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   유튜브  |   facebook  |   newsstand  |   지면보기   |  
2024년 04월 19일 (금)
전체메뉴

[꽃보다 기자] 김유경기자의 스페인·포르투갈 편 (4)

  • 기사입력 : 2015-10-30 14:27:15
  •   
  •  
    제1편_방송인터넷부 김유경 기자/스페인·포르투갈 편

    (4)포르투갈 바다에 파도가 치면 파두(Fado)를 불러요

    피멍 든 가슴으로 부르는 노래. 애환의 정수(精髓)가 폭포수처럼 쏟아져나오는 노래. 판소리처럼 농도짙은 한이 서린 노래. 나는 그런 노래를 기획취재가 거의 끝나갈 무렵, 포르투갈 리스본에서 만났다.
     
    아, 물론 떠나기 전에 대충 주워들은 것도 있긴 있었다. 지난달 초순, 기획취재 심사에 통과돼 들뜬 마음으로 이것저것 준비를 하는 동안, 회사 선배 한 분이 조용히 나를 불렀다. 그리고 흰 봉투를 하나 내밀었다. 봉투 안에는 100달러 지폐 한 장이 들어 있었다.

    선배가 말했다. '부탁 하나만 하자' '네. 말씀하세요.' '포르투갈에 가면 파두 음반 한 장만 사오너라.' '네? 뭐요? 파도?' '아니. 파도가 아니고 파두(Fado).' '파두요? 그게 뭔데요?'그때 선배가 말한 음악이 바로 포르투갈의 노래, 파두였다.

    메인이미지
    선배가 준 100달러로 사온 파두 음반. 선배! 잘 듣고 계시죠?

    파두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세계지도를 먼저 살펴 볼 필요가 있다. 오른손 검지를 들어 지도 위에 놓아보자. 그리고 수많은 나라들을 헤집고 포르투갈을 찾아보자. 어디에 있는가? 포르투갈은 드넓은 대서양이 곧바로 바라다보이는 위치에 있다.

    옛 포르투갈 사람들은 900㎞에 달하는 긴 해안을 따라 걸으며 이런 생각을 했을 거다. '이 망망대해를 정복하면 대서양의 패권을 장악할 수 있을 것이다!'(당시 사람들은 지구가 평면이라 계속해서 배를 타고 나가면 지구 끝에 다다라 밑으로 떨어져 죽는다고 생각했다고 한다.)

    포르투갈은 카스티야(Castilla)로부터 분리 독립해 왕국을 성립한 후, 대항해 시대를 열어 갔다. 아프리카 서해로 향하는 신항로를 발견해 브라질과 아프리카 여러 나라를 식민지로 삼았고, 바스코 다 가마(Vasco da Gama·1469~1524)가 인도항로를 개척해 중계무역을 하며 찬란한 황금기를 누렸다.

    메인이미지
    포르투갈 대항해 시대 기념탑. 취재 막날에 이 곳에 들렀다. 바스코 다 가마가 항로개척을 위해 출발한 바로 그 지점에 세워져 있다. 바다를 향해 전진하는 포르투갈인의 야망과 영광이 담겨있다.
    바로 이 시기, 대항해 시대부터 파두는 시작된다. 이때 수많은 포르투갈 남정네들은 사랑하는 연인들을 남겨두고 신대륙이나 아프리카로 길고 긴 항해를 떠났다. 물론 그 뒤에는 여인들이 감내해야 할 기약없는 기다림과 치열한 삶의 아픔이 뒤따랐다.

    동시에 항해를 떠난 남자들에겐 조국에 대한 향수와 고독, 죽음에 대한 공포를 이겨내야만 하는 형극(荊棘)이 주어졌다. 이때부터 포르투갈 사람들에게 바다는 숙명과도 같은 것이었다. 기다리는 자와 떠난 자가 바다에서 또 육지에서 각자의 애절한 마음, 속절없는 마음, 두려운 마음을 담아 부른 곡조가 바로 파두였다. (그래서인지 파두는 운명, 숙명을 뜻하는 'Fatum'이라는 라틴어에서 유래했다고 한다.)

    그러나 승리의 여신은 결코 포르투갈 편이 아니었다. 여러 유럽 국가들이 앞다투어 식민지 경쟁에 가담하면서, 포르투갈은 급격한 내리막길을 걷기 시작했다. 1580년부터 60년 동안 스페인 지배하에 들어갔고, 영국과 네덜란드가 유럽의 신흥강자로 떠오르기 시작하면서 포르투갈은 그 위용을 잃어갔다.(포르투갈은 이때 잃어버렸던 자신감을 다시는 회복하지 못한 것 같아 보였다. 취재에 동행했던 통역에 의하면 현재 포르투갈 청년 실업률이 무려 25%에 달한다고 했다. 설상가상으로 2011년부터는 IMF로부터 금융지원을 받고 있다.)

    메인이미지
    포르투갈의 땅끝마을 로카 곶(Cabo da Roca). 유라시아의 최서단이라고 할 수 있다. 저 멀리 보이는 큰 바다가 바로 대서양이다. '이곳에서 땅이 끝나고 바다가 시작된다'는 멋진 싯구가 비석에 새겨져있었다.
    이러한 역사적 무력감이 작용한 탓일까? 파두 가수들은 감정의 밑바닥으로부터 어둡고 슬프고 끈끈한 감정을 최대한 끌어올려 토해내듯이 노래를 부른다. 이때 '기타하 포르투게사(Guitarra Portuguesa·포르투갈 기타)'라고 부르는 고유의 현악기가 반드시 반주 편성을 이룬다.

    거리에서, 까페에서, 노동 현장에서, 포르투갈 사람들은 파두를 입버릇처럼 즐겨 부른다. 워낙 감정이 과잉되고, 청승맞다 느껴질 정도로 애절한 노래다보니 즉흥성도 짙다.(즉석에서 가수와 기타 연주자의 호흡에 따라 곡조가 자유롭게 변용되기도 한단다.)

    메인이미지
    우리나라에 파두가 알려진 건 1987년 방영된 드라마 '사랑과 야망'에 파두 곡이 삽입되면서 라고 한다. '미자' 역을 맡은 차화연과 '태수' 역을 맡은 이덕화가 커피숍에만 들어가면 흘러나오는 노래가 파두였다고 한다.
    '파두'하면 1순위로 꼽히는 파두의 여왕이 있다. 아말리아 로드리게스(Amalia Rodrigues·1920~1999). 리스본 빈민가에서 태어나 부두에서 노래하며 오렌지를 팔아 연명했다. 1938년, 그녀는 리스본에서 열린 파두 콩쿨에 참가해 입상하면서 유명세를 타기 시작했다. 카리스마 넘치는 강렬한 목소리, 절정에 이르렀을 때 뿜어져 나오는 폭발적인 가창력과 풍부한 표현력은 그 누구도 따라갈 수 없었다고 한다.

    아말리아는 'Barco Negro(검은 돛배)', 'Que Deus Me Perdoe(신이여 용서하소서)' 등 명곡을 탄생시켰고, 당시 상류층에게는 저급한 문화로 여겨졌던 파두를 현대화 시켜 예술의 경지로 끌어올린 일등 공신이었다. 일흔까지 현역으로 노래했고, 무려 170개의 앨범을 냈다. '파두는 나의 생활태도이며 나의 시'라는 말은 그녀가 남긴 최고의 명언이 됐다.

    여든의 나이로 1999년 10월 6일 숨을 거둔 뒤, 포르투갈의 모든 언론은 프로그램 일정을 일제히 취소하고 그녀만을 애도했다. 심지어 아말리아의 장례식은 3일간 국장(國葬)으로 치러졌다.
    메인이미지
    아말리아 로드리게스. 전성기 때의 모습이다. 리스본엔 그녀의 생가와 그녀가 쓰던 장신구, 가구가 그대로 보존돼 있다고 한다. /네이버 백과사전/
    마치 파두를 꽤나 많이 들어본 것처럼 그럴듯하게 글을 쓰고 있지만 사실 나는 포르투갈에서 파두를 한 곡도 제대로 듣지 못했다. 취재일정이 워낙 빡빡하다보니 현지인들이 북적이는 리스본 뒷골목의 까페나 시장통에 가볼 여유가 없었던 탓이다. 다만 일정 중간에 방문하게 되는 음식점이나 휴게소에서 흘러나오는 애절한 곡조에 잠깐 귀를 적시는 정도에 만족해야 했다. 물론 그 와중에도 급하게 음반 가게에 들어가 선배가 부탁한 음반을 구입하는 성의는 보였다.

    메인이미지
    선배가 부탁한 음반을 사면서 내 것도 하나 사봤다. 포르투갈 말을 모르니 솔직히 무슨 뜻인지 하나도 모르겠다.

     
    ps. 파두 가수 '돌체 폰테스(Dulce Pontes)'가 부르는 '바다의 노래(Cancao do Mar)'다. 한번 감상해보시길. 매우 애절하다. 강추.
    https://www.youtube.com/watch?v=QCahD0M9cv4
     
    김유경 기자 bora@knnews.co.kr

  • < 경남신문의 콘텐츠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전재·크롤링·복사·재배포를 금합니다. >
  • ※ 관련기사
  • 김유경 기자의 다른기사 검색
  • 페이스북 트위터 구글플러스 카카오스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