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   유튜브  |   facebook  |   newsstand  |   지면보기   |  
2024년 04월 20일 (토)
전체메뉴

[춘추칼럼] 터널 앞에서- 신형철(문학평론가)

  • 기사입력 : 2016-08-26 07:00:00
  •   
  • 메인이미지

    김성훈 감독의 <터널>은 많은 장점을 가진 영화다. 지금 꼭 필요한 이야기를 더 많은 관객에게 들려주기 위해 가장 적합한 화법이 무엇일지 고심한 흔적이 역력했다. 터널에 갇힌 ‘정수(하정우)’보다도 그의 아내 ‘세현(배두나)’이 나오는 모든 장면들이 나에게는 더 인상적이었다.

    그녀는 터널 안에 있는 것도 아니지만 그렇다고 밖에 있는 것도 아닌데, 바로 그렇기 때문에 터널 안팎의 고통이 모두 그녀를 통과할 수밖에 없었고, 그래서 가장 안타까워 보였다. 터널 밖의 고통과 분노에 떠밀려 그녀가 결국 터널 안의 남편을 포기하기로 결단하는 ‘마지막 방송’ 장면을 나는 지금도 떠올리고 있다.

    그런데 그와는 다른 의미에서 계속 떠오르는 한 장면이 있다.

    35일 만에 구출된 정수가 병원으로 이송됐다가 퇴원해서 아내와 자동차로 귀가하는 장면. ‘이송’에서 ‘퇴원’까지 실제로는 긴 시간이 흘렀겠지만 관객들은 불과 몇 분 만에 멀끔해진 정수를 보게 된다. 그 사이 건강해진 정수의 너스레는, 조금 어리둥절하기는 했지만, 그래도 다행스럽다는 생각을 더 많이 하게 했다. 그런데 그가 사고 이후 처음으로 터널을 지나가는 장면을 보여줄 때 나는 당혹스러웠다. 물론 정수가 두려워하지 않는 것은 아니나 결국은 통과하는 것으로 그려진다. 그러나 나는 고개를 젓고 있었다. 저럴 수는 없을 것이라고 생각했다.

    감독의 인터뷰를 찾아 읽었다. 정수가 퇴원하는 중이긴 하지만 여전히 사고의 트라우마로부터 벗어나지 못했음을 보여주기 위한 장면이라고 했다. 그러니까 감독의 의도는 트라우마의 집요함을 강조하자는 데 있는 것이었다.

    그러나 안타깝게도 그 장면이 내게는 오히려 반대의 말을 하고 있는 것처럼 보였다. 어떻게 저렇게 빨리 다시 터널로 들어갈 수 있는가. 나라면 다시는 터널을 이용할 수 없을 것이라고 생각했다. 아니, 터널의 시커먼 아가리가 저 멀리 보이는 지점에까지 가는 것조차도 불가능할 것이라고 생각했다. 평생을 말이다. 내가 아는 한 트라우마란 그런 것이다. 그래서 여전히 그 장면에는 동의하기 어렵다.

    트라우마가 무엇인지 깊이 있게 설명할 능력이 내게는 없고 또 그러기에 적당한 지면도 아닐 것이다. 그저 다음 대목을 한번 옮겨 적고 싶다.

    “기억이란 내가 기억하는 당사자로 남아 있다는 사실을 함축한다. 하지만 트라우마는 우리가 기억의 주체로 남는 것을 허락하지 않는다. 오히려 우리를 압도해 대상으로 만들어버린다. 내가 트라우마를 기억하는 것이 아니라 트라우마가 나를 기억한다.”(맹정현, <트라우마 이후의 삶>, 책담, 2015, 78쪽) 트라우마에 관한 한 나는 ‘주체’가 아니라 ‘대상’에 불과하다는 것이다. “내가 그것을 잊느냐 마느냐의 문제가 아니라 그것이 나를 놓아주느냐 마느냐의 문제다.”(같은 곳)

    한 인간이 어떤 과거에 대해 ‘주체’가 아니라 ‘대상’이 되어버리는 이런 고통이 얼마나 참혹한 것인지 당사자가 아닌 이들은 짐작하기 어렵다. 그러나 그렇기 때문에 더 많이 공부하고 더 열심히 상상해야 하리라. 그러지 않으면 그들이 ‘대상으로서’ 살아가고 있다는 사실을 잊는다. 그걸 잊은 사람들이 그들에게 말한다. 이제는 정신을 차릴 때가 되지 않았느냐고, 더 이상 다른 사람을 불편하게 만들지 말라고. 이런 말은 지금 대상으로 살아가는 이들에게 주체가 될 것을, 심지어 남을 배려할 줄 아는 주체가 될 것을 요구하는 말이다. 당신의 고통이 나를 불편하게 한다는 말은 얼마나 잔인한가. 우리가 그렇게 잔인하다.

    며칠 전 광주트라우마센터의 초대를 받아 강연을 했다. 자격이 없다고 생각했지만 감히 수락한 것은, 내가 부족한 사람임을 인정하고 물러서는 것으로는 아무것도 달라지지 않는다고 생각했기 때문이었다. 그래서 ‘상처와 위로’에 대해 요즘 내가 어떤 공부를 하고 있는지를 말하기 위해 갔다. 강연 중에 ‘문학은 나태한 정신을 고문하는 것이기도 하지만 상처 입은 마음을 위로하는 것이기도 하다’는 내용의 말을 하다가 잠시 주춤했다. 누군가에게는 아직도 살아있는 현실인 ‘고문’을 비유로 사용하는 일은 이제 그만둬야겠다는 생각을 그 순간 처음으로 했다. 계속 공부해야 한다. 누군가의 터널 속 어둠의 일부가 되지 않기 위해서.

    신형철 (문학평론가)

  • < 경남신문의 콘텐츠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전재·크롤링·복사·재배포를 금합니다. >
  • 페이스북 트위터 구글플러스 카카오스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