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 소통과 화합의 꽃씨를 뿌리는 행복한 경남을 위해- 최충경(경남사회대통합위원회 위원장)
민선8기 박완수 도정의 중요과제로, 경상남도 사회대통합위원회가 지난 11월 30일 공식 출범하...2022-12-14 19:35:23
[기고] 경남형 재난안전산업 육성 위한 첫걸음- 하종덕(경남도 안전정책과장)
우리사회는 기후변화가 심화되고 사회기반시설의 노후화 등에 따라 재난의 규모가 대형화되고 ...2022-12-13 19:57:02
[기고] 기후변화 대응에 필요한 하천 관리방안- 최경식(신라대학교 교수)
올해 3월 탄소중립기본법 시행으로 기후변화에 대한 관심이 더 증가되면서 광역지자체를 포함해...2022-12-13 19:57:06
[기고] 수도권으로의 인구 집중, 이대로 괜찮은가- 곽다은(인구보건복지협회 경남지회 Top-Us 단장)
수도권으로의 인구 집중은 저출산, 고령화 다음으로 인구문제에 영향을 끼치는 원인으로 작용한...2022-12-12 19:42:12
[기고] 미술 산업 시대, 도립미술관 역할을 생각하다- 박남용(경남도의원(창원7) 문화복지위원회)
미술시장이 MZ세대의 투자처로 급부상하고, 미술품 감상 및 수집이 대중적 취미로 인정받는 시...2022-12-11 19:51:53
[기고] 월드컵 열기 몰아 경남을 스포츠산업 중심지로- 박해영(경남도의회 건설소방위원장)
“졌지만 잘 싸웠다!” 지난 6일 새벽 카타르 월드컵 16강전 대한민국과 브라질의 경기를 응원했...2022-12-08 19:31:06
[기고] 간이정액환급제도를 아시나요- 장천희(창원상의 경남FTA활용지원센터 관세사)
직장인들은 연말정산을 통해 급여소득에서 원천징수한 세액의 과부족을 정산, 과다하게 납부한 ...2022-12-07 19:33:24
[기고] 온누리 고용안전망, 국민취업지원제도- 이상목(창원고용노동지청장)
지난 2년간 코로나19 감염병 확산과 연이어 닥친 경기침체로 우리 경제와 일자리 시장은 그야...2022-12-07 19:33:26
[기고] 역사 왜곡하는 식민사학자를 규탄한다- 김상헌(가락마산종친회 회장,전 마산회원구청장)
나의 조상이요 우리 한민족의 뿌리인 단군왕검의 고조선과 김수로왕이 건국한 가락국을 부정하...2022-12-06 19:35:39
[기고] 5등급 이하 고3 학생은 영원한 루저인가- 이민주(경상국립대 교육대학원윤리전공 석사과정 )
또다시 입시철이 다가왔다. 치열한 입시현장에서 소위 명문대에 몇 명이 합격했는지, 의학계열...2022-12-06 19:35:42
[기고] 어차피 엔딩이 죽음이라면?- 이세영(동국대학교 WISE캠퍼스 영어영문학과 4학년)
마가렛 에트우드는 소설 ‘해피엔딩’에서 결국 우리의 엔딩은 죽음이라고 말한다. 그렇기에 삶...2022-12-05 19:26:28
[기고] 소액 다수의 정치후원금, 건강한 정치를 위한 토양- 이진혁(경남도선거관리위원회홍보주무관)
2022년 4월 7일 제21대 대통령 선거, 6월 1일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라는 빅 이벤트를 치르면...2022-12-04 19:29:51
[기고] 창원특례시 그린벨트 해제로 미래성장 동력 확보를- 이양재(창원특례시 개발제한구역 주민연합회 수석 부회장)
그린벨트라는 이름으로 잘 알려져 있는 개발제한구역은 도시경관 정비와 환경 보전을 목적으로,...2022-12-01 19:47:28
[기고] 창신대문덕수문학관 특별기획전에 부쳐- 이상옥(시인·창신대 명예교수)
문덕수문학관은 2000년 창신대학교 봉암동캠퍼스 본관 3층에 아담하게 개관했다.
문덕수문학관...2022-11-30 19:33:21
[기고] 부울경특별연합과 창원특례시- 구점득(창원시의회 운영위원장)
최근 우리 지역은 옛날의 형제 도시인 부산과 울산·경남을 하나의 광역특별연합체로 묶어 수도...2022-11-30 19:33:24