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강보의 논술탐험] (83) 자유롭게 쓰는 글글쓰기에 다듬기 과정이 왜 중요할까수필 형식으로 자유롭게 쓴 신문방송학과 대학생들의 습작 글에 다듬기 조언을 한 사례. 글짱: 안녕하세요. 신문방송학과에 다니는 대학생입니다. 글샘의 뉴스취재실무 강의를 듣는 제자랍니다. 올해 첫 수업 때 자유로운 형식으로 글을 써 오라고 하셨잖아요...심강보 기자 2011-04-19 01:00:00
[학교 논술수업] (19) 학급에서 논술하기- “얘들아, 밥 한번 먹자”우리 반 모둠별 음식 만들기…아이들은 어떤 느낌이었을까 “언제 밥 한번 먹자.” 그냥 인사치레로 하는 경우도 있지만 정말 밥 한번 같이 먹는 건 한 끼의 식사 이상의 의미가 있다. 새 학급에서 학생들이 자연스럽게 친해질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는 학급 행사로도 밥 한번 먹는 게 최고다. 그래서 해마다 3월...2011-04-12 01:00:00
[심강보의 논술탐험] (82) ‘나는 가수다’ 논란을 칼럼으로 쓴다면재도전 기회 부여는 공정했나? 아니라면 왜?글짱: 대학신문사 기자로 활동하는 학생입니다. 최근 논란이 된 ‘나는 가수다’라는 프로그램에 대해 칼럼을 써봤습니다. 김건모에게 재도전 기회를 부여한 걸 질타하기보다는 다른 시각으로 긍정적인 논지의 글을 썼거든요. 그런데 제 칼럼을 읽은 친구가 제 생각과...심강보 기자 2011-04-05 01:00:00
[심강보의 논술탐험] (81) 샌델 교수의 하버드 특강 ‘정의’와 논술논술에서는 어떻게 결론을 이끌어 내야죠?글짱: 요즘 EBS에서 앙코르 방송을 하는 마이클 샌델 하버드대학 교수의 ‘정의’ 강의에 열광하고 있는 고2 학생입니다. 논술과 연관시켜 생각을 넓히려면 그 강의를 어떻게 받아들이면 좋은지 궁금합니다.글샘: 샌델 교수의 강의 방송을 보면서 글샘도 학생들이 논술...심강보 기자 2011-03-22 01:00:00- [학교 논술수업] (18) 통합 독서논술- 학급문집과 학급일기같은 반 하면서 마음 털어놓은 ‘그들만의 이야기’ 방학 전에 받으려고 했던 학급문집이 이제야 도착했다. 1년 동안 학급살이의 결실이다. 매번 느끼는 것이지만 1년 동안 학생들과 부대끼며 살아도 지나면 잊어버리는데 힘들어도 학급문집을 만들면 구체적인 결과물을 볼 수 있어 좋다. 올해 학급문집은 학생들 스스로 만들었다. 지난번 3학년들 학급문집은 마지막...심강보 기자 2011-02-15 00:00:00
- [심강보의 논술탐험] (80) 대학생이 쓴 논술 글 짚어주기연예인은 공인일까?글짱: 기자시험 논술을 준비하는 대학생입니다. ‘연예인은 공인인가’라는 주제로 습작 글을 썼습니다. 어색한 부분을 짚어 주면 고맙겠습니다.
글샘: 이런 주제가 주어지면 “공인이다”라는 논지로 쓰는 학생들이 대부분인데, “공인이 아니다”라는 반대 논지를 선택했군요.
글짱: 공인의 범주를 연예인까지 확대하는...심강보 기자 2011-02-08 00:00:00
- [생각 키우는 역사논술] (23) 역사적 관점으로 본 저작권지식의 공유와 독점, 무엇이 진정한 발전인가?
저작권법이 날로 강화되고 있다. 저작권은 창작자의 권리를 지키기 위해서 태어났다. 창작자의 ‘고유상품’인 저작물을 충분한 비용을 치르고 구입해야 한다는 것이다. 창작자는 이 상품을 만들기 위해 많은 고생과 노력을 했기 때문에, 그에 대한 보상을 충분히 해야 한다는 취지다.
그래서 저작료를 받을 수 있...심강보 기자 2011-01-25 00:00:00
- [심강보의 논술탐험] (79) 마인드맵 활용한 글쓰기‘생각 지도’ 그린 뒤 글을 쓰면 생각이 정리된다
글맘: 안녕하세요. 중3, 중1 두 아이의 엄마입니다. 우리 애들이 글쓰기는 열심히 하는데, 제가 읽어도 내용이 어딘지 허전한 느낌이 들어요. 어떤 점을 보완하면 좋을지 알려주세요.
글샘: 글의 내용이 허전해 보일 땐, 핵심을 제대로 못 잡았거나, 글감이 적절하지 않은 경우죠. 그리고 글의 메시지나 여운이 ...심강보 기자 2011-01-11 00:00:00
- [학교 논술수업] (17) 서른 살의 나에게 보내는 타임캡슐
12월이 되면 마음이 급해서 서두르는 일이 있는데 그것은 바로 학급 문집을 만드는 일이다. 기말고사가 끝나면 한 해 동안 했던 글쓰기를 챙겨서 학생들에게 자기 글을 컴퓨터에 입력하도록 해 파일을 모으고 학기 초에 역할배정을 했던 편집위원들에게 편집 계획을 마무리하도록 닦달 아닌 닦달을 한...심강보 기자 2010-12-21 00:00:00
- [심강보의 논술탐험] (78) 신문으로 논술 공부-자기 의견 쓰기신문의 논조를 반박하는 ‘내 생각’ 써 보라
글짱: 안녕하세요. 고교 2학년 여학생입니다. 학교에서 작문 수행평가로 학기마다 3번씩 신문일기 3~4편과 생활문 1편, 감상문 1편을 쓰도록 되어 있어요. 그중에 신문일기는 사설을 오려 붙이고 글의 주장과 근거, 5줄 요약, 나의 의견 10줄 등을 써야 하는 게 너무 어려워요.
글샘: 학교 작문 수행평가 과제가 많...심강보 기자 2010-12-07 00:00:00
- [학교 논술수업] (16) 통합 독서논술- 학급 운영 방안 논술학생들은 학교서 친구 만날 때 행복을 느낀다
학교의 주인은 학생이란다. 학생들이 행복한 학교가 좋은 학교란다. 참 좋은 말이다. 하지만 이 말이 공허하게 들리는 건 우리 학교 현실은 너무도 다르기 때문일 것이다. 학교에서 담임과 인성지도부의 학생 생활지도를 맡고 있는 나는 날마다 학생들 야단치고 벌세우고 반성문 쓰게 하는 게 일이다. 좋은 교사는...심강보 기자 2010-11-09 00:00:00
- [심강보의 논술탐험] (77) 생각해 보기- 어느 여중생의 부모 이혼 탄원 기사우리나라 복지제도의 구조적 모순은 무엇일까?
글짱: 안녕하세요. 지금부터 대학입시를 대비해 논술을 공부해 보려는 중학교 1학년 여학생이에요. 신문을 보면 세상이 보인다고 하잖아요. 신문을 어떻게 활용하면 좋은지 알려주세요.
글샘: 신문을 봐야 한단다. 그냥 보는 게 아니라 꾸준히 봐야지. 쉽게 말해 어느 신문이든 정기구독을 하는 게 중요하단다.
...심강보 기자 2010-11-02 00:00:00
- [생각 키우는 역사논술] (22) 중병 앓는 우리 교육교육정책 잘만 하면 ‘고칠병’
/그래픽= 김문식/
필자는 젊은 나이에 교육 관련 업체에 몸담아 기획, 홍보, 교재 제작과 함께 학원을 운영하고 있다. 그래서 나름대로 우리 교육에 대해 다소 이해하고 있다고 생각한다. 이 경험과 역사적 사실을 토대로 우리 교육에 대해 고찰해 보고자 한다.
태초에 교육이 있었다. 문명이 생기면서 지식...심강보 기자 2010-10-19 00:00:00
- [학교 논술수업] (15) 학급에서 논술하기청소년기의 삶 행복해지려면…
우리나라 사람들의 행복지수가 높지 않다는 것은 익히 알려져 있다. 행복이란 낱말의 뜻을 찾아보면 '생활에서 충분한 만족과 기쁨을 느끼어 흐뭇한 상태'라고 나와 있다. 다분히 개인의 주관적인 감정 상태를 나타내는 말이므로 행복지수라는 용어로 행복의 객관적 척도 기준으로 삼는 건 한계가 있다.
그럼에도...2010-09-14 00:00:00
- [학교 논술수업] (14) 통합 독서논술- 학급에서 논술하기청소년기에 생각해 보는 ‘진정한 친구’란?
여중학생들은 학교에서 어디를 가든 친구와 짝지어서 또는 무리지어 다닌다. 화장실을 갈 때도, 교무실에 선생님을 만나러 갈 때도, 보건실에 갈 때도 함께 다닌다.
청소년이 되면서 가족들과 지내는 시간보다 친구들과 지내는 시간이 점점 많아진다. 청소년기에는 친구가 가족보다 더 중요한 존재가 되기도 하고,...2010-08-04 00: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