 억제제인 세쿠키누맵(코센틱스)이 최근에 사용되고 있다.

    수술적 치료는 주로 심한 경우 시행된다. 환추축성 아탈구가 있어 신경학적 손상의 위험이 있을 경우, 강직성 척추염이 진행해 척추관절에 유착이 오고 이로 인해 일상생활이 어려울 정도로 통증이 심해진 경우, 앞을 볼 수 없을 정도로 척추의 변형이 심한 경우, 고관절에 통증이 심하거나 운동 제한이 있는 경우 등에서 수술을 시행하게 된다.

    강직성 척추염 환자는 관절의 변형을 막기 위해서는 평소에 올바른 자세를 갖는 것이 중요하고 날마다 규칙적인 운동을 해야 한다. 딱딱하고 등이 곧으며 팔걸이가 있는 의자를 사용하는 것이 좋고, 푹신하고 낮은 소파에 오래 앉는 것은 좋지 않다. 일할 때는 몸이 굽지 않도록 적당한 높이를 유지해야 하며, 허리의 움직임이 없이 너무 오랫동안 한 자세를 취하는 것은 피해야 한다. 누워서 잘 때는 침대는 단단한 것이 좋고 푹신푹신하고 휘는 침대는 좋지 않다. 스트레칭 운동, 근육강화 운동, 수영과 같은 수중운동 등이 권장되며, 신체적 접촉이 심하거나 충격이 많은 축구, 농구, 유도, 격투기 그리고 허리를 구부린 자세로 하거나, 관절에 과도한 힘이 순간적으로 가해질 수 있는 당구, 볼링, 골프 같은 운동도 주의해야 한다. 이준희 기자 jhlee@knnews.co.kr

    도움말 = 창원파티마병원 류마티스내과 강진영 과장

  • < 경남신문의 콘텐츠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전재·크롤링·복사·재배포를 금합니다. >
  • 이준희 기자의 다른기사 검색
  • 페이스북 트위터 구글플러스 카카오스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