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   유튜브  |   facebook  |   newsstand  |   지면보기   |  
2024년 04월 20일 (토)
전체메뉴

[사설] 대선 후보 단일화 논의 민심부터 살펴라

  • 기사입력 : 2017-04-26 07:00:00
  •   

  • 대선전에서 단일화 논의는 늘 있어 왔던 단골 메뉴다. 1987년 대통령 직선제 개헌 이후 6차례 대선에서 1992년 14대 대선을 제외하고 후보 단일화 시도가 있었다. DJP연대와 노무현-정몽준의 단일화 기억은 생생하다. ‘5·9대선’이 종반전으로 치달으면서 바른정당이 25일 새벽 의총에서 ‘3자 단일화’의 불씨를 댕겼다. 문재인 더불어민주당 후보의 집권을 막기 위한 홍준표-안철수-유승민 ‘3자 원샷 단일화’를 제안한 것이다. 자유한국당 홍준표 후보도 유승민 후보를 비롯한 보수후보 4명의 단일화를 공론화했다. 역대 후보 단일화가 야권에서 이뤄졌던 것과는 다른 양상이다. ‘비문(非 문재인) 단일화’가 최대 변수로 등장한 것은 틀림없다. 고차방정식을 풀기 위한 각 당의 셈법이 주목된다.

    그러나 현재로선 단일화 성사 여부가 불투명하다는 관측이 대체적이다. 단일화가 이뤄지기 위해서는 대선 후보 간 의견일치가 선결 과제이지만 홍 후보는 이념과 정체성이 달라 안 후보와의 단일화는 불가하다는 입장이고, 안 후보도 여전히 자강론에 무게를 두고 있다. 유 후보도 대선 완주 의지를 분명히 하고 있는 것이다. 또 단일화의 효과를 누리기 위해서는 투표용지가 인쇄되는 30일 전까지 단일화가 이뤄져야 하지만 각 정당 간 선결과제를 풀어내기 위해서는 시일이 촉박하다. 게다가 각 당의 이념과 색깔이 확연히 구별되고 한국당과 국민의당의 지지 기반이 달라 이질적이란 지적이다. 선거 승리만을 위한 단일화는 오히려 역풍을 맞을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오고 있다.

    누가 당선돼도 과반의석이 없는 현 정치구도에서 국정운영이 어려운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명분과 원칙 없는 단일화는 정치공학적이라는 비난을 피하기 어렵다. 더욱이 지지율이 낮다고 단일화의 명분으로 압박하는 것은 민주주의 기본에도 맞지 않다. 이번 대선은 대통령 탄핵이란 불행을 딛고 새로운 미래를 설계하는 장이다. 단일화는 외교안보와 경제위기, 양극화 등 대한민국을 회생시키고 앞으로 나아갈 수 있는 확실한 비전이 제시돼야 설득력을 얻는다. 민심부터 살피는 게 순서다.

  • < 경남신문의 콘텐츠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전재·크롤링·복사·재배포를 금합니다. >
  • 페이스북 트위터 구글플러스 카카오스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