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   유튜브  |   facebook  |   newsstand  |   지면보기   |  
2024년 03월 29일 (금)
전체메뉴

[사설] 위안부 문제, 다양한 담론으로 해법 찾아야

  • 기사입력 : 2017-08-14 07:00:00
  •   

  • 8월 14일은 ‘세계 일본군 위안부 기림일’이다. 지난 1991년 고 김학순 할머니가 일본군 위안부 피해사실을 최초로 공식 증언한 날로, 이때의 용기 있는 발언으로 위안부 피해 할머니의 사연과 일본군의 잔혹상이 국제사회에 알려졌다. 그러나 강산이 수차례 변한 세월임에도 위안부 문제는 여전히 현재진행형이다. 한·일 양국이 기회 있을 때마다 머리를 맞대고 지난 2015년엔 합의를 이끌어냈지만 합의 내용은 ‘속빈 강정’이라는 것이 대체적인 시각이다. 피해자 할머니들을 포함해 국민들이 납득할 수 있는 방향으로 문제가 해결되지 않고 있다는 것이다. 문재인 대통령도 취임 후 아베 일본 총리와의 함부르크 회담에서 “대다수 국민과 피해자가 정서적으로 합의를 받아들이지 못하는 현실을 인정해야 한다”고 밝혀 한·일 간의 주요 현안으로 떠오른 상황이다.

    이런 가운데 시민사회의 다양한 목소리가 나와 주목된다. 우선 일본군 위안부 문제를 더 이상 한·일 양국의 민족감정 문제로만 접근해선 안 된다는 것이다. 여성 인권과 명예회복이라는 보편적 관점으로 확장함으로써 역사적 진실을 규명해야 한다는 것이다. 여성계도 세계 여성 인권과 연계해 풀어나가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기존의 틀을 깬 진일보한 해결책임에 틀림없다. 나아가 민족주의적 관점에서 가해자와 피해자란 이분법적 방식으로는 혐한 감정을 부추겨 일본 내 양심적인 지식인의 활동도 위축시킬 수 있다는 주장도 공감한다. 소녀상 문제도 장기적으론 문제 해결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지적을 새겨들을 필요가 있다.

    위안부 문제 해결의 핵심이 일본의 사죄와 배상, 위안부 피해자 할머니들의 명예회복이라는 데 이의가 있을 수 없다. 그러나 민족주의적 감정을 내세운 해결 방식으론 한 발짝도 나아가지 못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고 김 할머니의 20여 년 전 외침은 여성 인권 가치의 소중함을 일깨워 주었고 일본의 잔혹한 역사를 증명했다. 위안부 문제의 보편성과 특수성을 부각시키는 것이 일본 내 양심 세력의 공감을 얻을 수 있다. 시민사회의 다양한 담론을 기대한다.

  • < 경남신문의 콘텐츠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전재·크롤링·복사·재배포를 금합니다. >
  • 페이스북 트위터 구글플러스 카카오스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