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   유튜브  |   facebook  |   newsstand  |   지면보기   |  
2024년 04월 26일 (금)
전체메뉴

[기고] 보훈명예수당 기사를 읽고- 허만선(창원 마산회원구 양덕동 베트남전 참전용사)

  • 기사입력 : 2017-06-07 07:00:00
  •   
  • 메인이미지

    지난 5월 18일자 경남신문에서 참전용사가 아닌 일반보훈대상자에 대한 명예수당 지급에 관한 기사를 읽고, 경남의 여러 자치단체가 참전용사가 아닌 경우도 수당을 주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필자는 참전용사와 그 유가족에게만 주는 걸로 알고 있었는데 일반 보훈대상자에게도 준다는 것을 알고 자치단체에 새삼 감사를 표한다.

    그러나 자치단체의 재정 상황에 따라 차액이 나고 형평성에 문제가 있다고 하니 유감이다. 6·25참전 용사들에게도 그렇고, 도 산하 18개 자치단체가 월남전의 명예수당도 지역에 따라 차이가 나기에 유감을 표시해 본다. 참전위로금의 경우 전국에서 충남이 15~20만원으로 가장 높고, 다른 곳은 5~10만원으로 엇비슷하다. 우리 경남은 6·25에 한해서 20만원을 주고 있다. 월남전은 18개 시·군 중 12곳이 10만원, 5곳이 7~8만원을 주고 있다. 경남에서 가장 큰 도시인 창원시만이 5만원을 주는데, 예산타령 때문인지 생색이 안 나서 그런 건지 4570명의 월남전 노병들과 가족들은 몇 만원의 돈 때문이 아니라 자존감에 상처를 입고 있다.

    6·25와 차별하는 것도 그렇다. 전쟁터에서 피 흘리고 목숨 바치는 생명은 다 같이 존엄한데, 국가 명령에도 국내와 국외 차별을 해야 하는 것인지도 의문이다. 전상 트라우마는 눈을 감을 때까지 따라 다닌다. 참전용사의 노고를 과대포장하자는 것은 아니다.

    지난해에 월남 참전용사 30명이 국가를 상대로 전투수당을 지급해 달라고 소송을 내었다가 패소했다. 대한민국을 수호한 국내전쟁이 아니라는 이유에서였다. 6·25 때 도와 준 나라의 요청이 있었고, 맹방과의 우호 및 국가발전의 수많은 이유가 있었기에 국회의 의결을 거쳐서 파병되었는데 국내전이 아니라는 이상한 논리였다.

    당시 사병은 월 40~50달러의 수당을 받았는데 이것은 미군의 20% 수준이었고, 80%가 국내로 송금되어 경제부흥의 초석이 되었다고 한다. 국군 사병의 수당은 함께 싸운 연합군은 물론이고 심지어 월남 정부군보다도 터무니없이 적은 수당이었다. 월남전에 연인원 32만여명이 8년8개월간 싸웠고, 5099명 전사에 1만1232명 부상했다는 것이 공식적인 통계이다. 고엽제 등 후유증 환자가 10만명이 넘는다.

    지난 국회에서도 전투수당지급 발의를 했지만 통과되지 못했다. 민주화나 세월호 희생자 등은 특별법을 만들어 큰 보상을 해 주었다. 그러나 천안함 순직 장병은 나라와 국민을 지키다 희생당했지만 그만큼 예우를 받고 있는지 모르겠다.

    전상 후유증이 심한 노병은 일생을 뼈가 녹아내리는 절망 속에 겨우 연명해 왔다.

    창원시정 책임자여! 차라리 거룩한 희생을 말하지 말든지…. 다른 지역보다 많이는 아니어도 비슷하게는 대우해 줘야 한다고 생각한다.

    허만선 (창원 마산회원구 양덕동 베트남전 참전용사)

  • < 경남신문의 콘텐츠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전재·크롤링·복사·재배포를 금합니다. >
  • 페이스북 트위터 구글플러스 카카오스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