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   유튜브  |   facebook  |   newsstand  |   지면보기   |  
2024년 03월 29일 (금)
전체메뉴

[열린포럼] 귀농·귀촌 활성화와 살기 좋은 농촌 만들기- 박경훈(창원대 환경공학과 교수)

  • 기사입력 : 2015-05-07 07:00:00
  •   
  • 메인이미지

    요즘 귀농·귀촌은 베이비붐 세대를 포함한 40~50대 직장인들 사이에서 마치 유행어처럼 흔히 듣는 얘기가 되고 있다. 조금씩 차이는 있겠지만, 도시의 높은 집값과 비싼 생활비로 힘들어진 가정형편을 해결하거나, 도시에서 벗어나 전원생활을 즐기기 위해서가 대부분일 것이다. 최근에는 점점 어려워지는 취업난 속에서 귀농을 선택하는 40대 이하의 젊은 층들도 늘어나고 있다. 이번 학기 한 학생이 학교를 그만두고 외삼촌이 계시는 시골로 가서 농업으로 성공하겠다는 당찬 각오를 남기면서 자퇴신청을 하던 모습이 새삼 떠오른다.

    도시생활을 접고 농촌지역으로 귀농·귀촌하는 인구가 지속적으로 늘어나고 있다는 것은 지난 3월 19일 농림축산식품부와 통계청이 발표한 ‘2014년 귀농·귀촌인 통계’ 자료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농촌으로 이주하여 농사를 짓는 귀농가구는 2013년 대비 2% 증가한 1만1144가구로 40~50대의 1~2인 전입가구가 대부분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시에서의 생활을 정리하고 전원생활을 선택한 귀촌가구는 작년 대비 무려 55.5% 증가한 3만3442가구로 나타났다. 귀촌은 주로 수도권에 인접하여 생활 여건이 좋거나 자연경관이 좋은 농촌지역에 집중되었고, 연령대와 전입가구원수는 귀농가구와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우리나라 농촌지역이 저출산·고령화 단계를 넘어 무(無)출산·초고령화의 심각한 상황에 직면한 현재의 상황에서 귀농·귀촌가구가 지속적으로 증가한다는 것은 농촌 살리기를 위한 작은 희망의 메시지로 느껴진다.

    이젠 중앙정부 차원에서도 귀농·귀촌가구의 증가를 쇠퇴하는 농촌에서 살기 좋은, 살고 싶은 농촌으로 변화하는 계기가 될 수 있도록 많은 관심과 지원을 할 필요가 있다. 다행히 지난 1월 20일 제정된 ‘귀농어·귀촌 활성화 및 지원에 관한 법률’은 귀농어업인 및 귀촌인의 안정적인 농어촌 정착을 유도하고 농어촌의 지속가능한 발전에 이바지하는 데 많은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이 법은 올해 7월 21일부터 시행되고 5년마다 귀농어·귀촌 지원 종합계획을 수립하여 관련 현황 및 실태파악, 교육훈련과 전문 인력 육성, 홍보 및 정보화 촉진, 재원 조달 등의 다양한 방안을 마련하게 된다.

    한편 귀농이나 귀촌을 선택했던 사람들이 농촌 생활을 접고 다시 도시로 되돌아오는 사례도 적지 않다. 여기에는 여러 가지 원인이 있겠지만, 귀농·귀촌을 위해서 필요한 교육 프로그램과 이를 지원해 줄 수 있는 전문 인력이 부족한 것도 주요 원인이 되고 있다. 이것은 귀농·귀촌을 선택하는 도시민뿐만 아니라, 이들을 공동체로 받아들일 농촌 마을 주민들에게도 모두 필요한 것이다. 지난 2001년부터 ‘더디지만 제대로 가는 길’을 걸어온 진안군의 ‘살기 좋은 농촌 마을만들기’ 경험과 현재, 그리고 앞으로의 다양한 시도들이 귀농·귀촌 활성화와 살기 좋은 농촌 마을만들기의 해답을 찾아가는 데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 진안군은 전국 최초로 주민이 주도하는 상향식 마을만들기 사업을 시작하면서 주민들의 학습활동과 행정 및 마을만들기 전문가의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지원이 이루어졌고, 2006년 귀농·귀촌 정책과 결합하여 연간 100가구 정도가 진안군으로 이주해 오기도 했다.

    마지막으로 대규모 개발 사업의 유치만이 농촌 주민들에게 큰 소득을 안겨준다는 고정된 관념을 조금씩 내려놓을 필요가 있다. 다양한 재능을 가진 도시로부터의 귀농·귀촌인들과 마을 주민들이 지역마다 차별화되고 특색 있는 특산물이나 청정한 농산물, 고유한 전통문화와 풍습, 그리고 자연생태 및 농촌경관·역사 자원들을 서로 연계한 지속가능한 농촌형 비즈니스 모델을 함께 만들어 갈 수 있는 시스템을 갖추는 데 행정과 풀뿌리 민간조직 및 전문가 그룹의 지원과 역량을 집중해야 할 것이다.

    박경훈 (창원대 환경공학과 교수)

  • < 경남신문의 콘텐츠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전재·크롤링·복사·재배포를 금합니다. >
  • 페이스북 트위터 구글플러스 카카오스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