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   유튜브  |   facebook  |   newsstand  |   지면보기   |  
2024년 03월 29일 (금)
전체메뉴

[사설] 고질적 안전 불감증, 또 무너진 타워크레인

  • 기사입력 : 2017-12-12 07:00:00
  •   

  • 고질적인 안전 불감증으로 인한 타워크레인 대형사고가 잇달아 터지고 있다. 7명의 사상자를 낸 경기 용인 타워크레인 사고는 정부의 부실한 대처가 겹치면서 충격을 더해준다. 남양주에 이어 참사가 반복되면서 ‘설마가 사람 잡는다’는 속담이 거듭 되새겨질 수밖에 없다. 타워크레인 사고는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지난 5월 1일 거제 삼성중공업 크레인 충돌사고(6명 사망, 25명 부상)로 위험성이 충분히 예견됐다. 하지만 어처구니없는 크레인 사고가 올해만 8번째로 발생하면서 그간의 대처가 사후약방문에 불과할 지경이다. ‘판박이’ 사고가 잇따르고 있는 가운데 이들 건설현장이 각종 재난에 얼마나 무방비 상태인가를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주먹구구식 안전 활동과 안전 시스템을 모두 되짚어 봐야 한다.

    타워크레인 인명사고가 끊이지 않자 정부는 발등에 불이 떨어질 정도의 당혹감을 보이고 있다. 이낙연 국무총리는 11일 “정부대책과 현장의 차이를 줄일 방법을 찾아보라”고 특별 지시했다. 정부는 지난달 말 20년 넘은 타워크레인을 공사현장에서 퇴출하겠다는 대책을 내놨다. ‘타워크레인 예방대책’까지 제시했지만 한 달도 채 안 돼 대형 사고가 또 터졌다. 정부 대책이 공염불로 끝난 셈이다. 크레인 사고는 났다 하면 대형 인명피해로 이어진다는 점에서 대책이 겉돈다는 느낌이다. 전국 건설현장의 6000여대 타워크레인이 이 순간에도 중대재해에 노출돼 있다. 더 이상 대형 참사를 자초해선 안 된다.

    안전규정에도 불구하고 같은 사고가 반복되고 있는 점이 가장 걱정이다. 단순·반복 등 전형적 후진국형 산업재해의 모양새를 보여준다. 지난 10월 청와대가 직접 나서 대책을 내놓을 정도로 사태가 심각하다. 위험성이 상존하는 건설현장에 비례한 현실적 대책이 절실한 상황이다. 고강도 종합대책을 마련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현장의 총체적 안전 불감증부터 고쳐 나가야 하겠다. 안전의 기본원칙을 무시해 또 무너진 타워크레인을 쳐다보는 국민들의 심경은 매우 불안하다. 우리 사회 전체가 안전 불감증이란 큰 구멍이 뚫려 있는 것 같아서다.

  • < 경남신문의 콘텐츠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전재·크롤링·복사·재배포를 금합니다. >
  • 페이스북 트위터 구글플러스 카카오스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