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 경남을 말하다 (22) 안태형(합천·85년생, 경남 도정자문위원회 위원)‘더 나은 미래 있다’는 믿음으로 고향 지키며 제 역할 찾습니다
제가 살고 있는 합천군의 인구가 1965년 약 20만명. 정확한 통계로는 19만5943명이었다고 합니...2021-10-19 21:14:45
[만나봅시다] 허선도 문신 탄생 100주년 기념사업 추진단장“문신의 예술혼, 후대에 알리는 데 최선 다할 것”2022년은 창원 출신의 세계적인 조각가 문신 선생의 탄생 100주년을 맞는 해이다. 창원시와 시민들은 그의 삶과 예술적 업적을 재조명하고, 예술의 가치와 업적을 국내외에 널리 알려 지역 문화예술 발전과 시민의 예술 향유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문신 탄생 100주...이현근 기자 2021-10-13 21:16:39
[청년, 경남을 말하다] (21) 이성훈(94년생, 청년가치팩토리 사회적협동조합 이사)청년과 지역 이어주는 공동체에서
우리 사회의 가치는 각 개인의 삶에 있습니다. 너무나 다양하기에 우리는 존중이라는 기본적 태...2021-10-12 21:12:05
[만나봅시다] 취임 100일 맞은 노충식 경남테크노파크 원장“산업구조 혁신 통해 기업 성장·경남 발전 이끌 것”4차 산업혁명과 미·중 무역분쟁, 코로나19 팬데믹으로 국내외 경영환경이 급변하고, 기업들은 혁신적 변화 없이는 생존할 수 없는 환경으로 몰리고 있다. 지역의 주력산업도 예외는 아니다. 침체된 지역산업 활성화와 발전 방안 모색, 그리고 기업의 지속 성장을 돕...김정민 기자 2021-10-07 08:08:14
[인간과 환경 시즌3](6)양심을 줍는 ‘줍깅’을 아시나요?어른도 아이도 “버려진 양심 줍고 지구 살려요”“쓰레기를 주우면서 환경 오염에 대한 심각성을 인지했죠. 줍깅을 한 번도 안 한 사람은 있어도 한 번만 하는 사람은 없을 거예요.”
우리에게 ‘줍깅’으로 익숙한 ‘플로깅’은 2016년 스웨덴에서 시작돼 전세계로 확산했다. 스웨덴어 ‘plocka upp(줍다)’와 영어 ‘jogg...한유진 기자 2021-10-06 21:22:07
[대학생 기자가 간다] 구독 경제와 함께하는 하루구독 경제로 함께 하는 코시국 대학생의 하루대학생 A씨는 최근 2학기를 맞이했다. A씨는 방학 기간 학우들을 만나지 못했던 만큼 개강 이후 오랜만에 학교에 갈 생각에 들떴다. 그러나 실상은 방학 때와 별반 다르지 않다. 코로나로 인해 대부분의 수업이 비대면이 됐기 때문이다. 학교에 갈 필요가 없어지면서...2021-09-28 21:40:49
[청년, 경남을 말하다] (20) 진형익(창원·91년생·전국청년정책네트워크 대표)청년의 삶을 둘러싼 청년정책
청년기본법 제정 이후 청년정책은 조금씩 변화되고 있습니다. 일자리 정책에서 벗어나 주거 정책, 교육 정책, 건강 정책 등으로 확대되고 있는데 이는 사회적으로 이슈가 되었던 청년수당, 청년건강검진, 주거급여,...조고운 기자 2021-09-26 21:47:09
[겡남말 소꾸리] (188) 니비다(나비다), 새앵키다
△서울 : 추석연휴 잘 보냈어? 코로나 때문에 이젠 명절이 예전 같은 느낌이 없는 거 같아.
▲경남 : 우짜겠노. 엉글징 나는 코로나 땜시로 추석이라 캐도 친척들 간에 서리 만내지도 몬하고. 우리 에릴 직에맨치로 동네 니비고 댕기는 아아들...허철호 기자 2021-09-24 08:11:11
[만나봅시다] 박종호 센텀의료재단 이사장“종합병원 신축해 부울경 최고 의료기관으로 거듭날 것”센텀의료재단의 부산센텀병원은 2002년 부산 동부지역의 중심 수영구 광안동에 정형외과 관절 전문병원을 시작으로 2009년 부산 서부지역의 관문 사상구에 정형외과 수부전문 서부산센텀병원을 개원한 이래 부산·울산·경남지역 대표병원이자 전국적인 명품병원으로 ...김한근 기자 2021-09-22 21:31:16
[만나봅시다] 홍성옥 김해의생명산업진흥원 제2대 원장“‘기업·의사 만남 더 쉽게’ 모토로 병원 연계사업 늘리겠다”
김해시는 지난 2019년 6월 ‘의생명·의료기기 강소연구개발특구(의생명강소특구)’로 지정돼 산업구조가 동남권 지역 의생명·의료기기 R&D 허브로 변모해가고 있다. 김해의생명강소특구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맡고 있는 김해의생명산업진흥원의 제2대...이종구 기자 2021-09-16 08:09:58
[겡남말 소꾸리] (187) 배껕(배겉, 바껕), 에상(에상빼이)
△서울 : 세상에는 좋은 일을 하는 사람들이 많은 것 같아. 너 남해의 ‘빵식이 아재’ 이야기 들었어?
▲경남 : 아적(아직) 안 무운 학상들한테 빵을 공짜배이로 나나준다 카는 그 아재 말하는갑네. ‘공짜배이’는 ‘공짜배기’ 말하는 기다.
△서울 : 아침과 아침...허철호 기자 2021-09-10 08:03:37
창원 주남저수지, 사람과 자연의 ‘공존의 장’ 펼쳤다[인간과 환경 시즌3] (5) 창원 주남저수지주남저수지는 예부터 의창구 동읍과 대산면 농경지에 필요한 농업용수를 공급해주는, 자연적으로 형성된 늪이다. 총 면적은 898만㎡로 산남(96만㎡)·주남(403만㎡)·동판(399만㎡) 등 3개 저수지로 이루어진 배후습지성 호수다. 지난 1970년대 중반까지는 단순히 큰 ...이민영 기자 2021-09-08 21:37:28
[청년, 경남을 말하다] (19) 송진호(의령·90년생·문화예술협동조합 천율 대표)경남의 가장 작은 지역 의령에서제가 사회적기업을 창업한 이유는 국립, 도립, 시립, 군립이 하나도 없는 경남에서 발버둥이라도 치고 싶어서 입니다.
의령은 인구 2만7000명에 인구소멸 지역입니다. 의령집돌금농악, 신반대광대, 영제시조 등 많은 문화유산이 있는 지역이지만 의령군민들 마저 ...조고운 기자 2021-09-07 21:49:51
[경남에도 사람이 산다] (17) 진주 엉가들이 만든 희망, 비봉 새뜰마을시즌Ⅲ 도시재생 ② 진주 비봉새뜰마을진주 유명 사찰인 의곡사로 가는 길목, 다닥다닥 붙은 오래된 집들 사이로 신축 건물 하나가 눈에 띈다. 올해 5월 개소한 주민커뮤니티센터 ‘대봉(비봉)새뜰센터’다. ‘대봉숲’ 간판이 붙은 1층에 들어서면 조명 인테리어가 돋보이는 말끔한 식당이 나온다. 이곳에서 ...이슬기 기자 2021-09-02 21:32:01
[청년, 경남을 말하다] (18) 이창희 (창원·95년생 미디어헬퍼 대표)꿈꾸는 사람은 공간 탓하지 않아
“경남은 서울보다 속도가 뒤처지고 있는데 왜 이곳에서 창업을 했니?”
지역에서 미디어헬...조고운 기자 2021-09-02 20:53: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